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R&D 생산성 및 효율성 분석: OECD 국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n the R&D Productivity and Efficiency of Korea: Focused on Comparison with the OECD Countries 원문보기

기술혁신연구, v.19 no.1, 2011년, pp.1 - 27  

김영훈 (한국연구재단) ,  김선근 (대전대학교 경영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1984년부터 패널자료의 확보가 가능한 17개 OECD 국가를 표본으로 하여 R&D 생산성 및 효율성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해 비교하고 우리나라의 수준과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그 성과를 산출(output) 측면과 성과(outcome) 측면으로 구분하고, 맘퀴스트 생산성지수와 자료포락분석방법을 활용하여 R&D경로단계별 생산성 및 효율성과 그 변화추이를 비교분석하였다. 우리나라는 R&D 투자 대비 산출 생산성은 매우 높은 반면, 평균효율성은 매우 낮게 나타났으며, 효율성의 시계열 변화추이를 보면 최초 지수 0.10에서 시작하여 최종 0.83까지 가파르게 상승하면서 주요 선진국들 수준에 도달하였다. R&D 산출 대비 생산성은 매우 낮으며, 통합 프런티어에 대한 효율성은 최초 지수 1.00에서 최종 0.057까지 주요 선진국들 수준으로 가파르게 하락하여 왔다. 그리고 상관분석을 통해 R&D 산출 대비 생산성이 곧 R&D 투자 대비 생산성을 가늠하는 지표가 될 수 있음을 보았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R&D 생산성 및 효율성 향상을 위해서는 R&D 투자 및 산출 증대의 노력이상으로 R&D 산출물의 활용 측면이 보다 강화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 효과적인 기술확산 체계 구축, 기술금융시장환경 조성 및 사업화에 성공하기까지 실질적인 인큐베이팅 제공 등 전반적인 기술사업화 시스템의 혁신이 주요 과제임을 시사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aims to measure and analyze R&D productivities and efficiencies of 17 major OECD countries including Korea over the 1984-2008 period by using the Malmquist Productivity Index and Data Envelopment Analysis, classifying R&D performance into an output and outcome aspects. It also searches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연구와 비교하여 본 논문의 차이점은 첫째, R&D 성과를 1차 성과인 산출(output) 측면과 최종 성과인 경제적성과(outcome) 측면으로 구분하여 R&D 투자, 산출, 경제적성과의 상호간 생산성 및 효율성을 동시에 고려하여 국가 간 비교하고 시사점을 찾아내고자 한 점이다.
  • 따라서 본 연구는 1984년부터 패널자료의 확보가 가능한 OECD 국가를 표본으로 하여 R&D 생산성 및 효율성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의 상대적인 수준과 특징을 살펴보았으며, 특히 rm 성과를 산출(output) 측면과 성과(outcome) 측면으로 구분하여 분석함으로써 R&D 투자가 지식을 창출하고 경제성장으로 효율적으로 연계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R&D 투자(input)의 산출(output), R&D 산출의 경제적성과(outcome), R&D 투자의 경제적 성과로 R&D경로를 구분하여 생산성과 효율성을 측정 및 비교분석하고 한국의 단계별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R&D 생산성 및 효율성을 실증분석을 통해 OECD 선진국들과 상대 비교함으로써 어느 수준인지, 어떤 특징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R&D 투입지표로 연구개발비와 연구인력, 산출지표로는 과학기술 부문을 대표하는 과학적, 기술적 성과인 논문과 특허를, 최종성과로는 경제적성과를 대표하는 총요소생산성(TFP)을 사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olow는 어떤 것에 대한 중요성을 언급했는가? Solow(1956, 1957)는 물적인 자본 축적의 역할을 명확히 하고 지속적인 경제성장의 배후 추진력으로서 기술변화(technical change)에 대한 중요성을 언급하였다. 즉 경제성장의 대부분은 투입된 자본이나 노동의 증가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닌 단위 노동당 자본 증가량에 의한 것으로 자본량의 증가는 기술변화라고 하는 외부요인에 의해 발생된다는 것을 명확하게 하였으며, 제2차 세계대전 후 미국 경제의 급격한 성장원인의 절반 정도는 기술변화에 의한 것으로 설명이 가능하다고 하였다.
R&D의 산출, 성과를 명확히 정의하기 어려운 이유는? R&D의 산출(output), 성과(outcome)에 대하여 연구자마다 다른 개념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명확히 정의하기란 쉽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R&D 투입지표로 연구개발비와 연구인력, 산출지표로는 과학기술 부문을 대표하는 과학적, 기술적 성과인 논문과 특허를, 최종성과로는 경제적성과를 대표하는 총요소생산성(TFP)을 사용하고자 한다.
투입에 대한 산출의 비율에서 효율성이 높은 점과 생선상이 높은 점은 각각 어느 프런티어에 위치한 점인가? 일반적으로 효율성(efficiency)은 주어진 투입으로 달성할 수 있는 최적 산출에 대한 실제 산출의 비율을, 생산성(productivity)은 투입에 대한 산출의 비율을 의미한다. 즉 투입을 X축, 산출을 Y축으로 한 생산프런티어에서 프런티어에 위치한 점은 동일한 투입의 다른 점보다 효율성이 높으며, 원점으로부터의 방사선의 기울기가 가장 큰 프런티어에 위치한 점은 다른 어느 점보다 생산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