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개 지역사회 중심 가정간호사업소의 운영실태 및 운영방안
A Study on the Operating Status of Community-based Home Health Care Centers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17 no.2, 2011년, pp.180 - 188  

이은희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박성애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evaluate the operating status of community-based home health center for revitalization of the centers. Method: In this study performance data including organization plan and service utilization plan were evaluated according process theory. Target of evaluation was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S대학교 간호대학 가정간호사업소의 실적자료에 근거하여 조직구조와 서비스 제공체계를 평가하는 것이다. 평가에 필요한 자료는 실적통계, 운영보고서, 근무자 면담, 관찰을 통해 수집하였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지역사회 중심 가정간호사업소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로 국내 유일한 S 대학교 간호대학 가정간호사업소의 구조적 문제와 서비스 제공체계를 평가한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 중심 가정간호사업의 조직구조와 서비스 제공체계의 방향을 점검하고, 이를 통해 추후 지역사회중심 가정간호사업소의 조직 운영방안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 중심 가정간호사업의 활성화를 위해 국내 유일한 독립형 민간위탁 모델인 S 대학교 간호대학 가정간호사 업소의 운영체계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결과 가정간호사업소의 조직측면에서 취약한 부분은 정보시스템과 재정운영 부분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가정간호사업은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가? 우리나라 가정간호사업은 조기퇴원 환자를 위한 가정간호사업이 현재 112여 개의 의료기관 중심 가정간호서비스가 운영되고 있고(Korea Academic Society of Home Care Nursing, 2011), 1.2차 의료기관에서 입원을 종료한 환자와 지역사회에 방치되고 있는 만성질환자와 그 가족이 이용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 중심 가정간호사업소를 운영하고 있다. 지역사회 중심 가정간호사업소로 운영하고 있는 곳은 K병원 산하 가정간호사업소와 S 병원내 가정간호사업소, S 대학교 간호대학 내에 설치된 가정간호사 업소가 있는데, 병원에 속해 있는 두 기관의 경우 의료기관 중심 가정간호사업소와 지역사회 중심 가정간호사업소를 혼재한 형태이며(Hong, 2007), S 대학교 간호대학 가정간호사업소는 독립형 민간위탁 모델을 가지고 운영하고 있다.
의료기관 중심 가정간호사업의 제한점은 무엇이었는가? 의료기관 중심 가정간호사업의 경우 병원에서 퇴원한 환자에게만 서비스가 제공됨에 따라 가정간호센터가 없는 의료기관에서 퇴원한 환자는 서비스 이용이 제한되었으며, 또한 보건소의 방문간호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대상자 중 중증도가 높은 지역 사회 취약계층의 경우에도 의료기관 중심 가정간호서비스 이용이 제한적이었다. 이러한 대상자들에게 지역사회 중심 가정간호는 매우 유용한 형태로 제시되었는데(Ryu, 2007), 추후 인구의 고령화에 따른 만성질환의 증가로 지속적으로 보건의료서비스의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이러한 서비스 형태는 활성화 될 필요성이 있다.
가정간호사업소는 무엇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가? S 대학교 간호대학 내에 설치된 가정간호사업소는 1996년 9월부터 연구과제로 채택되며 서비스 제공을 시작하였고, 2003년 본격적으로 사업소를 개설하여 현재까지 8년간 운영되고 있다. 위 사업소는 가정간호의 적정 질 유지를 위한 표준화 정보체계를 구축하고, 계속 교육프로그램을 개발, 가정간호 수가체계 개발, 가정간호 의료체계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현재 각급 의료기관, 지역사회, 산업장, 보건소, 대상자 개인 등 다양한 의뢰처로부터 오는 대상자들을 등록을 받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Park et al., 2000; Ryu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rthur, H. M., Smith, K. M., Kodis, J., & Mckelvin, R. (2002). A controlled trial of hospital versus home-based exercise in cardiac patients.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34(10), 1544-1550. 

  2. Baek, H. C., Song, C. R., & Kim, H. Y. (2003). An analysis of home health care travel cost.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Society of Home Care Nursing, 10(1), 52-57. 

  3. Carlson, J. J., Johnson, J. A., Franklin, B. A., & VanderLaan, R. L. (2000). Program participation, exercise adherence, cardiovascular outcomes, and program cost of traditional versus modified cardiac rehabilitation. The American Journal of Cardiology, 86(1), 17-23. 

  4. Cho, W. J., Kim, C. J., Lee, W. H., Kang, K. S., Oh, E. G., & Park, H. O. (2004).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community-based home care nursing service program. Journal of Korean Academy Community Health Nursing, 15(2), 209-217. 

