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research on facial palsy sequelae and evaluating scale that have studied insufficiently until now. Methods : We researched on the symptoms, epidemiology and evaluating scale of facial palsy sequelae. For this, we searched the research papers on facial pals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사실 일차성 안면경련과 안면마비 후유증으로 나타나는 안면경련은 비록 그 원인이 다르지만 임상적인 양상은 거의 비슷하다15). 그래서 전체 안면경련으로 범위를 넓혀서 안면경련을 평가한 논문을 검색하였다. 조 등34)과 김 등35)은 안면경련을 평가할 때 Scott가 개발한 scale (Table 10)을 사용하였다.
  • 이에 안면마비 후유증 및 평가 방법에 대해 자세히 고찰하고자 한다.
  •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KISS(한국학술정보), RISS(한국교육학술정보원)를 통해 안면마비 후유증과 관련된 논문을 검색하였다. 특히 안면마비 후유증을 평가할 수 있는 scale을 찾기 위해 안면마비 후유증의 scale을 언급한 논문 및 안면마비 후유증의 치료 효과를 밝힌 논문을 검색하여 그 논문들이 안면마비 후유증을 어떻게 평가하였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안면마비란 무엇인가? 안면마비는 얼굴의 한쪽 면에 나타나는 안면신경의 급성 마비이다. 안면신경은 안면근육의 운동을 담당하는 섬유뿐만 아니라 등골근, 눈물샘, 침샘, 귀의 일부 감각, 혀의 앞 2/3 미각을 담당하는 섬유를 포함하고 있다.
안면신경에 포함된 섬유신경의 범위는? 안면마비는 얼굴의 한쪽 면에 나타나는 안면신경의 급성 마비이다. 안면신경은 안면근육의 운동을 담당하는 섬유뿐만 아니라 등골근, 눈물샘, 침샘, 귀의 일부 감각, 혀의 앞 2/3 미각을 담당하는 섬유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안면마비가 발생하면 한쪽 안면근육의 약화로 표정을 지을 수 없게 되고, 안구 건조, 침 분비 감소, 귀 주변의 통증 및 저린 감각, 미각 저하, 청각 과민, 눈물 감소 등이 나타날 수 있다1).
안면신경에 마비가 올 경우 어떤 증상이 발생하는가? 안면신경은 안면근육의 운동을 담당하는 섬유뿐만 아니라 등골근, 눈물샘, 침샘, 귀의 일부 감각, 혀의 앞 2/3 미각을 담당하는 섬유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안면마비가 발생하면 한쪽 안면근육의 약화로 표정을 지을 수 없게 되고, 안구 건조, 침 분비 감소, 귀 주변의 통증 및 저린 감각, 미각 저하, 청각 과민, 눈물 감소 등이 나타날 수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Finsterer J. Management of peripheral facial nerve palsy. Eur Arch Otorhinolaryngol. 2008 ; 265(7) : 743-52. 

  2. Peitersen E. Bell's palsy: the spontaneous course of 2,500 peripheral facial nerve palsies of different etiologies. Acta Otolaryngol. 2002 ; 549 : 4-30. 

  3. Peitersen E. The natural history of Bell's palsy. Am J Otol. 1982 ; 4(2) : 107-11. 

  4. Yamamoto E, Nishimura H, Hirono Y. Occurrence of sequelae in Bell's palsy. Acta Otolaryngol. 1988 ; 446 : 93-6. 

  5. 인창식, 강미경, 김종덕, 홍장무, 서동민, 우현수, 이현종, 하지영, 강중원, 박상민, 서병관, 정인태, 이상훈, 고형균. 구안와사 후유증의 분포와 인식도에 대한 단면조사. 대한침구학회지. 2003 ; 20(3) : 24-33. 

  6. Murata K, Nishimoto C, Ohta F. Prediction of sequelae following facial nerve palsy. ORL J Otorhinolaryngol Relat Spec. 1990 ; 52(1) : 35-9. 

  7. 김종인, 고형균, 김창환. 구안화사의 평가방법에 대한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2001 ; 18(2) : 1-17. 

