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베이지안 확률통계와 GIS를 연계한 기후변화 도시홍수 리스크 평가: 서울시 서초구를 대상으로
Urban Flood Risk Assessment Considering Climate Change Using Bayesian Probability Statistics and GIS: A Case Study from Seocho-Gu, Seoul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9 no.4, 2016년, pp.36 - 51  

이상혁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  강정은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  박창석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따른 도시홍수 리스크 평가를 위해 베이지안 확률통계 모형과 GIS를 연계 활용하였다. 리스크는 재난발생가능성과 영향 크기의 곱으로 평가될 수 있다. 본 연구는 베이지안 모델을 기반으로 침수발생가능성을 추정하였고, 기후변화 시나리오 정보를 반영하여 미래 침수발생가능성도 평가하였다. 침수로 발생할 수 있는 영향은 인명피해와 재산피해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서울시 서초구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현재 침수발생가능성은 하천에 인접하고, 주변지역보다 고도가 낮으며 불투수면 밀집지역인 서초동, 반포동 일대가 높게 나타났다. 미래 침수발생가능성 추정결과, 2050년의 위험지역 면적이 2030년보다 1.3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정된 발생가능성을 활용한 리스크 평가 결과, 인명피해 리스크는 일반 및 고층 주거지역을 중심으로 높은 리스크를 보인 반면, 재산피해는 상업지역을 중심으로 리스크가 높게 나타났다. 2050년의 재산피해 리스크는 2030년의 재산피해 리스크보다 약 6.6% 증가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도시홍수 리스크 평가 기법은 상세한 공간결과 값의 제공으로 지역맞춤형 재해저감 전략을 위한 중요한 의사결정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ssessed urban flood risk using a Bayesian probability statistical method and GIS incorporating a climate change scenario. Risk is assessed based on a combination of hazard probability and its consequences, the degree of impact. Flood probability was calculated on the basis of a Bayesia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 결과, 실제 침수지역이 상대적으로 높은 발생가능성을 나타내는 짙은 부분에 대체적으로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중첩결과에서 침수발생확률이 다소 낮은 지역에서도 실제침수가 발생한 경우가 나타나고 있어 이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았다. 이 지역들은 2011년에 발생한 우면산 산사태와 연계된 피해지역으로 확인되며, 본 연구의 모형이 주로 홍수에 의한 침수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만을 고려하였으므로 해당지역에서는 침수발생확률 추정 값이 낮게 나타났으나 실제는 산사태와 연계한 침수가 발생했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 본 연구는 국내의 주요 자연재난인 홍수를 대상으로 베이지안 확률통계 모형과 GIS를 연계하여 리스크 발생가능성을 추정하였다. 또한 RCP 4.
  • 일반적으로 리스크 평가는 리스크에 해당하는 재난의 발생가능성과 그 결과(영향의 크기 또는 피해정도)의 곱(UNDP, 2005; KATS, 2008; Smith, 2013)으로 나타내어지므로, 리스크 평가에 있어 해당 리스크의 발생가능성을 어떻게 계산하고, 어떠한 영향을 고려하는지가 가장 중요한 이슈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대표적인 자연재난으로, 기후변화로 인해 심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도시홍수에 초점을 맞추어 기후변화를 고려한 리스크 평가를 수행하고자 한다. 리스크 평가 방식은 홍수 리스크 발생가능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공간계획에 활용할 수 있을 정도의 세밀한 분석 결과가 도출될 수 있도록 확률통계모형과 GIS를 연계한 평가방식을 적용하였다.
  • 5는 이산화탄소 농도가 940ppm으로 현재 추세로 온실가스가 계속 배출되는 경우를 나타낸다(IPCC, 2014). 본 연구에서는 불확실성이 높은 기후변화 리스크의 과대 추정을 막고 우리나라의 온실가스 저감 목표 및 정책을 고려하여, RCP 4.5 시나리오의 강수량 정보를 활용하여 2030년과 2050년의 미래 침수발생가능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인명에 대한 리스크 평가는 일차적으로 분석한 침수발생가능성과 인구자료를 곱하는 계산 과정을 거쳐 분석하였다. 연도별 비교를 위해 RCP 4.5 기준 2030년, 2050년의 발생가능성을 활용하였으며, 인구자료는 2010년 자료가 그대로 유지된다고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베이즈 정리란 무엇을 나타내는가? 베이즈 정리(Baye’s theorem)는 두 확률 변수의 사전확률과 사후확률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며, 베이즈 정리를 통한 확률변수간의 관계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식 1)과 같이 정리 할 수 있다.
기후변화 영향평가의 목적은 무엇인가? 앞서 언급했듯이 2007년 발표된 IPCC 제4차 평가보고서는 정책 마련 및 우선지역 선정의 근거로 기후변화 영향 및 취약성 평가를 강조하였다. 기후변화 영향평가는 기후현상이 자연 또는 인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과학적으로 밝히는 데 목적이 있어 정책이나 대책과 연결되기가 어려웠다(Lee et al., 2012).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에 있어 어떤 문제점과 단점이 존재했는가? 평가를 통해 지자체별 취약 분야와 취약지도를 도출하여 어떤 분야와 지역이 상대적으로 취약한지 확인할 수 있었다(Yoo and Kim, 2008; Kang and Lee, 2012; NIER and Ministry of Environment, 2012). 그러나 포함되는 변수, 지표의 표준화 및 통합방식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는 등 정확한 평가가 어렵고, 신뢰성 분석이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했다(Lissner et al., 2012). 또한 이러한 평가가 주로 시·군·구의 지자체 단위로 이루어져 더 세밀한 공간계획에 반영되기 어려운 단점도 지적되었다(Kang and Lee,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Bae, D.H. and M.H. Lee. 2010. Flooding vulnerability assessment and case review due to climate change. Planning and Policy 2016.6:20-31(배덕효, 이문환. 2010. 기후변화에 따른 홍수 취약성 평가와 사례분석. 국토 2016.6:20-31). 

