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추출에 의한 커피의 이취성분 분석
Analysis of Off-flavor Compounds from Over-extracted Coffee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3 no.3, 2011년, pp.348 - 360  

이진성 (중앙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민선 (중앙대학교 식품공학과) ,  신호재 (매일유업 중앙연구소 식품분석연구) ,  박기환 (중앙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속적으로 추출한 커피액을 단계별로 일정량 취하여 관능검사를 실행한 결과 고형분의 함량을 시료별로 동일하게 희석하였음에도 에스프레소 추출의 경우 30 mL 이상, 드립커피에서는 200mL 이상 추출한 경우 향미는 감소하고 이취는 증가하여 과추출이 시작됨을 인지할 수 있었다. 이는 추출 단계별로 고형분 성분의 조성비의 변화가 있음을 의미하며 GC/MS로 성분비의 변화를 확인한 결과 4-ethylguaiacol은 통계분석 시 이취에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는 유효 향기성분인 동시에 커피의 재료, 배전도, 추출 방식에 상관없이 추출이 경과함에 따라 성분비가 직선에 가까운 상승비를 보이므로 과추출을 나타내는 지표 물질로 사용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Guaiacol과 4-vinylguaiacol은 이취와 통계적으로 높은 연관성을 보인 4-ethylguaiacol에 비해 향기 인지에 큰 영향을 미치는 ordor threshold value가 낮고 피크 면적 %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으므로 과추출로 인한 이취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들 성분이 과추출 인지점 이후 증가하는 피크 면적 %를 보이는 것은 세포벽을 구성하는 섬유질의 탄 맛이 일정량 계속 침출되기 때문으로 보인다. 인스턴트커피 및 농축 커피 용액 제조 시 관능검사 결과와 함께 GC/MS로 4-ethylguaiacol의 피크 면적 %결과를 비교 분석하면 용액의 추출수율과 관능적 품질 선호도 즉 경제성과 품질을 최적화할 수 있는 지표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verify the volatile compounds contributing to coffee off-flavor, medium roasted Colombian, Sumatra, Ethiopian and light and dark roasted Colombian bean coffees were sequentially and studiously over extracted. Eight espresso samples and eight filter-dripped samples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추출이 음용 커피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해 의도적으로 과추출을 일으키고 연속 추출 되는 커피를 일정 단위로 나누어 시료를 취해 추출 단계별 커피 향미의 변화를 관능검사하고, GC/MS로 단계별 휘발성 성분의 성분비의 변화를 측정하여 과추출에 의한 이취의 원인이 되는 휘발성 성분을 규명하며 과추출 여부를 나타내는 지표 물질을 찾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음용 커피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선행되어야 하는 과정은? 음용 커피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재배, 수확이 잘되어 질 좋은 생두를 좋은 배전기를 이용하여 적절한 기술로 배전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또한 추출과정에서 음용 커피의 절대적인 비율을 차지하는 물의 상태가 음용 품질에 큰 영향을 준다.
음용커피 추출방식은 어떠한 방향으로 개선되어 왔는가? 수 처리 시설의 살균 과정에 사용되는 염소는 물론 칼슘과 마그네슘의 함량, 물의 경도, 알칼리성이 음용커피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1). 추출 방식은 향미는 좋고 이취(off-flavor)는 감소되도록 개선되어 왔다. 커피 음용 초기인 15세기에는 단순히 커피를 곱게 갈아 물을 부은 터키식 커피로부터 시작하였으나 산업 발달과 함께 추출 기구가 개량되어 금속망으로 커피 찌꺼기를 분리한 French press 방식, 헝겊이나 종이 필터를 이용한 필터 드립 방식, 온도차에 의한 순간적 진공상태를 이용한 싸이폰 방식, 스팀에 의한 압력을 이용한 에스프레소 포트 방식, 모터의 압력을 이용한 최근의 에스프레소기계 추출 방식 등 과학적인 방법으로 개량되어왔다(2).
음용커피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인 성분은? 또한 추출과정에서 음용 커피의 절대적인 비율을 차지하는 물의 상태가 음용 품질에 큰 영향을 준다. 수 처리 시설의 살균 과정에 사용되는 염소는 물론 칼슘과 마그네슘의 함량, 물의 경도, 알칼리성이 음용커피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1). 추출 방식은 향미는 좋고 이취(off-flavor)는 감소되도록 개선되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Navarini L, Rivetti D. Water quality for Espresso coffee. Food Chem. 122: 424-428 (2010) 

