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학교 과학영재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 분석
Analyzing Science-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s of Nature of Science (NOS) 원문보기

英才敎育硏究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v.21 no.2, 2011년, pp.391 - 405  

박은이 (서울대학교) ,  홍훈기 (서울대학교)

초록

과학의 본성이 과학 교육에서 차지하는 의미에 비하여 실제 과학 영재교육에서는 과학 영재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을 향상시키기 위한 획기적인 수업이 제공되고 있지 않다. 과학영재 담당 교사들에게 과학의 본성에 대한 효율적 수업 구성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의 과학 영재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인식 간에 존재하는 상충된 관점을 파악하였다. 연구는 서울의 한 대학부설 영재센터에 재학 중인 중학생 과학영재 73명을 대상으로 VNOS를 활용하였다. 인식조사 결과, 과학영재 학생들은 '과학지식의 잠정성' 영역을 제외한 다섯 개 영역에서 인식의 개선이 요구되었고 과학의 본성영역 간에도 서로 일치하지 않는 관점을 보였다. 과학 영재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을 전문가적 관점으로 향상시키고 각 요소 간에 일관적인 관점을 갖도록 이끌기 위하여 두 가지를 제안한다. 첫째는, 실험 자료와 과학적 지식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키기 위해 지식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에서 지식을 구성해가는 과정을 강조하는 실험으로 바뀔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둘째는 과학에 대한 안목을 넓히기 위해 과학자 문화와 과학자 공동체에 다양한 방법으로 경험할 기회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nature of science has been recognized in a great deal in the field of science education. However, only few innovative programs are offered for science-gifted students to improve their recognition of the nature of science. The current study describes and analyzes science-gifted students' underst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과학의 본성에 대한 과학 영재 학생들의 인식 파악이 이후 방법론적 시도에 접목된다면 영재담당 교사는 프로그램 목표와 구성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학생들의 인식 변화를 효과적으로 이끌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학의 본성 검사지 VNOS를 통해 과학 영재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그 속에 내재된 상반된 인식 구조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Lederman은 과학의 본성을 무엇이라 정의하였는가? 과학지식체계의 다면성과 복잡성으로 인해 과학의 본성에 대한 통일된 하나의 견해가 존재하는 것은 아니지만, 어느 정도의 동의가 과학교육 사회에서 이루어졌다(Naiz, 2009). 그 중 초중등 교육과정에서 다루어지는 과학의 본성을 강조하는 Lederman (1992)은 과학의 본성을 과학에 대한 인식론으로 규정하면서, 과학지식과 그것의 발달 과정에 내재된 가치와 신념이라고 정의내렸다.
과학의 본성은 과학적 소양의 기본 요소로 과학교육자들 사이에서 동의를 얻어내면서 무엇으로 인식되고 있는가? 과학의 본성은 과학적 소양의 기본 요소로 과학교육자들 사이에서 동의를 얻어내면서(AAAS, 1993; Hipkins & Barker, 2005) 과학적 시민 양성을 위한 중요한 덕목으로 인식되고 있다(NRC, 1996). 또한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이 진정한 탐구 수행(Toth et al.
과학의 본성 검사지 VNOS를 통해 과학 영재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그 속에 내재된 상반된 인식 구조를 파악하고자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므로 과학 영재 학생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 변화를 위해 다양한 방법론적 전환을 시도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과학 영재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을 명확하게 규명하고 그 안에 드러난 문제점을 파악하는 것 역시 의미가 있을 것이다. 과학의 본성에 대한 과학 영재 학생들의 인식 파악이 이후 방법론적 시도에 접목된다면 영재담당 교사는 프로그램 목표와 구성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학생들의 인식 변화를 효과적으로 이끌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학의 본성 검사지 VNOS를 통해 과학 영재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그 속에 내재된 상반된 인식 구조를 파악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교육인적자원부 (2007). 과학과 교육과정.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2. 김경대, 강순민, 임재항 (2006). 과학영재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6), 743-752. 

  3. 김경순, 노정아, 서인호, 노태희 (2008). 중학교 과학 '물질의 구성' 단원에서 과학사 소재를 활용한 명시적 . 반성적 과학의 본성 수업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1), 89-99. 

  4. 김문선 (2008). 과학의 본성에 대한 견해 조사들의 메타 분석.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5. 나지연, 장병기 (2005). 과학 연극 수업이 과학 본성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24(5), 558-570. 

  6. 박은이, 홍훈기 (2010). 과학 영재를 대상으로 한 명시적 과학의 본성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2), 249-260. 

  7. 박종원, 김두현 (2008). 과학의 본성 지도자료 개발과 과학영재를 대상으로 한 시험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2), 169-179. 

  8. 임승출 (1994). 과학의 본성과 과학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조사.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9. 장명덕, 홍상욱, 정진우 (2002). 중학교 2학년 과학영재들의 과학 지식에 대한 과학철학적 관점과 이에 대한 토론 및 읽기 활동의 효과. 한국지구과학회지, 23(5), 397-405. 

  10. 정충덕, 강경희 (2008). 과학 영재들의 STS에 대한 관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2), 150-158. 

  11. 한지숙, 정영란 (1997). 중,고등학교 과학교사와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7(2), 119-125. 

