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 impervious cover in the watershed management has been used as effective indicators. It is a very useful barometer to measure the impacts of watershed development on aquatic systems. Hence, it is necessary to survey the impervious cover of a watershed and to develop an impervious cover model (IC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갑천 유역에서의 불투수면 변화에 따른 경관구조를 분석하기 위하여, 1) 갑천 유역의 25년간 5년 주기 시계열 불투수면 변화를 조사 분석하고, 2) 경관분석 프로그램인 FRAGSTATS를 이용하여 대상유역의 과거 토지이용 변화에 따른 경관 지수를 산정하여 분석하며, 3) 불투수면 변화, 수질, 경관지수에 따른 불투수면 지표 모델 (Impervious Cover Model, ICM)을 평가함으로써, 향후 도시개발사업 계획 수립 시 경관 생태적 영향을 고려한 토지이용 관리방안을 모색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 기존의 불투수면 관련 연구와 본 연구의 차별성은 유역의 불투수면 비율만을 유역관리지표로서 활용하는 것 뿐만 아니라 불투수면 개별 조각 (패치)의 개수, 밀도, 비율, 가장자리 길이, 형태 등을 분석한 경관 지수를 산출하고, 이러한 결과와 취득한 수질자료를 바탕으로 ICM 모델을 제시하고 검토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 ICM 모델의 적용시 제한 요소를 극복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 본 연구에서는 같은 피복유형을 갖는 패치 전체를 의미하는 클래스 (class) 수준의 분석을 수행하였다. 패치 (patch) 수준지수는 개별적 조각에 대해 지수를 산출하고 경관 (landscape) 수준 지수는 토지유형에 상관없이 유역내 모든 토지피복에 대한 경관 지수를 산출하기 때문에 (Jang, 2008), 본 연구와 같이 불투수면에 대한 경관 지수 산출에는 적합하지 않다.
  • 본 연구에서는 앞서 분석한 경관 지수중에서 생물종 다양성과 관련이 깊은 CPLAND2)를 생물종 다양성 지표로 선정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갑천 유역이라는 경관 차원에서 불투수면 비율과 생물종 다양성 경관 지수를 함께 도시하기 위해 Patch, Class, Landscape 중에서 Landscape 수준에서 지수를 산출 하였고, CPLAND는 Landscape에서는 산출될 수 없기 때문에 의미가 유의한 TCA (Total core area)를 대신 선정하였다.
  • 하지만 모델에서 제시하고 있는 10 %, 25 %라는 임계수치가 불투수면과 하천질 지표간의 통계적 편차로 인해 정확한 구분 점이 아니라 그 범위의 불투수면 비율에서의 일반적인 변화를 반영한 값이라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Choi and Jang, 2003). 본 연구에서는 유역에서의 불투수면 비율 증가에 따른 생물종 다양성, 수질 영향 관계를 불투수면 모델을 통해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불투수면은 어떻게 정의되는가? 불투수면은 도시개발, 토지이용변화 등에 의한 하천환경의 변화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유용한 지표로 인식되어져 왔다. 불투수면은 일반적으로 도시화 과정에서 형성된 도로, 주차장, 보도, 건물 지붕 등을 포함하는 면으로서 물이 잘 침투하지 않는 면으로 정의된다 (Han River Watershed Management Committee, 2007a; Schueler, 1994). 빗물은 유역에 강하하여 일부는 지표유출로 하천에 도달하고 일부는 토양, 웅덩이, 식생 등에 저류되어 다시 지하수를 거쳐 하천으로 유입되거나 증발하여 빗물로 떨어지는 순환을 반복한다.
빗물은 어떤 순환을 반복하는가? 불투수면은 일반적으로 도시화 과정에서 형성된 도로, 주차장, 보도, 건물 지붕 등을 포함하는 면으로서 물이 잘 침투하지 않는 면으로 정의된다 (Han River Watershed Management Committee, 2007a; Schueler, 1994). 빗물은 유역에 강하하여 일부는 지표유출로 하천에 도달하고 일부는 토양, 웅덩이, 식생 등에 저류되어 다시 지하수를 거쳐 하천으로 유입되거나 증발하여 빗물로 떨어지는 순환을 반복한다. 그러나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아스팔트 도로와 포장도로가 증가함에 따라 지표면에 내린 강우가 토양 등을 통해 지하수로 저장되지 않고 지표면으로 유출 되는 양이 증가하였다.
도시하천이 건천화 현상을 보이고 침수피해는 늘어가는 등 물순환에 장애가 발생하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 빗물은 유역에 강하하여 일부는 지표유출로 하천에 도달하고 일부는 토양, 웅덩이, 식생 등에 저류되어 다시 지하수를 거쳐 하천으로 유입되거나 증발하여 빗물로 떨어지는 순환을 반복한다. 그러나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아스팔트 도로와 포장도로가 증가함에 따라 지표면에 내린 강우가 토양 등을 통해 지하수로 저장되지 않고 지표면으로 유출 되는 양이 증가하였다. 이로 인해 도시하천은 건천화 현상을 보이고 침수피해는 늘어가는 등 물순환에 장애가 발생하게 되었다 (Choi and Jang, 2003; Han River Watershed Management Committee, 2007a).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Center for Watershed Protection (CWP), 1998. Nutrient Loading from Conventional and Innovative Site Development. Prepared for the Chesapeake Research. Consortium, Annapolis, MD. 

