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백삼,홍삼과 흑삼 추출물의 정성적 구별법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Qualitative Discrimination of White, Red, and Black Ginseng Extract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4 no.1, 2011년, pp.138 - 143  

이영상 (관세청 중앙관세분석소) ,  임덕호 (관세청 중앙관세분석소) ,  양진철 (관세청 중앙관세분석소) ,  노덕수 (관세청 중앙관세분석소) ,  김광일 (관세청 중앙관세분석소) ,  오수교 (관세청 중앙관세분석소) ,  최교찬 (관세청 중앙관세분석소) ,  차윤환 (숭의여자대학 식품영양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홍삼 추출물(5종)과 흑삼 추출물(2종)과 중국산 인삼 추출물(9종)의 말톨 정성, 지방산 조성비, 페놀성 화합물 함량을 분석하고, 이를 패턴 분석하여 특징적 요인을 정하고, 이를 통해 추출물의 정성 분석에 대한 가능성을 측정하였다. TLC를 이용한 maltol의 분석에서 백삼 추출물은 모두 불검출, 홍삼 흑삼 추출물은 모두 검출되어 말톨의 검출 여부는 정성 분석을 위한 특징적 요인으로 볼 수 있었다. 지방산 조성의 경우 palmitic과 linoleic acid가 인삼 추출물의 주요 지방산이었고, palmitic은 백삼, linoleic 은 홍삼 추출물이 높게 나타났다. 이 두 지방산의 조성을 비교한 비율Pal/Lin)의 경우 백삼 추출물에서 56.7~64.3%, 홍삼 추출물에서 32.0~38.5%로 두 값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 이 수치 역시 분석을 위한 특징적 요인으로 볼 수 있었다. 페놀성 화합물의 경우 추출물 속에서 maltol, caffeic acid, syringic acid, p-coumaric acid, ferulic acid와 cinnamic acid의 존재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백삼 추출물은 페놀성 화합물이 비슷한 비율로 존재하는 패턴을 보였지만, 홍삼 추출물은 말톨의 함량비가 크게 높았다. 페놀성 화합물 중 maltol과 cinnamic acid의 비율을 측정한 결과, 백삼 추출물에서는 5이하의 수치가 나온데 비해 홍삼 흑삼 추출물에서는 53~289의 수치를 보여 이 역시 정성 분석을 위한 특징적 요인으로 판단되었다. 실험 결과에 의해 선정된 Pal/Lin 비율과 maltol/cinnamic acid 비율과 같은 특징적 요인을 통해 인삼 추출물에 대한 정성 분석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maltol quality, composition ratio of fatty acids, and contents of phenolic compounds in white ginseng extracts(four types), red ginseng extracts(five types), black ginseng extracts(two types), and Chinese ginseng extracts(nine types). By examining patterns in these measurem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백삼과 홍삼 추출물의 말톨, 지방산 조성, 페놀성 화합물을 각각 분석․비교하여 각 추출물의 특징적 요인(characteristic factor)을 선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백삼과 홍삼추출물의 정성 판별 가능 여부를 판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출처를 알고 있는 국내산 백삼 추출물(4종), 홍삼 추출물(5종)과 흑삼 추출물(2종)과 중국산 인삼 추출물 (9종)의 말톨 정성, 지방산 조성비, 페놀성 화합물 함량을 분석하고, 이를 패턴 분석하여 특징적 요인을 정하고, 이를 통해 추출물의 정성 분석에 대한 가능성을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말톨은 어떠한 효능이 있는가? 이 반응은 전체적으로 Maillard 반응을 따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말톨은 항산화 효과가 있어 생체 노화와 관련된 지질의 과산화를 억제한다고 보고되었다(Choi 등 2002). 하지만 말톨은 홍삼 제조뿐만 아니라 백삼 제조 시 열풍 건조와 같은 열처리에 의해서도 미량 생성될 수도 있다(Nam KY 2005).
홍삼 중 여러 특이성분은 어떤 과정에서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가? 홍삼 중 여러 특이성분은 인삼을 수증기로 찌는 과정(steam process)에서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홍삼의 찌는 과정중 맥아당과 아미노산이 반응해서 불안정한 4-0-α-D-glucosyl1-deoxy-2,3-diketosaccharide를 생성하고, 다시 2-ketone group과 C-6-hydroxyl group이 cyclization되어 glycoside B로 되며, 이 물질은 다시 rearrangement 및 당의 이탈 반응으로 백삼에는 함유되어 있지 않은 비배당체 성분인 말톨(maltol)이 생성된다(Li XG 1992).
가열 처리 여부와 건조 방법에 따라 나뉘는 인삼의 분류 중 백삼은 무엇인가? 인삼은 가열 처리 여부와 건조 방법에 따라 백삼, 홍삼, 태극삼과 흑삼 등으로 분류된다. 백삼은 수삼을 익히지 아니하고 햇볕․열풍 또는 기타 방법으로 건조한 것을, 홍삼은 수삼을 수증기 또는 기타 방법으로 찐 후 건조한 것을, 태극삼은 수삼을 물로 삶은 후 건조한 것을 말한다. 흑삼은 구증구포 처리한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한국관세무역개발원. 2011. 관세율표. pp112. 협동문고 

  2. AOAC. 2005. Official Method of Analysis of AOAC Intl. 18th ed. Method 41.1.28. pp.19.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ommunities, Arlington, VA, USA 

  3. Cho HJ, Yoo DC, Cho HN, Fan LA, Kim HJ, Khang KW, Jeong HS, Yang SA, Lee IS, Jhee KH. 2008. Analysis of phytochemicals in popular medicinal herbs by HPLC and GC-MS. Korean J Food Sci Technol 40:277-282 

  4. Choi HJ, Zhang YB, Bae MJ, Choi C. 2002. Identification of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from Panax ginseng C.A. Mey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4:493-497 

  5. Choi KJ, Kim DH. 1985. Studies on the lipid components of fresh ginseng, red ginseng and white ginseng. Kor J Pharmacogn 15:141-150 

  6. Hwang EY, Kong YH, Lee YC, Kim YC, Yoo KM, Jo YO, Choi SY. 2006. Comparison of phenolic compounds contents between white and red ginseng and their inhibitory effect on melanin biosynthesis. J Ginseng Res 30:82-87 

  7. Kitagawa I. 1992. Chemical investigation of naturally occuring drug materials. Elucidation of scientific basis for traditional medicines and exploitation of new naturally occurring drug. Yakugaku Zasshi 112:1-41 

  8. Kong YH, Lee YC, Choi SY. 2009. Neuroprotective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phenolic compounds in Panax ginseng C.A. Meyer. J Ginseng Res 33:111-114 

  9. Li XG. 1992. Studies on the transforming mechanism of amino acid components in the course of ginseng processing. Korean J Ginseng Sci 16:64-67 

  10. Nam KY. 2005. The comparative understanding between red ginseng and white ginsengs processed ginsengs (Panax ginseng C.A. Meyer). J Ginseng Res 29:1-18 

  11. Park CK, Jeon BS, Yang JW. 2003. The chemical components of Korean ginseng. Food Industry and Nutrition 8:10-23 

  12. Ryu GH. 2003. Present status of red ginseng products and its manufacturing process. Food Industry and Nutrition 8:8-42 

  13. Shoji KY. 1999.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ginseng. Natural Medicines 53:55-59 

  14. Wee JJ, Shin JY, Kim SK, Kim MY. 1998. Comparison of phenolic components between Korean and American ginseng by thin-layer chromatography. J Ginseng Res 22:91-9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