  2. Bersten I. Coffee Floats Tea Sinks. Helian Books, Roseville, Australia. pp. 59-98 (1993) 

  3. Petracco M. Percolation. p. 265, 285, 303. In: Espresso Coffee 2nd ed. Illy A, Viani R. (eds) Elsevier Academic Press, London, UK (2005) 

  4. Andueza S, Vila MA, de Pena MP. Influence of coffee/water ratio on the final quality of Espresso coffee. J. Sci. Food Agr. 87: 586- 592 (2007) 

  5. Flament I. Coffee Flavor Chemistry. John Wiley & Sons, Ltd. Chichester, West Sussex, England. p. 74, 115 (2002) 

  6. Semmelroch P, Grosch W. Analysis of roasted coffee powders and brews by mgas chromatography-olfactometry of headspace samples. Lebensm.-Wiss. Technol. 28: 310-313 (1995) 

  7. Semmelroch P, Grosch W. Studies on character odorants of coffee brews. J. Agr. Food Chem. 44: 537-543 (1996) 

  8. Czerny M, Mayer F, Grosch W. Sensory study on the character impact odorants of roasted arabica coffee. J. Agr. Food Chem. 47: 695-699 (1999) 

  9. Czerny M, Grosch W. Potent odorants of raw arabica coffee: Their changes during roasting. J. Agr. Food Chem. 48: 868-872 (2000) 

  10. Mayer F, Czerny M, Grosch W. Sensory study of the character impact aroma compounds of a coffee beverage. Eur. Food Res. Technol. 211: 272-276 (2000) 

  11. Mayer F, Grosch W. Aroma simulation on the basis of the odourant composition of roasted coffee headspace. Flavour Frag. J. 16: 180-190 (2001) 

  12. Acree TE, Barnard J, Cunningham DG. A procedure for the sensory analysis of gas chromatographic effluents. Food Chem. 14: 273-286 (1984) 

  13. Grosch W. Flavour of coffee. A review. Nahrung 42: 344-350 (1998) 

  14. Diebler KD, Acree TE, Lavin EH. Aroma analysis of coffee brew by gas chromatography- olfactometry. Dev. Food Sci. 40: 69-78 (1998) 

  15. Baggenstoss J, Poisson J, Kaegi R, Perren R, Escher F. Coffee roasting and aroma formation: Application of different time-temperature conditions. J. Agr. Food Chem. 56: 5836-5846 (2008 

  16. Mayer F, Czerny M, Grosch W. Influence of provenance and roast degree on the composition of potent odorants in arabica coffees. Eur. Food Res. Technol. 209: 242-250 (1999) 

  17. Franca AS, Oliveira LS, Oliveira RCS, Agresiti PCM, Augusti R, Mendonca JCF, Silva XA. A preliminary evaluation of the effect of processing temperature on coffee roasting degree assessment. J Food. Eng. 92: 345-352 (2009) 

  18. Pamela DC, Agresti M, Franca AS, Oliviera LS, Augusti R. Discrimination between defective and non-defective Brazillian coffee beans by their volatile profile. Food Chem. 106: 787-796 (2008) 

  19. Cantergiani E, Brevard H, Krebs Y, Feria-Morales A, Amado R, Yeretzian C. Characterisation of the aroma of green Mexican coffee and identification of mouldy/earthy defect. Eur. Food Res. Technol. 212: 648-657 (2001) 