  8. Valls-Sole J. Facial palsy, postparalytic facial syndrome, and hemifacial spasm. Mov Disord. 2002 ; 17(2) : 49-52. 

  9. Beurskens CH, Oosterhof J, Nijhuis-van der Sanden MW. Frequency and location of synkineses in patients with peripheral facial nerve paresis. Otol Neurotol. 2010 ; 31(4) : 671-5. 

  10. Nakamura K, Toda N, Sakamaki K, Kashima K, Takeda N. Biofeedback rehabilitation for prevention of synkinesis after facial palsy.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03 ; 128(4) : 539-43. 

  11. Husseman J, Mehta RP. Management of synkinesis. Facial Plast Surg. 2008 ; 24(2) : 242-9. 

  12. Bulstrode NW, Harrison DH. The phenomenon of the late recovered Bell's palsy: treatment options to improve facial symmetry. Plast Reconstr Surg. 2005 ; 115(6) : 1466-71. 

  13. Valls-Sole J. Electrodiagnostic studies of the facial nerve in peripheral facial palsy and hemifacial spasm. Muscle Nerve. 2007 ; 36(1) : 14-20. 

  14. Colosimo C, Bologna M, Lamberti S, Avanzino L, Marinelli L, Fabbrini G, Abbruzzese G, Defazio G, Berardelli A. A comparative study of primary and secondary hemifacial spasm. Arch Neurol. 2006 ; 63(3) : 441-4. 

  15. Felicio AC, Godeiro-Junior Cde O, Borges V, Silva SM, Ferraz HB. Clinical assessment of patients with primary and postparalytic hemifacial spasm: a retrospective study. Arq Neuropsiquiatr. 2007 ; 65(3) : 783-6. 

  16. Valls-Sole J, Montero J. Movement disorders in patients with peripheral facial palsy. Mov Disord. 2003 ; 18(12) : 1424-35. 

  17. Martinelli P, Gabellini AS, Lugaresi E. Facial nucleus involvement in postparalytic hemifacial spasm.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1983 ; 46(6) : 586-7. 

  18. Tan EK, Chan LL. Primary vs postparalytic hemifacial spasm. Arch Neurol. 2006 ; 63(8) : 1204. 

  19. Kawai M. Sequelae and transient sequelaelike symptoms in Bell's palsy. Nippon Jibiinkoka Gakkai Kaiho. 1989 ; 92(1) : 88-92. 

  20. 황정민, 장진호. 안면신경마비 후 발생한 악어눈물 3례. 대한안과학회지. 1996 ; 37(4) : 734-7. 

  21. Yagi N, Nakatani H. Crocodile tears and thread test of lacrimation. Ann Otol Rhinol Laryngol. 1986 ; 122 : 13-6. 

  22. McCoy FJ, Goodman RC. The crocodile tear syndrome. Plast Reconstr Surg. 1979 ; 63(1) : 58-62. 

  23. Balaguer Garcia R, Casana Perez S, Suarez- Varela MM, Escudero Torrella M, Dalmau Galofre J. Sequelae of peripheral facial palsy. Acta Otorrinolaringol Esp. 2010 ; 61(2) : 89-93. 

  24. Jabor MA, Gianoli G. Management of Bell's palsy. J La State Med Soc. 1996 ; 148(7) : 279-83. 

  25. Kanaya K, Ushio M, Kondo K, Hagisawa M, Suzukawa K, Yamaguchi T, Tojima H, Suzuki M, Yamasoba T. Recovery of facial movement and facial synkinesis in Bell's palsy patients. Otol Neurotol. 2009 ; 30(5) : 640-4. 

  26. Wong CL, Wong VC. Effect of acupuncture in a patient with 7-year-history of Bell's palsy. J Altern Complement Med. 2008 ; 14(7) : 847-53. 

  27. Beurskens CH, Heymans PG. Positive effects of mime therapy on sequelae of facial paralysis stiffness, lip mobility, and social and physical aspects of facial disability. Otol Neurotol. 2003 ; 24(4) : 677-81. 