  12. 홍성욱 (2004). 과학은 얼마나.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13. 황성원 역 (2001). 과학실험실습교육. 서울: 시그마프레스. 

  14. Abd-El-Khalick, F., Bell, R. L., & Lederman, N. G. (1998). The nature of science and instructional practice. Making the unnatural natural. Science Education, 82(4), 417-436. 

  15. Abd-El-Khalick, F., & Lederman, N. G. (2000a). Improving science teachers' conceptions of nature of science: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2, 665-701. 

  16. Abd-El-Khalick, F., & Lederman, N. G. (2000b). The influence of history of science courses on students' views of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7(10), 1057-1095. 

  17. Akerson, V. L., Abd-El-Khalick, F., & Lederman, N. G. (2000). Influence of a reflective explicit activity-based approach on elementary teachers' conceptions of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7(4), 295-317. 

  18.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1993). Benchmarks for science literac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 Bell, P., & Linn, M. C. (2001). Beliefs about science: How does science instruction contribute? In B. K. Hofer, & P. R. Pintrich (Eds.), Personal epistemology: The psychology of beliefs about knowledge and knowing. Mahwah, NJ: Erlbaum. 

  20. Bell, R. L. (2003). Exploring the role of nature of science understandings in decision-making. In D. L. Zeidler (Ed.), The role of moral reasoning on socioscientific issues and discourse in science education (pp. 63-79). The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21. Bybee, R. W. (1997). Achieving scientific literacy: From purposes to practices. Portsmouth, NH: Heineman. 

  22. Carey, S., Evans, R., Honda, M., Jay, E., & Unger, C. (1989). 'An experiment is when you try it and see if it works': A study of grade 7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construction of scientific knowledg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1(5), 514-529. 

  23. Driver, R., Leach, J., Millar, R., & Scott, P. (1996). Young peoples images of science. Bristol, PA: Open University Press. 

  24. Elby, A., & Hammer, D. (2001). On the substance of a sophisticated epistemology. Science Education, 85(5), 554-567. 

  25. Hipkins, R., & Barker, M. (2005). Teaching the 'nature of science': Modest adaptations or radical reconcep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7(2), 243-254. 

  26. Khishfe, R., & Abd-El-Khalick, F. (2002). Influence of explicit and reflective versus implicit inquiry-oriented instruction on sixth graders' views of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7), 551-578. 

  27. Kuhn, D., Amsel, E., & O'Loughlin, M. (1988).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thinking skills. San Diego, CA: Academic Press. 

  28. Lederman, N. G. (1992). Students' and teachers' conceptions of the nature of science: A review of the research.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9(4), 331-359. 

  29. Lederman, N. G. (2006). Syntax of nature of science within inquiry and science instruction. In L. B. Flick, & N. G. Lederman (Eds.), Scientific inquiry and nature of science (pp. 301-317). The Netherlands: Springer. 

  30. Lederman, N. G., Abd-El-Khalick, F., Bell, R. L., & Schwartz, R. S. (2002). Views of nature of science questionnaire: Toward valid and meaningful assessment of learners' conceptions of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6), 497-521. 

  31. Lin, H. S., Chiu, H. L., & Chou, C. Y. (2004). Student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and their problem-solving strategi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6(1), 101-112. 

  32. Liu, S., & Lederman, N. G. (2002). Taiwanese gifted students' views of nature of science.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02(3), 114-123 

  33. McComas, W. F., & Almazroa, H. (1998). The nature of science in science education: An Introduction. Science & Education, 7(6), 511-532. 

  34. McComas, W. F., Clough, M. P., & Almazroa, H. (2000). The role and character of the nature of science in science education. In W. F. McComas (Ed.), The nature of science in science education (pp. 3-39). The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35. Meichtry, Y. J. (1992). Influencing student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Data from a case curriculum develop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9, 389-407. 

  36.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c Press. 

  37. Niaz, M. (2009). Progressive transitions in chemistry teachers' understanding on nature of science based on historical controversies. Science and Education, 18, 43-65. 

  38. Schwartz, R. S., & Crawford, B. A. (2006). Authentic scientific inquiry as context for teaching nature of science. In L. B. Flick, & N. G. Lederman (Eds.), Scientific inquiry and nature of science. The Netherlands: Springer. 

  39. Schwartz, R. S., & Lederman, N. G. (2008). What scientists say: Scientists' views of nature of science and relation to science context.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0(6), 727-771. 

  40. Seung, E., Bryan, L., & Butler, M. (2009). Improving preservice middle grades science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using three instructional approaches.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20, 157-177. 

  41. Smith, M. U., Lederman, N. G., Bell, R. L., McComas, W. F., & Clough, M. P. (1997). How great is the disagreement about the nature of science? A response to Alter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4(10), 1101-1103. 

  42. Solomon, J., Duveen, J., Scot, L., & Hennessey, M. G. (1992). Teaching about the nature of science through history: Action research in the classroom.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9, 409-421. 

  43. The Nature of Science. (2000). In NAST position statement. Retrieved from http://www.nsta.org/about/positions/natureofscience.aspx 

  44. Toth, E. E., Suthers, D. D., & Lesgold, A. (2002). "Mapping to know": The effects of representational guidance and reflective assessment on scientific inquiry. Science Education, 86, 264-28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