  2. CLUVA(Climate change and urban vulnerability in Africa). 2012. An integrated multi-risk framework considering climate change impacts on African cities. http://www.cluva.eu/CLUVA_publications/CLUVA-Presentations/EGU2012-GarciaEtAl/GARCIA_MultiRisk_Africa.pdf. 

  3. DEFRA(Department of Environment, Food & Rural Affairs). 2012. Climate change risk assessment. pp.25-36. 

  4. Downey, A.B. 2013. Think Bayes: Bayesian Statistics in Python. O'Reilly Media. pp.19-24. 

  5. Gallina, V., S. Torresan, A. Critto, A. Sperotto, T. Glade and A. Marcomini. 2016. A review of multi-risk methodologies for natural hazards: consequences and challenges for a climate change impact assessment.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168:123-132. 

  6.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2014. Climate change 2014: synthesis report summary for policymakers. pp.10-16. 

  7. Jones, R. N. and B.L. Preston. 2011. Adaptation and risk management. WIREs Climate Change 2:296-308. 

  8. Kang, J.E. and M.J. Lee. 2012. Assessment of flood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using fuzzy model and GIS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5(3):119-136 (강정은, 이명진. 2012. 퍼지모형과 GIS 를 활용한 기후변화 홍수취약성 평가 -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5(3):119-136). 

  9. Kang, J.E. and M.J. Lee. 2015. Analysis of urban infrastructure risk areas to flooding using neural network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35(4):997-1006 (강정은, 이명진. 2015. 인공신경망을 활용한 서울시 도시기반시설 침수위험지역 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35(4):997-1006). 

  10. Kang, S.Y., K.H. Kim, D.C. Kim, H.S. Y, D.J. Min, and B.C. Suk. 2007. A preliminary study of the global application of HAZUS and ShakeMap for loss estimation from a scenario earthquake in the Korean Peninsul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0(1):47-59 (강수영, 김광희, 김동춘, 유해수, 민동주, 석봉출. 2007. 지진재해예측을 위한 HAZUS와 ShakeMap의 한반도에서의 적용가능성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0(1):47-59). 

  11. Kim D.H. 2013. Bayesian statistics using R and WinBUGS. FreeAcademy. pp.55-86. (김달호. 2013. R과 WinBUGS를 이용한 베이지안 통계학. 자유아카데미. 55-86쪽). 

  12. Kim, D.H. 2015. Risk assessment and classification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application on the method of climate change risk assessment in the UK.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14(1):53-83 (김동현. 2015.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리스크 평가 및 유형화: 영국의 정성적 리스크 평가 방법론 적용. 환경정책연구 14(1):53-83). 

  13. Kim, H.S., G.J. Park, S.D. Kim, M.H. Choi, M.J. Park, and J.Y. Yoon. 2012. Assessment of flood vulnerability considering climate change and large-scale river restoration projec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2(2):107-113(김환석, 박기정, 김상단, 최민하, 박무종, 윤재영. 2012. 기후변화와 대규모 하천정비 사업을 고려한 낙동강 유역 자연재해 홍수 취약성 평가. 한국방재학회지 12(2):107-113). 

  14. Kim, J.S., H.Y. Kim, and S.H. Lee. 2014. A review on improvements of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analysis methods: focusing on sea level rise disaster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7(1):50-60 (김지숙, 김호용, 이성호. 2014. 도시 기후변화 재해취약성분석 방법의 개선방안 검토 : 해수면상승 재해를 중심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7(1):50-60) 

  15. Kim, J.Y. and S.Y. Sung. 2016. Forecasting possibility of flood occurrence in Suwon under climate change applying stochastic simulation.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51(2):255-265 (김지연, 성선용. 확률론적 모의 기법을 활용한 기후변화에 따른 수원시 침수 발생가능성 지도 구축.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51(2):255-265). 

  16. Kim, K.S., C.O. Lee, Y.S. Song, Y.C. Cho, M.I. Kim, and B.G. Chae. 2007. Analysis of landslide hazard probability for cultural heritage site using landslide prediction map.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17(3):411-418 (김경수, 이춘오, 송영석, 조용찬, 김만일, 채병곤. 2007. 산사태예측도에 의한 석조문화재 주변의 산사태재해 가능성 분석. 지질공학회지 17(3):411-418). 