  20. Toci AT, Farah A. Volatile compounds as potential defective coffee beans' markers. Food Chem. 108: 1133-1141 (2008) 

  21. Hashim L, Chaveron H. Use of methylpyrazine ratios to monito the coffee roasting. Food Res. Int. 28: 619-623 (1996) 

  22. Maeztu L, Sanz C, Andueza S, MP De Pena, Belllo J, Cid C. Characterization of Espresso coffee aroma by static headspace GC-MS and sensory flavor profile. J. Agr. Food Chem. 49: 5437- 5444 (2001) 

  23. Guth H, Grosch W. Identification of the character impact odorants of stewed beef juice by instrumental analyses and sensory studies. J. Agr. Food Chem. 42: 2862-2866 (1994) 

  24. Kim KO, Lee YC. The Sensory Evaluation of Food. Hakyonsa, Seoul, Korea. pp.116-124, pp. 236-237 (1995) 

  25. Lingle TR. The coffee cupper's handbook; Appendix. Specialty Coffee Association of America. http://scaa.org/ Accessed date Feb. 9, 2011. 

  26. Staub C, Lingle T. The Agtron/SCAA Roast Color Classification System Specialty Coffee Association of America http://scaa.org/ Accessed date Feb. 9, 2011. 

  27. Nebesny E, Budryn G. Evaluation of sensory attributes of coffee brews from robusta coffee roasted under different conditions Eur. Food Res. Technol. 224: 159-165 (2006) 

  28. Nebesny E, Budryn G, Kula J, Majda T. The effect of roasting method on headspace composition of robusta coffee bean aroma Eur. Food Res. Technol. 225: 9-19 (2007) 

  29. Schenker S, Heinemann C, Huber M, Pompizzi R, Perren R, Escher F. Impact of roasting conditions on the formation of aroma compounds in coffee beans. J. Food Sci. 67: 60-66 (2002) 

  30. Gretsch C, Sarrazin C, Liadon R. Evolution of coffee aroma characteristics during roasting. pp. 27-34. In: 18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ffee Science, Helsinki, Finland, Association Scientific International du Cafe, Paris, France (1999) 

  31. Kranz P, Braun N, Schulze N, Kunz B. Sensory quality of functional beverages: Bitterness perception and bitter masking of olive leaf extract fortified fruit somoothies. J. Food Sci. 75: S308-S311 (2010) 

  32. Mondello L, Costa R, Tranchida PQ, Dugo P, Presti ML, Festa S, Fazio A, Dugo G. Reliable characterization of coffee bean aroma profiles by automated headspace solid phase microextraction-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with the support of dual-filter mass spectra library. J. Sep. Sci. 28: 1101-1109 (2005) 

  33. Lopez-Galilea I, Fournier N, Cid C, Guichard E. Changes in headspace volatile concentration of coffee brews caused by the roasting process and the brewing procedure. J. Agr. Food Chem. 54: 8560-8566 (2006) 

  34. Merrit C, Robertson DH, McAdoo DJ. The relationship of volatile compounds in roasted coffee beans to their precursors. pp. 144-148. In: 4th International Scientific Colloquium on Coffee, Amsterdam. ASIC, Paris, France (1970) 

  35. Baltes W. The importance of the Maillard reaction in the formation of aroma in food. Lebensm. Gerichtl. Chem. 34: 39-47 (1980) 

  36. Fiddler W, Parker WE, Wasserman AE, Doerr RC. Thermal decomposition of ferulic acid. J. Agr. Food Chem. 15: 757-761 (1967) 

  37. Blank I, Sen A, Grosch W. Potent odorants of the roasted powder and brew of arabica coffee. Z. Lebensm. Unters. For. 195: 239- 245 (1992) 

  38. Semmelroch P, Laskawy G, Blank I, Grosch W. Determination of potent odourants in roasted coffee by stable isotope dilition assays. Flavour Frag. J. 10: 1-7 (199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