  5. Ciechanowski, R., Wagner, E., Schmaling, K., Schwartz, S., Williams, B., Diehr, P., Kulzer, J., Gray, S., Collier, C., & LoGerfo, J. (2004). Community-integrated home-based depression treatment in older adul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91(13), 1569-1577. 

  6. Dalal, H. M., Zawada, A., Jolly, K., Moxham, T., & Taylor, R. S. (2010). Home based versus centre based cardiac rehabilitation: Cochrane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British Medical Journal, 340, b5631. 

  7. Hong, M. S. (2007). Research of texts to examine the means of vitalizing locality-centered home nursing program.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8. Hong, J. U., & Yoon, S. N. (2000). Estimation of home care nursing cost to the patient with cerebrovascular disease based on a bundle of home care nursing servic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Society of Home Care Nursing, 7(1), 26-38. 

  9. Hwang, N. M. (1996). Evaluation of hospital-based home nursing care project I.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 Seoul. 

  10. Jolly, K., Lip, G. Y., Taylor, R. S., Raftery, J., Mant, J., Lane, D., Greenfield, S., & Stevens, A. (2009). The Birmingham rehabilitation uptake maximization study (BRUM):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omparing home-based with centre-based cardiac rehabilitation. Heart, 95, 36-42. 

  11. Korea Academic Society of Home Care Nursing (2011). Retrieved Feburary 2011 from http://society.kisti.re.kr/-khcn/ 

  12. Lloyd, J. M., Martin, R., Rajagopolam, S., Zieneh, N., & Hartley, R. (2010). An innovative and cost-effective way of managing ankle fractures prior to surgery-home therapy. Annals of the Royal College of Surgeons of England, 92(7), 615-618. 

  13. Marchionni, N., Fattirolli, F., Fumagalli, S, Oldridge, N., Del Lungo, F., Morosi, L., Burgisser, C., & Masotti, G. (2003). Improved exercise tolerance and quality of life with cardiac rehabilitation of older patients after myocardial infarction: results of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irculation, 107(17), 2201-2206. 

  1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0). Long-term development plan for expansion and settlement of home health care program.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0). Services manual of hospitalbased home nursing car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6. Park, H. S. (2007). Means of vitalizing visitation nursing programs of public health centers connected with local society home nurs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17. Park, J. H., Kim, M. J., Hong, K. J., Han, K. J., Park, S. A., Yun, S. N., Lee, I. S., Cho, H., & Bang, K. S. (2000). Development and analysis of community based independent home care nursing servi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0(6), 1455-1466. 

  18. Park, J, Y., & Ko, S. K. (2000). Cost-benefit analysis of the community-based home health care program. Korean Health Economic review, 6(2), 203-245. 

  19. Park, S. A. (2010). Report of home health care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home health care center during 2003-2009. Seoul National University Home Health Care Center. 

  20. Rabins, P. V., Black, B. S., Roca, R., German, P., McGuire, M., Robbins, B., Rye R., & Brant, L. (2000). Effectiveness of a nurse-based outreach program for identifying and treating psychiatric illness in the elderly. Journal of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83(21), 2802-2809. 

  21. Ryu, H. S. (2006). Current status of costs and utilizations of hospital based home health nursing care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7), 1193-1203. 

  22. Ryu, H. S. (2007). Home health care on Korea-Home health care nursing, visiting health care nursing, visiting health car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Society of Home Care Nursing, 14(2), 98-105. 

  23. Ryu, H. S., Jo, H. S., Kim, Y. O., Yoon, Y. M., Song, J. R., Lim, J. Y., Khim, S. Y., & Kim, I. A. (2005). Working conditions in home health care nursing: A survey of home care nurses in hospital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7), 1229-1237. 

  24. Ryu, H. S., Lee, S. W., Moon, H. J., Hwang, N. M., Park, S. A., Park, J. S., Choi, H. J., Jung, K. S., Han, S. A., & Lim, J. Y. (2000). A preliminary study for evaluating on demonstration project of community-based home health care nursing services by the Seoul Nurses Associ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0(6), 1488-1502. 

  25. Smith, K. M., Arthur, H. M., Mckelvin, R., & Kodis, J. (2004). Differences in sustainability of exercise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utcomes following home or hospital-based cardiac rehabilitation. European Journal of Cardiovascular Prevention and Rehabilitation, 11(4), 313-319. 

  26. Son, S. Y., Hwang, W. S., Yee, Y. H., Kim, C. S., Lim, C. S., & Park, G. H. (2007). A study on a PDA-based ubiquitous healthcare system for the management of chronic disease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Society of Home Care Nursing, 14(1), 18-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