$\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떫은감 분말의 첨가에 따른 두부의 제조와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fu with Added Astringent Persimmon Powder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3 no.3, 2011년, pp.329 - 333  

이윤래 (경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정헌식 (경북대학교 식품생물산업연구소) ,  성종환 (부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문광덕 (경북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떫은감(청도반시) 분말을 첨가한 두부 제조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감 분말의 첨가 시기(응고제 첨가 직전과 직후)와 양(0, 3, 6, 9%)을 달리하여 두부를 제조하여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감의 첨가 시기가 응고제 첨가 직전인 경우가 직후인 경우보다 높은 두부 수율과 좋은 관능적 품질특성(외관, 조직감, 전체적인 기호도)을 보였다. 두부의 수율은 감 첨가구가 무첨가구보다 높은 결과를 보였으나 첨가량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L값은 감소하였으나 a값과 b값은 큰 변화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두부의 hardness, chewiness, crispness는 감 분말 6% 이상 첨가구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DPPH 유리기 소거능은 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3%와 6%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관능적 품질특성 중 외관과 색은 첨가구가 보다 나쁘게 평가되었으나 냄새, 콩비린내, 떫은맛 및 조직감은 첨가량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전체적인 기호도는 9% 첨가구가 유의적으로 낮은 점수를 보였다. 따라서 떫은감 분말을 첨가하여 두부를 제조할 경우, 적합한 첨가 시기와 양은 응고제 첨가직전과 3-6% 정도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fu as affected by addition time (before or after coagulant) and the amount (0, 3, 6, and 9%) of astringent persimmon fruit (Diospyros kaki T. cv. Cheongdobansi) powder added were investigated. Yield and sensory acceptability were higher in tofu prepared by adding persim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떫은 감의 기능성을 두부 제조에 이용하고자 감 분말의 첨가 시기와 양을 다르게 한 두부를 제조하고 제품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여 건강 기능성 부여 및 응고 보조제로서의 감 분말의 응용 가능성 검토와 적합한 첨가 조건을 결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떫은감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탄닌의 특징은 무엇인가? 감은 폴리 페놀성 물질과 비타민 A와 C 성분이 풍부하고 숙취해소와 기침치료 등에 유효한 식품학적 가치를 가지고 있으며, 수확 시 삽미의 유무에 따라 떫은감과 단감으로 분류하고 주로 생과, 연시, 건시의 형태로 소비된다(2). 떫은감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탄닌은 수렴성이나 지혈작용 등의 약리성과 더불어 단백질이나 alkaloid와 결합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 으며(3,4), 최근에는 감 탄닌의 해독(5), 항미생물(6), 항돌연변이(7), 항산화(8) 작용 및 중금속 제거능(9) 등과 같은 유용한 기능성이 보고되었다. 따라서 감은 건강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식품 소재로써 가치가 높은 것으로 여겨지며, 전통적 소비형태 이외의 고부가가치 가공식품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두부란? 대두(Glycine max)는 국내에서 예로부터 장류 등의 발효식품과 두부, 콩나물 등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어 왔으며, 이중 식물성 단백질 급원으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두부는 콩 단백질을 분리 후 가열과 응고제의 작용으로 연결시켜 망상구조를 형성하고 그 내부에 수분을 가둔 겔 상태의 식품인데, 세부적인 겔화 기작은 응고제의 종류에 따라 금속이온이 단백질 측쇄의 carboxyl기를 연결시키는 경우와 산이 단백질의 구조를 변경시켜 겔을 형성하는 경우로 대별된다(13). 최근 소득 증가에 따른 식생활의 고급화 및 건강 지향화로 화학물질 사용에 대한 소비자들의 거부감이 팽배해지고 있어 다양한 생리활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천연 소재를 두부에 첨가하여 두부의 건강기능성 보완과 가공성 향상을 동시에 추구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감 분말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두부의 텍스처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어떻게 나타났는가? 감 분말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두부의 텍스처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Table 3에 나타내었다. 두부의 hardness는 감 분말 6% 이상 첨가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아짐을 보였으나 6%와 9% 첨가구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Springiness와 cohesiveness는 감 분말의 첨가 양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Chewiness와 crispness는 감 분말 6% 이상 첨가구에서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감 분말에 함유된 탄닌 성분이 가지는 단백질 응고능(3,4)이 전체적인 두부 단백질 응고에 일부 기여한데에 기인된 것이며, 이는 두부의 hardness, chewiness와 crispness를 높이는 결과를 초래하는 것으로 여겨지고, 이로써 감 분말 첨가에 의해 두부의 텍스처 특성의 변경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Chung SH, Moon KD, Kim JK, Seong JH, Sohn TH. Change of chemical components in persimmon leaves during growth for processing persimmon leaves tea. Korean J. Food Sci. Technol. 26:141-146 (1994) 

  2. Roh YK, Jang SH, Byun HS, Sung JJ. Analysis of distribution properties on astringent (Diospyros kaki L.). Korean J. Postharv. Sci. Technol. 6: 184-187 (1999) 

