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관지수를 이용한 산림청 지정 명산(名山)과 일반 산의 산림경관구조 비교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Forest Landscape Structures Between Famous and General Korean Forests Using Landscape Indices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4 no.1, 2011년, pp.1 - 11  

한희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 ,  송정은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 ,  설아라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 ,  박진한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  정주상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산림청에서 지정한 '우리나라 100대 명산'에 포함된 국 도립공원 산림과 그 외의 일반산림과의 비교를 통해 산림의 경관구조적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산림을 대상으로 100대 명산에 지정된 산림 및 지정되지 못한 산림을 각각 34개씩 선정하고, 각 산림에 대해 FRAGSTATS을 활용하여 경관구조에 따른 공간분석 결과를 경관지수로 계량화한 후, 두 집단 간 경관지수의 비교분석을 통해 산림의 경관인식에 영향을 주는 경관구조적 특징들을 찾고자 하였다. 비교분석에 의한 연구결과 국 도립공원 산림은 대체로 일반산림에 비해 평균경사도가 크고, 해발이 높으며, 지형 기복도가 높은 곳에 위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 도립공원 산림은 대체로 수종분포 특성에 따른 영급패치의 형태, 크기 및 복잡성 등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비교분석 결과를 토대로 판단할 때 임분 패치의 평균크기, 경관면적비율, 가장자리밀도 및 다양성 등의 경관구조적 특징들이 산림의 경관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자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andscape structures of the National and Provincial Forest Parks in the list of "100 Famous Forests of Korea" designated by Korea Forest Service by comparing them with those of the non-designated forests. Among the designated and the non-designat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클래스 단위에서는 각 수종별 또는 영급별로 패치의 평균크기(Average Area; AA), 상대적 경관면적비율(Percentage of LANDscape; PLAND), 가장자리밀도(Edge Density; ED), 응집성(Aggregation Index; AI), 연결성(CoNnecTivity; CNT)을 산출하였다. 경관 단위의 경관지수로는 경관을 구성하는 수종 및 영급패치의 다양성을 평가하기 위한 Shannon-Weaver의 다양성 지수를 산출함으로써 각 대상 산림지역의 경관구조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여기서 경관면적비율은 특정 임상이나 영급이 경관 내에서 차지하고 있는 비율을 의미하며 가장자리밀도 지수는 패치의 형태적 복잡성을 나타낸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림경관을 대상으로 경관지수를 이용한 산림경관구조의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에서 등산객이나 관광객들이 선호하는 대표적인 명산과 명산에 포함되지 못한 일반 산의 경관구조의 차이를 비교분석하고, 이를 통해 국민들의 경관인식과 관련된 산림의 경관구조 요인의 하나로 경관지수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100대 명산에 포함되어 있는 국·도립공원 산림과  명산에 포함되지 않은 일반산림을 구분하여 경관구조 비교분석을 통해 두 집단 간 산림경관구조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는 2009년에 산림청에서 지정한‘우리나라 100대 명산’이 그 외의 일반산림에 비해 경관적으로 선호되는 산림으로서 국민에게 인식되는 경관의 모습이 다를 것이라는 가정 하에 산림경관구조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김상욱, 박종화. 2001. 북한도시지역의 산림파편화 변화조사. 환경영향평가 10(1):39-47. 

  2. 박경훈, 정성관, 권진오, 오정학. 2005. 토지이용변화에 따른 낙동강 유역 산림경관의 구조적 패턴 분석. 농촌계획학회지 11(4):47-57. 

  3. 산림청. 2009. 간추린 임업통계, 2009. 106쪽. 

  4. 산림청. 2010. http://www.foreston.go.kr/. 

  5. 서주환, 조영배, 이준근. 2002. 형태지수를 이용한 농촌경관의 선호성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산림휴양학회지 6(2):7-14. 

  6. 서주환, 최현상, 김상범, 이철민. 1999. 형태지수를 이용한 도로경관의 선호성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7(4):87-93. 

  7. 이금삼, 조화룡. 1998. GIS기법에 의한 한국의 고도.기복량 분석. 대한지리학회지 33(4): 487-497. 

  8. 정성관, 오정학, 박경훈. 2005. 경관지수를 활용한 낙동강 유역 산림경관의 시계열적 패턴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8(2):145-156. 

  9. 정주상, 박필선, 조재창, 김선영, 설아라, 송정은, 장광민, 한희, 김경윤, 이윤미. 2009. 임분과 경관수준의 임업경영평가모델 개발. 산림청 연구보고서. 141쪽. 

  10. 최기만, 이춘석, 임승빈. 1997. GIS를 이용한 가시권정보 분석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5(2):31-42. 

  11. 최원영, 정성관, 오정학, 유주한. 2005. 경관지수와 생태계용역가치를 활용한 대구광역도시권 경관의 구조적.기능적 변화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8(4):102-113. 

  12. 허성구, 김기성, 안재훈, 윤정숙, 임경재, 최중대, 신용철, 유창원. 2007. FRAGSTATS모형을 이용한 도암댐 유역의 산림 파편화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0(1):10-21. 

  13. 황철수. 2008. 대단위 개발에 토지이용변화의 공간통계적 분석: 전역적 경관구조 지수 분석을 중심으로. 지리학연구 42(4):647-658. 

  14. Bell, S. and D. Apostol. 2008. Designing Sustainable Forest Landscapes. Taylor & Francis, New York. 356pp. 

  15. Bishop, I.D. and D.W. Hulse. 1994. Prediction of scenic beauty using mapped data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30(1):59-70. 

  16. Daniel, T.C. 2001. Whither scenic beauty? Visual landscape quality assessment in the 21st century.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54(4):267-281. 

  17. Davis, L.S., K.N. Johnson, P.S. Bettinger, T.E. Howard. 2001. Forest Management: to Sustain Ecological, Economic, and Social Values. 4th ed. McGraw-Hill, New York. 804pp. 

  18. De La Fuente De Val, G., J.A. Atauri, J.V. de Lucio. 2006. Relationship between landscape visual attributes and spatial pattern indices: A test study in Mediterranean-climate landscape.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77(4):393-407. 

  19. Dramstad, W.E., M. Suldli Tveit, W.J. Ejellstad, G.L.A. Fry. 2006. Relationshipes between visual landscape preferences and map-based indicators of landscape structure.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78(4):465-474. 

  20. Magarigal, K. and B. Mark. 1995. FRAGSTATS: Spatial pattern analysis program for quantifying landscape structure. USDA Forest Service. 122pp. 

  21. Palmer, J.F. 2004. Using spatial metrics to predict scenic perception in a changing ladnscape: Dennis, Massachusett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69(2):201-218. 

  22. Tischendorf, L. 2001. Can landscape indices predict ecological processes consistently?. Landscape Ecology 16(3):235-254. 

  23. Tress, B., G. Tress, H. Decamps, A.M. d'Hauteserre. 2001. Bridging human and natural science in landscape research.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57(3):137-14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