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사기록과 인터뷰를 이용한 일부 저소득층 아동의 식사 구성 및 식행동 조사
Assessment of Meal Quality and Dietary Behaviors of Children in Low-Income Families by Diet Records and Interview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4 no.2, 2011년, pp.145 - 152  

박은영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양교육) ,  한성림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혜경 (가톨릭대학교 식품영양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eal quality and dietary behaviors of low-income family children by qualitative method. The subjects were 12 children(2 boys and 10 girls) aged 7 to 11, enrolled in an after-school care center in Kimpo, Gyeonggi province. Most of their mothers had jobs(83....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저소득층 아동의 식습관 및 식생활 실태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정보를 얻기 위해 대상자에 대한 개인별 면담과 집중집단 면접(focus group interview)을 이용하여 개방형 질문에 대한 아동들의 반응으로 정보를 얻는 질적 방법을 사용하여, 아동의 식사 구성 및 식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고, 영양 개선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저소득층 아동의 식습관 및 식생활 행태에 대한 심층적인 정보를 얻고자 경기도 김포시 일부 초등학교 방과후 보금자리 교실 아동 12명을 대상으로 식사 일기를 기록하게 하고, 개인별 면담과 집중 집단면접을 실시하였다.

가설 설정

  • - 미역국 중에 쇠고기미역국이 제일 좋다. 오늘 아침에도 먹고 왔지만, 좋아하는 국이라 밥을 넣고 김치랑 먹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저소득층 아동의 식습관 및 식생활 행태를 알아보기 위해 경기도 김포시 일부 초등학교 방과후 보금자리 교실 아동 12명을 대상으로 식사 일기를 기록하게 하고, 개인별 면담과 집중 집단면접을 실시한 결과를 종합해 보면 무엇을 알 수 있었는가?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저소득층 아동은 식사 구성면에서 단백질 공급원인 주된 부식의 섭취 비율이 낮고, 특히 과일 및 조리된 채소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고, 가정 내 식생활 관리자의 역할 부재나 식사 준비 소홀이 식행동 문제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저소득층 아동의 영양 개선을 위해서는 대상 아동의 영양 교육뿐만 아니라 식사 준비자인 부모들에 대한 영양 교육을 통한 영양 관리능력 향상이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학동기란? 학동기는 7세에서 12세까지의 초등학교 아동의 연령에 해당되는 시기로 신체적 성장 속도는 완만하나, 청소년기의 급속한 성장을 준비하는 시기로 영양소의 적절한 섭취가 매우 필수적이며(Trahms 2000), 이를 위해 균형 잡힌 영양 공급과 올바른 식습관의 확립은 매우 중요하다. 어릴 때의 식습관은 성장 발육뿐만 아니라 인지 발달, 성격 형성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다(Caliendo 등 1977).
식습관이란? 식습관이란 음식의 기호 또는 음식에 대한 행동 등을 의미하며, 특히 아동의 식습관은 가족의 식품 섭취 상황, 사회관습, 식품 공급, 경제적 요인 등에 의해 큰 영향을 받는다. 급격한 사회경제적 요인의 변화에 따라 저소득층 아동들은 식생활을 비롯한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높고, 그 결과 심신의 발육과 정상적인 학업 성취의 어려움이 초래되어 빈곤이 악순환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Caliendo MA, Sanjur D, Wright J, Cummings G. 1977. Nutritional status of preschool children. J Am Diet Assoc 71:20-29 

  2. Chang HS, Kim MJ. 2006. The study of dietary behavio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in Chungnam area according to the school food service type, gender and grade. Kor J Comm Nutr 11:608-617 

  3. Choe JS, Chun HK, Chung GJ, Nam HJ. 2003. Relations between the dietary habit and academic achievement, subjective health judgement, physical status of high school stud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627-635 

  4. Chung H, Eum YH, Kim JY. 2008. A study on the children's eating habits and food preference according to their parents' economic status (I). Kor J Nutr 41:77-88 

  5. Department of Health and Welfare,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06.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II), 2005- Nutrition Survey (I). Department of Health and Welfare 

  6. Gross SM, Pollock ED, Braun B. 2010. Family influence: key to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among fourth- and fifthgrade students. J Nutr Edu Behav 42:235-241 

  7. Jeong NY, Kim KW. 2009. Nutrition knowledge and eating behavior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Seoul. Kor J Comm Nutr 14:55-66 

  8. Kant AK, Block G, Schatzkin A, Ziegler RG, Nestle M. 1991a. Dietary diversity in the US population, NHANES II, 1976- 1980. J Am Diet Assoc 91:1526-1531 

  9. Kant AK, Block G, Schatzkin A, Ziegler RG, Nestle M. 1991b. Food group intake patterns and associated nutrient profiles of the US population. J Am Diet Assoc 91:1532-1537 

  10. Kim YO. 2001. Food and nutrient consumption patterns of Korean adults by socioeconomic status. Kor J Comm Nutr 6:645-656 

  11. Kim YS, Rha YA. 2005. A study for dietary behavio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by gender. Kor J Culinary Res 11:77-91 

  12. Kleinman RE, Hall S, Green H, Korzec-Ramirez D, Pattern K, Pagano ME, Murphy JM. 2002. Diet, breakfast and academic performance in children. Ann Nutr Metab 46:S24-30 

  13.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Korean Pediatric Society. 2007. Korean national growth charts 

  14.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0. Monthly income and expenditure per household. http://kostat.go.kr 2011. 1.1 방문 

  15. Krueger RA. 1994. Focus Group Interviewing: A Practical Guide for Applied Research. 2nd ed. St. Paul, MN, Richard A. Krueger 

  16. Lee H. 1998. A study of the dietary habits and food preferenc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Pocheon-gun. Kor J Comm Nutr 3:818-829 

  17. Lee YM. 2006. Eating trends in Korean children. Kor J Comm Nutr 11:819-835 

  18. Lopez-Sobaler AM, Ortega RM, Quintas ME, Navia B, Requejo AM. 2003. Relationship between habitual breakfast and intellectual performance(logical reasoning) in well-nourished schoolchildren of Madrid(Spain). Eur J Clin Nutr 57:S49-53 

  19. Nam KH, Kim YM, Lee GE, Lee YN, Joung H. 2006. Physical development and dietary behaviors of children in low-income families of Seoul area. Kor J Comm Nutr 11:172-179 

  20. Oh SY, Kim MY, Hong MJ, Chung HR. 2002. Food security and children's nutritional status of the households supported by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 Kor J Nutr 35:650-657 

  21. Patrick HC, Kitty S, Shelly L. 2001. Children in food-insufficient, low income families. Arch Pediatr Adolesc Med 155:508-514 

  22. Sausenthaler S, Kompauer I, Mielck A, Borte M, Herbarth O, Schaaf B, von Berg A, Heinrich J. 2007. Impact of parental education and income inequality on children's food intake. Public Health Nutr 10:24-33 

  23. Sung CJ, Sung MK, Choi MK, Kim MH, Seo YL, Park ES, Baik JJ, Seo JS, Mo SM. 2003. Comparison of the food and nutrition ecology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by regions. Kor J Comm Nutr 8:642-651 

  24. Trahms CM. 2000. Nutrition in Childhood in: Nutrition throughout the Life Cycle. p248. Worthington-Roberts BS, Williams SR eds. McGraw-Hill, Bost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