  17.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 2008. KS A ISO PAS 22399. p.7 (국가기술표준원. 2008. 사회안전-사고 대비 및 운영연속성 관리 가이드라인 KS AISO PAS 22399. 7쪽). 

  18.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KMA). 2010. Climate change handbook.(기상청. 2010. 쉽게 이해하고 간편하게 활용하는 기후변화 핸드북). 

  19.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KMA). 2012. Report on Korean climate forecasts. p.70 (기상청. 2012. 한반도 기후전망 보고서. 70쪽). 

  20. Lee, J.S., G. Eo, C.H. Choi, J.W. Jung, and H.S. Kim. 2016. Development of rainfall-flood damage estimation function using nonlinear regression equation.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Disaster Information 12(1):74-88 (이종소, 어규, 최창현, 정재원, 김형수. 2016. 비선형 회귀식을 이용한 강우-홍수피해액 추정함수 개발. 재난정보학회논문집 12(1):74-88). 

  21. Lee, S.J., J.E. Kang, S.J. Myung, D.H. Kim, Y.J. Kim, G.R. Yoon, and J.Y. Seo. 2012. Evaluation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capacity for national risk management. Korea Environment Institute, Research Report. pp.1-6 (이수재, 강정은, 명수정, 김동현, 김유정, 윤기란, 서지예. 2012. 국가 리스크 관리를 위한 기후변화 적응역량 구축.평가.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1-6쪽). 

  22. Lissner, T.K., A. Holsten, C. Walther and J.P. Kropp. 2012. Toward sectoral and standardised vulnerability assessments: the example of heatwave impacts on human health. Climate Change 112(3):687-708. 

  23. NIER(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Ministry of Environment). 2012.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map of each impact sector to establish climate change adaptation implementation plan for local governments. pp.7-39 (국립환경과학원, 환경부. 2012. 지자체 기후변화 적응 세부시행계획 수립 지원을 위한 기후변화 부문별 취약성 지도. 7-39쪽). 

  24. National Urban Disaster Prevention Research Center. 2013. Manual for the analysis of climate change driven disaster vulnerability in urban area. pp.1-2 (국가도시방재연구센터. 2013. 도시기후변화 재해 취약성 분석 매뉴얼. 1-2쪽). 

  25. Oh, M.S. 2012. Bayesian statistical inference with R-Monte Carlo. FreeAcademy. pp.201-202. (오만숙. 2012. R몬테칼로와 함께하는 베이지안 통계추론. 자유아카데미. 201-202쪽). 

  26. Park, C.S., Y.I. Song, S.H. Lee, Y.J. Kim, B.S. Byun, J.E. Chae, S.Y. Park, S.Y. Kim, J.A. Kim, M.S. Jung, B.O. Ahn, and E.S. Lee. 2014a. Climate-environmental risks outlook and the national strategy( I ). Korea Environment Institute. Research Report. pp.16-18 (박창석, 송영일, 이승환, 김유정, 변병설, 채정은, 박소연, 김수영, 김진아, 정민선, 안병옥, 이은선. 2014. 기후환경리스크 전망과 국가전략(I).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보고서. 16-18쪽). 

  27. Park, S.J., D.K. Lee, S.Y. Sung, and T.Y. Jung. 2014b. Risk assessment of potential inundation due to sea level rise using Bayesian Network.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49(2):347-358 (박상진, 이동근, 성선용, 정태용. 2014. Bayesian Network를 이용한 해수면 상승에 따른 잠재적 침수위험 평가. 국토계획 49(2):347-358). 

  28. Shin, Y.N., M.A. Kim, S.W. Lee, M.K. Yoo, H.S. Mun, T.G. Kang, E.J. Lee, J.Y. Hong, E.Y. Hong, and K.H. Kim. 2012. Water quality prediction and assessment using Bayesian linear regression.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Research Report. pp.3-5. (신유나, 김미아, 이수웅, 유문규, 문현생, 강태구, 이은정, 홍지영, 홍은영, 김경현. 2012. Bayesian 방법에 의한 수질예측 및 수질평가기법 연구. 국립환경과학원 연구보고서. 3-5쪽). 

  29. Smith, K. 2013. Environmental hazards: assessing risk and reducing disaster 6th edition. Routledge. pp.26-50. 

  30. Son, M.W., J.Y. Sung, E.S. Chung, and K.S. Jun. 2011. Development of flood vulnerability index considering climate change. Jouran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4(3):231-248 (손민우, 성진영, 정은성, 전경수. 2011. 기후변화를 고려한 홍수취약 성지표 개발.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44(3):231-248). 

  31. UNDP(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2005. Adaptation policy frameworks for climate change: Developing strategies, policy and measure. USA, Cambridge University Press. p.79. 

  32. Yoo, G.Y. and I.H. Kim. 2008.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index. Korea Environment Institute. Research Report. p.34 (유가영, 김인애. 2008.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지표의 개발 및 도입방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보고서. 34쪽).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