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패션명품 소비가치가 브랜드 관계유지의도에 미치는 영향 -명품 구매액과 구매브랜드 수에 따른 세분시장별 분석-
The Effect of Fashion Luxury Consumption Values on the Intention to Maintain Brand Relationships -Differences among Segmented Markets Based on Purchasing Patterns-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5 no.4, 2011년, pp.408 - 420  

김현숙 (배재대학교 의류패션학과) ,  문희강 (배재대학교 가정교육학과) ,  추호정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  윤남희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dentifies the fashion luxury customer segments grouped by expenditures and the number of purchasing brands to verify the effects of perceived luxury consumption values on the intention to maintain a brand relationship for each group. A survey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implemented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 패션명품 구매행동(구매액, 구매브랜드 수)에 따라 유형화된 세분집단별로 패션명품 소비가치가 브랜드 관계유지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 그러나, 패션소비자의 특성은 한가지 측면만으로 파악하기 힘들고 여러 브랜드와의 관계형성에 따라 복합적인 행동을 나타냄을 고려할 때 여러 행위변수에 의한 복합적인 시장세분화 연구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패션명품 구매행동에 의한 시장세분화 변수로 명품 구매액과 구매브랜드 수를 도입하고 이하에서 이에 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겠다. 명품 구매액은 명품 소비지출로 정의하고(Goldsmith, 2002) 명품 구매브랜드 수는 구매경험이 있는 명품 브랜드의 수로 정의하고자 한다(Yim &Kannan, 1999).
  • 명품 소비가치의 중요성과 행위적 시장세분화의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명품 구매액 및 구매브랜드 수에 따라 명품 시장을 세분화하고 각세분시장에서 브랜드 관계유지의도에 영향을 주는 명품 소비가치를 파악하고자 한다. 기업의 궁극적인 목표가 고객과의 관계형성에 의한 장기적인 관계유지에 있음을 고려할 때 소비자 행위에 의해 분류한 각 세분시장에서 브랜드 관계유지의도에 영향을 주는 소비가치를 파악하는 것은 고객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장기적 관계를 발전시킬 수 있는 중요한 마케팅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 본 연구는 최근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명품 소비를 이해하기 위해 다양한 명품 소비자를 명품 구매액과 구매브랜드 수에 따라 유형화하고 그들의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으며 유형화된 집단별로 브랜드의 관계유지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명품 소비가치의 차이를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김미숙, 김태연. (1996). 국외상표의 정장의류에 대한 구매행동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0(3), 481-492. 

  2. 김정현, 최현자. (2002). 소득탄력성을 통해 본 도시가계의 소비지출양식에 관한 연구. 소비자학연구, 13(4), 269-292. 

  3. 김지연. (2005). 패션상품 소비자의 관계혜택지각이 장기적 관계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4. 김지연, 황상민. (2009). 한국 사회의 명품 소비자 유형과 소비특성. 주관성연구, 19, 43-59. 

  5. 김현숙, 추호정, 김상조. (2008). 의복대량구매자 측정을 위한 의복소비지출과 대량구매동기 분석. 소비문화연구, 11(4), 73-93. 

  6. 문희강. (2008). 상표충성 소비자의 상표관계본질과 상표충성성향. 대한가정학회지, 46(3), 57-71. 

  7. 박광희, 윤성준. (1994). 유행인지도와 의복비 지출에 대한 남녀 차이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8(5), 682-691. 

  8. 박지회. (2006). 의류제품 구매결정 단계별 상표선택에 따른 상표충성유형.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불황에도 백화점 명품 매출 상승. (2010, 3. 29). 헤럴드생생뉴스. 자료검색일 2010, 7. 5, 자료출처 http://www.heraldbiz.com 

  10. 서민애, 박광희. (2001). 수입 여성의류 구매유무에 따른 의복행동-쇼핑성향과 구매행동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9(6), 79-92. 

  11. 신수연, 나현정. (2003). 애고점포에 따른 명품 브랜드 소비자의 쇼핑성향 및 점포속성중요도. 복식문화연구, 11(4), 474-486. 

  12. 윤성욱, 한지희. (2008). 고객가치에 근거한 명품 소비자의 시장세분화에 관한 탐색적 연구. 소비자학연구, 19(4), 135-159. 

  13. 주영혁. (2005). 제조회사에 대한 상대적 선호도가 제품의 전반적 만족도와 관계유지의도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학연구, 16(3), 1-23. 