  3. Chung KT, Wong TY, Wei CI, Huang YW. Tannins and human health: a review. Crit. Rev. Food Sci. 38: 421-464 (1998) 

  4. Nakabayashi T. Studies on tannins of fruits and vegetables. J. Jpn. Soc. Food Sci. Technol. 15: 502-506 (1968) 

  5. Okonogi T, Hattori Z, Ogiso A, Mitsui S. Detoxification by persimmon tannin of snake venoms and bacterial toxins. Toxicon 17: 524-527 (1979) 

  6. Nishiyama R, Kozaki M. Inhibitory function of kakishibu (persimmon tannin) toward cell growth of microorgaisms. J. Ferment. Technol. 62: 9-14 (1984) 

  7. Matsuo T, Kinoshita M, Itoo S, Shimoi K. Antimutagenic effect of kakishibu and its tannin degraded products on UV-induced mutagenesis in Escherichia coli. J. Jpn. Soc. Hort. Sci. 60: 429-435 (1991) 

  8. Seo JH, Jeong YJ, Kim KS.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annins isolated from astringent persimmon frui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212-217 (2000) 

  9. Nakajima A, Sakaguchi T. Uptake and removal of iron by immobilised persimmon tannin. J. Chem. Technol. Biot. 75: 977-982 (2000) 

  10. Chung JY, Kim KH, Shin DJ, Son GM. Effects of sweet persimmon powder on the characteristics of bread.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738-742 (2002) 

  11. Hong JS, Kim MA.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kiduck by the addition of astringency persimmon paste.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360-370 (2005) 

  12. Lee HH, Koh BK. Sensory characteristics of maejakgwa with persimmon powder.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 216- 224 (2002) 

  13. Kang HY. Tofu taste and quality as affected by coagulants. Korea Soybean Digest 14: 37-42 (1997) 

  14. Choi YO, Chung HS, Youn KS. Effects of various concentrations of natural materials on the manufacturing of soybean curd. Korean J. Postharv. Sci. Technol. 7: 256-261 (2000) 

  15. Min YH, Kim JY, Park LY, Lee SH, Park GS. Physicochemical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fu prepared with turmeric (Curcuma aromatic Salab.).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502-510 (2007) 

  16. Jeon MK, Kim MR. Studies on storage characteristics of tofu with herb. Korean J. Food Cookery Sci. 22: 307-313 (2006) 

  17. Kim JY, Park GS.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helf-life of tofu coagulated by fresh juice of pomegranate. Korean J. Food Culture 21: 664-652 (2006) 

  18. Park EJ, An SH, Park GS. Quality characteristics of cuttlefish inky tofu prepared with various coagulants. Korean J. Food Culture 21: 653-660 (2006) 

  19. Lee SJ, Chung ES, Park GS.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fu coagulated by apricot juice. Korean J. Food Cookery Sci. 22: 825-831 (2006) 

  20. Kim SS, Park MK, Oh NS, Kim DC, Han MS, In MJ. Studies on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helf-life of chlorella soybean curd (tofu).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6: 12-15 (2003) 

  21. Kim J, Jeon JR.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fu added with black soybean hull powder. Korean J. Food Culture 20: 633-637 (2005) 

  22. Karim A, Sulebele GA, Azhar ME, Ping CY. Effect of carrageenan on yield and properties of tofu. Food Chem. 66: 159-165 (1999) 

  23. Park YJ, Nam YL, Jeon BR, Oh NS, In MJ. Effects of garlic addition on quality and storage characteristics of soybean curd (tofu).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6: 329-332 (2003) 

  24. Kim KT, Im JS, Kim SS. A study of the phys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ginseng soybean curd prepared with various coagu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965-969 (1996) 

  25. Bloi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4617: 1198-1199 (1958) 

  26. Seong JH, Han JP. The qualitative differences of persimmon tannin and the natural removal of astringency. Korean J. Postharv. Sci. Technol. 6: 66-70 (1999) 

  27. Matsuo T, Shimozono H, Itoo S. Alteration in properties of kakitannin during heat-browning and purification. J. Jpn. Soc. Hort. Sci. 59: 157-161 (1990) 

  28. Matsuo T, Shimozono H, Itoo S. Alteration in properties of kakitannin during heat-browning and purification. J. Jpn. Soc. Hort. Sci. 59: 157-161 (1990) 

  29. Lee YT.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soybean curd containing small black soybean. Korea Soybean Digest 24: 14-22 (2007) 

  30. Jung ST, Park YS, Zachwieja Z, Folta M, Barton H, Piotrowicz J, Katrich E, Trakhtenberg S, Gorinstein S. Some essential phytochemicals and the antioxidant potential in fresh and dried persimmon. Int. J. Food Sci. Nutr. 56: 105-113 (2005) 

  31. Ishiwatari K, Takamura H, Matoba T. Changes in th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ersimmon during dry-ripening. J. Home Econ. Japan 54: 449-456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