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selected Daegu Metropolitan City representing a combination of natural space and urban space for this case study. To achieve this, a prerequisite was to set up an optimal block size to evaluate landscape diversity of the research site by using a RPR-Area Curve. Further, landscape div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도심지, 도·농 복합지역, 농촌지역의 경관유형이 고루 분포하고 있는 대구광역시를 연구대상지로 선정하여 경관다양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시공간적분석을 위해 경관다양성 분석결과를 토대로 경관변화에 따른 경관다양성 차이를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특히 도시공간과 경관다양성간의 상관성 파악을 통해 새롭게 개발될 신도시 및 개발압력이 높은 도시 외곽지를 대상으로 하는 공간계획에 경관다양성을 적용하기 위한 기준을 제시해보는데 가장 큰 의의를 두었다.
  • 본 연구는 자연공간과 도시공간이 복합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대구광역시를 사례지로 선정하여 신도시 및 개발압력이 높은 도시 외곽지의 개발계획에 경관다양성을 적용하기 위한 기준을 제시해 보는데 가장 큰 의의를 두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도심지, 도·농 복합지역, 농촌지역의 경관유형이 고루 분포하고 있는 대구광역시를 연구대상지로 선정하여 경관다양성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무질서한 도시확장이 야기하는 문제점은? 이에 따라서 급증하는 도시인구를 수용하기 위해 도시공간은 오늘날까지 계속해서 확장되고 있다. 그러나 무질서한 도시확장은 도시경관의 부조화뿐만 아니라 도시이미지를 결정하는 기본경관유형인 자연공간을 파괴 및 훼손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무분별한 도시지역의 확장은 지역고유의 특색 및 정체성이 사라진 획일화된 도시양상의 큰 원인이 되고 있다(Robinson et al.
수성구 고산동 일대의 환경적 장점은? 60으로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특히, 이 일대의 경우 우점하고 있는 농경지가 일부도시공간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연호지, 원장지, 송곡지, 대덕지와 같은 호수들이 보전되면서 소규모 자연공간 자원들이 경관다양성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달서구 이곡동, 갈산동 일대의 경우 경관다양성 차이값이 -0.
SHDI란? 1) SHDI는 종다양성을 평가하기 위한 지수로 종풍부성과 균등도의 복합적인 개념이며, 대상지 내 출현하는 생물종의 수와 각 생물종이 점유한 비율에 의해 도출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개념을 응용하여 경관다양성지수 값을 계산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lberti, M.?Booth, D.?Hill, K.?Coburn, B.? Avolio, C.?Coe, S. and Daniele, S. 2007. The impact of urban patterns on aquatic ecosystems: an empirical analysis in Puget lowland sun-basins. Landscape Urban Planning. 80: 345-361 

  2. Brewer, R. and M. T. McCann. 1982. Laboratory and Field Manual of Ecology. Saunders College Pub. New York. pp. 269. 

  3. Buyantuyev, A.?J. Wu and C. Gries. 2010. Multiscale analysis of the urbanization pattern of the Phoenix metropolitan landscape of USA: Time, space and thematic resolution.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94(3-4): 206-217. 

  4. Chmielewski, S.?T. J. Chmielewski and P. Tompalski. 2014. Land cover and Landscape Diversity Analysis in the West Polesie Biosphere Reserve. International Agrophysics. 28: 153-162. 

  5. Forman, R. T. T. 1995. Land Mosaics: The Ecology of Landscapes and Regions. Cambridge University. 

  6. Gleason, H. A. 1925. Species and Area. Ecology 6(1): 66-74. 

  7. Grimm, N. B. and Redman, C. L. 2004. Approaches to the study of urban ecosystems: the case of Central Arizona-phoenix. Urban Ecosystem. 7: 199-213. 

  8. Heo SG?Kim KS?Ahn JH?Yoon JS?Lim KJ? Choi JD?Shin YC and Lyou CW. 2007. Landscape Analysis of the Forest Fragmentations at Doam-Dam Watershed using the FRAGSTATS Mode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0(1). 

  9. Hung W.?Y. Chen and K. Cheng. 2010. Comparing landcover patterns in Tokyo, Kyoto, and Taipei using ALOS multispectral image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97(2): 132-145. 

  10. Jang BK and Hwang GW. 2011. Spatio-temporal pattern of landscape diversity in the process of urbanization. Journal of regional studies 19(4): 167-179.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1. Jang RI and Lee MW. 2009. Techniques for Evaluation of Ecological and Aesthetic Aspects of Landscapes through GIS Overlay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7(4): 22-31.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2. Luck, M. and Wu, J. 2002. A gradient analysis of urban landscape pattern: a case study form the phoenix metropolitan region. Arizona, USA. Landscape Ecolgy. 17: 327-339. 

  13. McGarial, K.?S. A. Cushman and E. Ene. 2012. FRATSTATS v4: Spatial pattern analysis program for categorical maps. http://www.umass.edu 

  14. Park IH and Moon GS. 1996. Plot Size for Investigating Forest Community Structure (IV).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9(2): 197-201.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5. Preston, F. W. 1962. The canonical distribution of commonness and rarity: Part I. Ecology 43: 185-215 and 410-432. 

  16. Ra JH?Cho HJ and Lee HT. 2008. A Basic Study on Establishment of the Ecological Landscape Planning Model.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6(4): 48-64.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7. Ra JH?Lee YE?Cho HJ?Ku JN and Kwon OS. 2013.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Landscape Diversity Evaluation Model on the Basis of Rural and Natural Are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1(6): 84-95.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8. Robinson, L.?J. P. Newell and J. M. Marzluff. 2005. Twenty-five years of sprawl in the Seattle region: growth management responses and implications for conservation.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71(1): 51-72. 

  19. Rosenzweig, M. L. 1995. Species Diversity in Space and Tim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20. Yeh, C. and Hung S. 2009. Investigating spatiotemporal patterns of landscape diversity in response to urbanization.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93(3-4): 151-16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