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IS를 이용한 도시홍수에 대한 지역안전도 평가
Regional Safety Assesment Due to Urban Flood Using GIS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4 no.3, 2011년, pp.68 - 77  

여창건 (홍익대학교 토목공학과) ,  서근순 (석탑엔지니어링) ,  송재우 (홍익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인구와 시설이 밀집되어 있는 도시지역은 대규모 재해가 발생하는 경우 엄청난 대규모의 피해가 발생 할 수 있으므로 재난에 대한 사후처리뿐 아니라 위험지역을 사전에 파악하고 위험을 저감하기 위한 대책 수립이 필요하다. 현재까지 지역안전도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나라별, 도시별 특성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도시지역 특성을 반영한 표준화된 평가기법 및 지표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지역안전도 평가 모형은 위험 항목별 요인들을 조합한 위험도에 저감성을 고려한 것으로 홍수 위험에 미치는 3가지 요인과 저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2가지 요인들을 선정하고, 이들을 대표할 수 있는 12개 인자를 선정한 후 GIS를 이용하여 인자별 평가결과의 가중 합을 통한 중첩으로 지역안전도평가 모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지역안전도 평가모형을 이용하여 서울시에 대하여 모형의 시범적용을 수행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lood disasters on the metropolis where population and facilities were densely concentrated cause an enormous damag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find risk and vulnerable area for floods, and then mid-long term disaster reduction plan should be established by the results. However, there is no ra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자연재해 중 홍수재해를 중심으로 도시지역의 지역적 특성이 반영된 지역안전도 평가모형의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제안된 지역안전도 평가는 위험지역 및 취약지역을 파악하여 홍수재해에 대한 예방, 대비, 대응 등 중장기 홍수저감 대책의 수립시 투자 우선순위 결정에 이용될 수 있는 것이며, 지역안전도평가 모형의 적용성 검토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도시유역인 서울시를 대상으로 평가를 수행하였다.
  • 해외에서는 주로 위험도(Risk) 평가, 위험도 분석 등과 같은 용어를 사용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소방방재청 (2005), 자연재해대책법 등에서 지역안전도라는 용어가 이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안전도 평가를 수행하기 위해서 위험도 평가를 이용하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지역안전도 평가는 지역위험도 평가보다 더 큰 개념으로써 위험 항목별 요인들을 조합한 위험도에 저감성을 고려한 것이라고 정의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안전도의 사전적 의미는 무엇인가? 안전도(Safety)란 사전적 의미로 위험이 생기거나 사고가 날 염려가 없는 정도를 뜻한다. 안전도와 위험도는 서로 연관되어 있으며, 위험도가 높으면 안전도가 낮아지고, 위험도가 낮으면 안전도가 높아진다.
안전도와 위험도는 어떤 관계인가? 안전도(Safety)란 사전적 의미로 위험이 생기거나 사고가 날 염려가 없는 정도를 뜻한다. 안전도와 위험도는 서로 연관되어 있으며, 위험도가 높으면 안전도가 낮아지고, 위험도가 낮으면 안전도가 높아진다. 이러한 관계로 인하여 지역안전도 평가를 위해 지역위험도 평가가 이용될 수 있다.
안전도와 위험도의 관계로 인해, 지역안전도 평가를 위해 이용될 수 있는 것은? 안전도와 위험도는 서로 연관되어 있으며, 위험도가 높으면 안전도가 낮아지고, 위험도가 낮으면 안전도가 높아진다. 이러한 관계로 인하여 지역안전도 평가를 위해 지역위험도 평가가 이용될 수 있다. 해외에서는 주로 위험도(Risk) 평가, 위험도 분석 등과 같은 용어를 사용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소방방재청 (2005), 자연재해대책법 등에서 지역안전도라는 용어가 이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건설교통부. 2000. 수자원 장기종합계획. 

  2. 국토연구원. 2005. 홍수피해특성 분석 및 홍수 피해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연구보고서. 

  3. 박태선, 김광묵, 윤양수, 이승복. 2005. 홍수피해특성 분석 및 홍수피해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국토연 2005-6. 국토연구원. 

  4. 서울특별시. 2004. 극한강우시 침수예상지역 대피계획 수립. 연구보고서. 

  5. 소방방재청. 2005. 지역별 안전도 평가기법 개발연구 보고서. 

  6. 소방방재청. 2009. 재해연보 2009. 

  7. 이길성, 정은성. 2006. 도시유역관리를 위한 통합적인 접근방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39(2):161-178. 

  8. 이승종, 김영오, 이재형, 이윤영. 2006. 유역 치수안전도를 위한 홍수피해잠재능의 개선. 한국수자원학회 2006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226-230쪽. 

  9. 정은성, 이길성. 2007. 다기준 의사결정기법을 이용한 공간위험 순위산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40(12):969-983. 

  10. 정인철. 1998. 단계구분도 제작을 위한 최적 분류방법에 대한 소고. 부산지역연구 7. 1-12쪽. 

  11. 최승안, 이충성, 심명필, 김형수. 2006. 다차원 홍수피해산정방법(I): 원리 및 절차.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39(1):1-9. 

  12. 통계청. 2002. 시군구 100대 지표. 

  13. Cutter, S.L. 2001. American Hazardscapes: The Regionalization of Hazards and Disasters. Joseph Henry Press, USA. 250pp. 

  14. FEMA. 2001. Understanding Your Risks: Identifying Hazards and Estimating Losses (FEMA 386-2 Draft). 

  15. Jenks, G.F. and Caspell, F.G. 1971. Error on choropleth maps: Definitions, measurement, and reduction. Annals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61(2):217-244. 

  16. Philipp Schmidt-Thome. 2006. The Spatial Effects and Management of Natural and Technological Hazards in Europe-ESPON 1.3.1 Executive Summary. Geological Survey of Finland.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