  14. 최선형. (2001). 패션명품에 대한 태도연구. 복식문화연구, 9(6), 842-854. 

  15. 최윤정. (2004). 패션상품의 상표자산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6. 최은주. (2009). 항공사 이벤트의 서비스 품질 지각과 가치, 관계유지의도와의 영향관계. 관광연구, 24(5), 63-84. 

  17. 한수진. (2007). 명품 구매경험에 따른 명품 구매행동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3), 137-149. 

  18. 황진숙, 양정하. (2004). 패션제품의 명품 추구혜택과 상표 충성도의 관계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8(6), 862-871. 

  19. Berry, L. L., & Parasuraman, A. (1991). Marketing services: Competing through quality. New York: The Free Press. 

  20. Cailleux, H., Mignot, C., & Kapferer, J. (2009). Is CRM for luxury brands? Journal of Brand Management, 16(5/6), 406-412. 

  21. Gaby, O. S., Kristof, D. W., & Patrick S. (2003). Strengthing outcomes of retailer-consumer relationships-The dual impact of relationship marketing tactics and consumer personality-.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56(3), 177-190. 

  22. Goldsmith, R. (2000). Characteristics of the heavy user of fashionable clothing. Journal of Marketing Theory and Practice, 8(4), 21-28. 

  23. Goldsmith, R. (2002). Some personality traits of frequent clothing buyers. Journal of Fashion Marketing and Management, 6(3), 303-316. 

  24. Gounaris, S., Txempelikos, N., & Chatzipanagiotou, K. (2007). The relationships of customer-perceived value, satisfaction, loyalty and behavioral intentions. Journal of Relationship Marketing, 6(1), 63-87. 

  25. Grover, R., & Srinivasan, V. (1987). A simultaneous approach to market segmentation and market structuring.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4, 139-153. 

  26. Jacoby, J., & Kyner, D. B. (1973). Brand loyalty versus repeat purchasing behavi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0, 1-9. 

  27. Jewell, R. D., & Unnava, H. R. (2004). Exploring differences in attitudes between light and heavy brand users.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14(1/2), 75-80. 

  28. Kapferer, J., & Bastien, V. (2009). The specificity of luxury management: Turning marketing upside down. Journal of Brand Management, 16(5/6), 311-322. 

  29. Kimiloglu, H., & Nasir, V. A. (2010). Discovering behavioral segments in the mobile phone market.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27(5), 401-413. 

  30. Kumar, P. (2002). The impact of performance, cost, and competitive considera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 in business markets. Journal of Service Research, 5(1), 55-68. 

  31. Mathwick, C., Malhotra, N., & Rigdon, E. (2001). Experiential value: Conceptualization, measurement and application in the catalog and Internet shopping environment. Journal of Retailing, 77(1), 39-56. 

  32. Sheth, J., Newman, B., & Gross, B. (1991). Why we buy what we buy: A theory of consumption value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22(2), 159-170. 

  33. Sinha, P. K., & Uniyal, D. P. (2005). Using observational research for behavioral segmentation of shoppers. Journal of Retailing and Consumer Services, 12, 35-48. 

  34. Smith, J. B., & Colgate, M. (2007). Customer value creation: A practical framework. Journal of marketing Theory and Practice, 15(1), 7-23. 

  35. Tynan, C., Mckechnie, S., & Chhuon, C. (2010). Co-creating value for luxury brand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63(11), 1156-1163. 

  36. Vigneron, F., & Johnson, L. (1999). A review and a conceptual framework of prestige-seeking consumer behavior.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Review, 1999(1), 1-17. 

  37. Vigneron, F., & Johnson, L. (2004). Measuring perception of brand luxury. Journal of Brand Management, 11(6), 484-506. 

  38. Wansink, B., & Park, S. B. (2000). Methods and measures that profile heavy users.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40(4), 61-72. 

  39. Wiedmann, K., Hennigs, N., & Siebels, A. (2009). Value-based segmentation of luxury consumption behavior. Psychology and Marketing, 26(7), 625-651. 

  40. Woodruff, R. B. (1997). Customer value: The next source for competitive advantage.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25(2), 139-153. 

  41. Yim, C. K., & Kannan, P. K. (1999). Consumer behavioral loyalty: A segmentation model and analysi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44, 75-9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