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FRAGSTATS 모델을 이용한 용인시 수지/기흥 도시 녹지 변화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Landscape Analysis at Su-ji/Gi-heung in Young-in city using the FRAGSTATS Model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21 no.5, 2012년, pp.781 - 787  

권선순 (이화여자대학교 환경공학과) ,  최선희 (이화여자대학교 환경공학과) ,  이상돈 (이화여자대학교 환경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landscape changes at Su-ji and Gi-heung in Young-in city using FRAGSTATS Model. Landscape Indices obtained by this model can explain the structural change of urban green zone and fragmentation resulting from development. As results of this study, Gi-heu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급격한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중소 도시의 경우 단편화가 심하고 소규모 녹지 비율이 높은 관계로 이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공간적 특성을 반영할 수있는 고해상도 자료를 활용한 경관지수 분석이 요구된다. 30m 해상도의 토지피복도를 활용한 기존 연구의 한계성을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도시지역의 공간적 특성을 효과적으로 반영할 수 있고 소규모의 경관요소를 분석할 수 있는 고해상도 토지피복 자료를 활용하였다. 2000년과 2007년 제작된 환경부 중분류 토지피복도를 활용하였으며 해당 자료는 23개의 클래스로 토지피복을 나타내고 IRS-1, Landsat TM, SPOT, KOMPSAT 2 위성영상을 이용해 제작되었다.
  • 아울러, 경관생태학 관점에서 지역생태계의 현황을 해석하고 평가하는 지표로서 경관지수의 활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용인이라는 자연환경이 양호한 지역이 도시 개발에 노출되어 개발과 보존의 첨예한 갈등 속에서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적절한 대안을 도출할 수 있는 생태계 지표를 설정하고 이 지표를 이용한 평가 방법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를 통해 국가 GIS 자료 및 경관분석 프로그램을 통해 도시 녹지 변화율을 다양한 각도에서 조명할 수 있었으며 국가 GIS 자료 및 고해상도 위성영상의 활용성을 제시하는 기회가 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최근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 도시녹지 개발에 따른 문제를 파악하고 대안을 제시하는데 활용할 수 있으며 도시녹지의 효과적인 개발을 위해 경관생태학적 접근법을 이용한 다양한 가이드라인의 제시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본 연구에서는 2000년 들어 가장 급속도로 변화하고 있는 용인시 기흥/수지 지역의 도시녹지가 어떻게 변화되었으며 이러한 변화가 경관생태학적으로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지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개발지역의 녹지 상황과 경관의 질을 평가하였다. 또한, 5m해상도를 갖는 신뢰성 있는 중분류 토지피복도를 활용하여 중저해상도의 피복지도가 나타내지 못했던 도시 내 소규모의 경관요소를 분석하였으며 FRAGSTAT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2000년과 2007년의 경관생태학적 지수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 개발이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는 수도권의 중소 지역을 선정하여 경관의 변화를 경관지수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개발에 따른 도시녹지의 구조변화 및 파편화 현상을 경관지표로 설명하는데 있다.
  • 아울러, 경관생태학 관점에서 지역생태계의 현황을 해석하고 평가하는 지표로서 경관지수의 활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용인이라는 자연환경이 양호한 지역이 도시 개발에 노출되어 개발과 보존의 첨예한 갈등 속에서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적절한 대안을 도출할 수 있는 생태계 지표를 설정하고 이 지표를 이용한 평가 방법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토지피복분류란 무엇인가? 경관구조 해석 모형(FRAGSTATS)을 이용하여 경관 구조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경관 요소의 입력 자료로서 토지피복 또는 토지이용의 선정, 분류가 선행되어야 한다. 토지피복분류(Land Cover Classification)는 원격탐사 자료의 가장 대표적이고 전형적인 응용방법의 하나로 숲, 초지, 콘크리트 포장과 같은 지표면의 물리적 상황을 분류한 것이다. 이 같은 토지피복지도는 지표면의 현재 상황을 가장 잘 반영하고 있어 현실을 반영한 다수의 모델링 기초 자료로 활용되어 정책수립의 효율성과 과학성을 높이는데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
FRAGSTATS의 경관지수들은 어떤 값들로 구분되는가? 하나의 메트릭 값이 그 지역을 대표하는 특성이 될 수는 없지만, 수십 개의 매트릭스가 함께 경관의 특징을 나타내므로 경관 생태지표를 도출하는데 도움이 된다. 다양한 경관지수들은 크게 area/density/edge metrics, shape metrics, core area metrics, isolation/proximity metrics, contrast metrics, contagion/interspersion metrics, connectivity metrics, diversity metrics 값들로 구분할 수 있으며 각 값들은 분석할 경관 규모와 유형에 따라 patch, class, landscape 수준에서 산출할 수 있다. patch 수준은 단일의 조각에서의 값들이고, class 수준은 동일 유형의 조각들에 대한 값이고, landscape 수준은 모든 유형의 patch를 다 포함한 수준에서 경관지수의 값을 도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용인시의 주요하천은 어떤 특징이 있는가? 2%로 도시개발의 여건이 비교적 양호한 편이다. 주요하천으로는 구성에서 수지, 성남을 지나 한강으로 유입되는 탄천을 비롯하여, 진위천, 청미천, 경안천, 오산천 등이 지역에서 발원하여 흐르거나 통과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김한수, 오충현, 2011, 우리나라 농촌마을 경관생태학적 특성에 따른 귀화식물 분포 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5(3), 389-403. 

  2. 오윤경, 최진용, 배승종, 장민원, 2007, 경관생태지수를 활용한 농촌경관의 시계열적 변화 분석: 경기도 일부 시.군을 대상으로, 한국농공학회지, 49(6), 65-76. 

  3. 윤은주, 2006, 서울시 도시녹지 평가를 위한 경관지수의 민감성 및 변별력 분석, 서울시립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이상범, 2007, 생태축 분석을 위한 경관생태학적 방법론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39-40. 

  5. 통계청, 2009, 도시계획현황통계. 

  6. Franklin J. F., 1993, Preserving Biodiversity: Species, Ecosystems, or Landscapes?, Ecological Applications, 3, 202-205. 

  7. Forman R. T. T, 1995, Land Mosaics: The ecology of landscapes and reg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8. Mcgarigal K. and B. Marks, 1995, FRAGSTATS: Spatial Pattern Analysis Program for Quantifying Landscape Structure, General Technique Report PNW-GTR-351, USDA, Pacific Northwest Research Station. 

  9. Shafer S., 1994, Beyond park boundaries. In: Cook E.A. and van Lier H.N. (Eds.), Landscape Planning and Ecological Networks, Elsevier, New York. 

  10. http://egis.me.go.kr/ 환경지리정보. 

  11. http://www.index.go.kr/ e-나라지표. 

  12. http://kostat.go.kr/ 통계청. 

  13. http://www.umass.edu/landeco/research/fragstats/downloads/fragstats_downloads.html: FRAGSTATS 홈페이지.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