  28. VanSwearingen JM, Brach JS. The Facial Disability Index: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disability assessment instrument for disorders of the facial neuromuscular system. Phys Ther. 1996 ; 76(12) : 1288-98. 

  29. Coulson SE, Croxson GR, Adams RD, O'Dwyer NJ. Reliability of the "Sydney," "Sunnybrook," and "House Brackmann" facial grading systems to assess voluntary movement and synkinesis after facial nerve paralysis.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05 ; 132(4) : 543-9. 

  30. Mehta RP, Wernick Robinson M, Hadlock TA. Validation of the Synkinesis Assessment Questionnaire. Laryngoscope. 2007 ; 117(5) : 923-6. 

  31. 김남권. 안면신경마비 후유증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한의학회지. 2002 ; 23(1) : 100-11. 

  32. VanSwearingen JM, Brach JS. Changes in facial movement and synkinesis with facial neuromuscular reeducation. Plast Reconstr Surg. 2003 ; 111(7) : 2370-5. 

  33. Boroojerdi B, Ferbert A, Schwarz M, Herath H, Noth J. Botulinum toxin treatment of synkinesia and hyperlacrimation after facial palsy.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1998 ; 65(1) : 111-4. 

  34. 조현석, 최유행, 장준혁. 편측안면경련 환자 5례에 대한 증례보고. 대한침구학회지. 2000 ; 17(4) : 188-99. 

  35. 김태우, 김효은, 조명제, 강영화, 이재동. 동씨침을 시술한 안면경련의 치험 3례. 대한침구학회지. 2003 ; 20(1) : 218-27. 

  36. Tan EK, Hameed S, Fook-Chong S, Hussein K, Lum SY, Chan LL. Treatment outcome correlates with knowledge of disease in hemifacial spasm. Clin Neurol Neurosurg. 2008 ; 110(8) : 813-7. 

  37. Kurt T, Secil Y, Gurgor N, Tokucoglu F, Beckmann Y, Ertekin C. The effects of botulinum toxin A on ephaptic transmission in idiopathic hemifacial spasm. Int J Neurosci. 2009 ; 119(11) : 2044-55. 

  38. Kollewe K, Mohammadi B, Dengler R, Dressler D. Hemifacial spasm and reinnervation synkinesias: long-term treatment with either Botox or Dysport. J Neural Transm. 2010 ; 117(6) : 759-63. 

  39. Rudzinska M, Wojcik M, Szczudlik A. Hemifacial spasm non-motor and motor-related symptoms and their response to botulinum toxin therapy. J Neural Transm. 2010 ; 117(6) : 765-72. 

  40. Tan EK, Fook-Chong S, Lum SY, Thumboo J. Validation of a short disease specific quality of life scale for hemifacial spasm: correlation with SF-36.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2005 ; 76(12) : 1707-10. 

  41. Huang YC, Fan JY, Ro LS, Lyu RK, Chang HS, Chen ST, Hsu WC, Chen CM, Wu YR. Validation of a Chinese version of disease specific quality of life scale(HFS-36) for hemifacial spasm in Taiwan. Health Qual Life Outcomes. 2009 ; 7 : 104 

  42. Nava-Castaneda A, Tovilla-Canales JL, Boullosa V, Tovilla-y-Pomar JL, Monroy-Serrano MH, Tapia-Guerra V, Garfias Y. Duration of botulinum toxin effect in the treatment of crocodile tears. Ophthal Plast Reconstr Surg. 2006 ; 22(6) : 453-6. 

  43. Montoya FJ, Riddell CE, Caesar R, Hague S. Treatment of gustatory hyperlacrimation (crocodile tears) with injection of botulinum toxin into the lacrimal gland. Eye. 2002 ; 16(6) : 705-9. 

  44. Pardal-Fernandez JM, Garcia-Alvarez G, Iniesta- Lopez I. Abnormalities induced in reciprocal inhibition between orbicularis oculi and levator palpebrae following peripheral facial palsy. Electromyogr Clin Neurophysiol. 2009 ; 49(6-7) : 299-30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