  2. Center for Watershed Protection (CWP), 2003. Impacts of Impervious Cover on Aquatic Systems. Watershed Protection Research Monograph No. 1. 

  3. Choi, J. Y., and S. H. Jang, 2003. The Development of Imperviousness Index for Effective Watershed Management I. Korea Environment Institute (in Korean). 

  4. Daejeon Metropolitan City, http://www.metro.daejeon.kr/ 

  5. FRAGSTATS Manual (1995), http://www.umass.edu/landeco/research/FRAGSTATS/FRAGSTATS.html 

  6. Galli, J., 1991, Thermal Impacts Associated With Urbanization and Stormwater Management Best Management Practices. Metropolitan Washington Council of Governments. Maryland Department of Environment. Washington, D.C. 188. 

  7. Geum River Environment Research Center, 2009. A research on the investigation and management of watershed imperviousness: Geum River Basin. Geum River Watershed Management Committee (in Korean). 

  8. Han River Watershed Management Committee, 2007a. 

  9. Han River Watershed Management Committee, 2007b. 

  10. Heo, S, G., K. S. Kim, J. H. Ahn, J. S. Yoon, K. J. 

  11. Jang, S. H., 2008. A Study on a Landscape Structure as a Change of Impervious Cover Rate in the Osancheon Watershed.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12. Johnson, G. D. and G. P. Patil, 2006. Landscape pattern analysis for assessing ecosystem condition. PA, USA:Springer. 

  13. Jung, S. G., J. H. Oh, and K. H. Park, 2002. The Analysis of Landscape Structure due to the Landcover Change.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14. Klein, R. 1979. Urbanization and Stream Quality Impairment.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Water Resources Bulletin 15(4) 

  15. McGarigal, K and B. Mark. 1995. FRAGSTATS: Spatial Pattern Analysis Program for Quantifying Landscape Structure. USDA Forest Service, General Technical Report PNW-GTR-351, Pacific Northwest Research Station, Portland, Oregon. 

  16.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Korea (MOST), 

  17. Ortega Huerta, M. A., 2007. Fragmentation patterns and implications for biodiversity conservation in three biosphere reserves and surrounding regional environments, northeastern Mexico. Biological Conservation 134(1): 

  18. Schueler, T. R., and J. Galli, 1992. Environmental impacts of stormwater ponds. In Watershed restoration sourcebook. Washington, DC: Metropolitan Washington 

  19. Schueler, T., 1994. The importance of imperviousness. 

  20. WAMIS http://www.wamis.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