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 영재의 과학 본성과 탐구 관점 분석
An Analysis on Views of Nature of Science and Science Inquiry of Science Gifted Students 원문보기

英才敎育硏究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v.21 no.2, 2011년, pp.511 - 530  

이항로 (대전둔산여자고등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과학영재들이 과학개념을 잘 이해하는 데 필요한 과학의 본성과 과학탐구 관점의 인식률 위치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내용타당도 지수 97.0%, 신뢰도 지수 0.86인 총 19문항으로 구성된 과학의 본성과 과학탐구 관점 검사지를 40명의 과학영재집단과 35명의 일반학생집단에 투입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과학의 본성 관점에 대한 과학영재집단의 인식률은 세부 논의 관점에 따라 다르나 20.0~97.5% 범위에 위치하고 있으며, 평균은 67.0%(일반학생 집단 50.0%)였으며, 특히 '과학자들의 의견이 다를 수 있다'는 하위 관점의 인식률은 여성과학영재가 높았다. 과학탐구 관점에 대한 과학영재집단의 인식률은 세부 논의 관점에 따라 다르나 27.5~77.5% 범위에 위치하고 있으며, 평균은 53.0%(일반학생집단 41.8%) 이었으며, 하위 요소 '과학자들이 연구하는 방법'에 대한 인식률은 여성과학영재가 높았다. 과학영재들 중에서 과학의 본성 관점을 잘 못 인식하고 있는 비율은 33.0%였고, 과학탐구 관점을 잘 못 인식하고 있는 비율은 47.0%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find out science talented students' percentage of cognition about the views of nature of science and science inquiry which are essential for having a good understanding with science concepts. Each group of 40 science gifted students and 35 ordinary students was tested with a tes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과학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과학의 본성과 과학탐구 관점에 대한 인식 차이를 비교‧분석하고자 한 연구로 ‘과학영재의 과학의 본성과 과학탐구 관점에 대한 인식률은 어느 정도인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가 과학교육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이유는?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는 과학지식을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나(Bybee, 1997; Lederman & O'malley, 1990; McComas & Almazroa, 1998), 일상생활 속에서 과학지식을 실제로 적용하고 그 영향력을 평가하는 데에도 필수적이라는 견해도 있다(Griffith & Barry, 1993). 이처럼 과학의 본성이 과학교육에서 지속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이유는 학생들이 과학의 본성을 이해함으로써 과학의 의미와 과학 공동체의 규범을 이해하고, 현대문화의 일부로서 과학의 가치를 올바르게 인식하며, 과학관련 사회적 쟁점에 대한 의사결정 능력을 기르는데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Driver et al., 1996).
우리나라와 세계 각국에서 과학교육의 중요한 목표로 강조되는 것은?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에는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가 주요 목표 중의 하나로 설정되어 있으며(교육과학기술부, 2007), 세계 각국의 교육과정은 과학의 본성을 그 핵심 요소로 포함하고 있음(조희형, 박승재, 2001; AAAS, 1993; McComas & Oslon, 1998)은 물론 과학의 본성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통해 과학적 소양을 지닌 시민을 양성하는 일도 과학교육의 중요한 목표로 강조되고 있다(서혜애, 오필석, 홍재식, 2000; 소원주, 1998; Bybee, 1997; McComas & Almazroa, 1998). AAAS (1998)는 미국의 모든 학생들이 고등학교를 졸업할 때까지 과학, 기술, 수학에서 수행해야 할 능력이 무엇인지에 대해 Science for All Americans (SFAA)에서 총론적으로 기술하고 있는데, 그 첫 단원에서 과학의 본성에 대한 세 가지 요소로서 과학적 세계관(the scientific world view), 과학 사업(the scientific enterprise), 이와 더불어 과학적 탐구(scientific inquiry)를 다루고 있다.
SFAA에서 기술한 과학의 본성에 대한 세 가지 요소는?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에는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가 주요 목표 중의 하나로 설정되어 있으며(교육과학기술부, 2007), 세계 각국의 교육과정은 과학의 본성을 그 핵심 요소로 포함하고 있음(조희형, 박승재, 2001; AAAS, 1993; McComas & Oslon, 1998)은 물론 과학의 본성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통해 과학적 소양을 지닌 시민을 양성하는 일도 과학교육의 중요한 목표로 강조되고 있다(서혜애, 오필석, 홍재식, 2000; 소원주, 1998; Bybee, 1997; McComas & Almazroa, 1998). AAAS (1998)는 미국의 모든 학생들이 고등학교를 졸업할 때까지 과학, 기술, 수학에서 수행해야 할 능력이 무엇인지에 대해 Science for All Americans (SFAA)에서 총론적으로 기술하고 있는데, 그 첫 단원에서 과학의 본성에 대한 세 가지 요소로서 과학적 세계관(the scientific world view), 과학 사업(the scientific enterprise), 이와 더불어 과학적 탐구(scientific inquiry)를 다루고 있다. 과학을 학습할 때 과학의 본성(the nature of science)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며 학습 내용이 과학적이면서도 과학 철학적으로 타당해야 한다고 강조되었다(Matthews, 1998; NRC, 2000; Park,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교육과학기술부 (2007). 과학과 교육과정.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 나지연, 송진웅 (2010). 과학의 본성에 대한 검사도구를 활용한 연구의 개관과 분석. 초등과학교육학회지, 29(3), 292-306. 

  3. 박종원 (2007). 과학본성 이해를 통한 과학탐구활동에 새로운 모델 연구; NOS의 종합적 견해에 대한 제언.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2), 153-167. 

  4. 박현주, 이금희 (2005). 과학적 소양의 관점에서 본 대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3), 390-399. 

  5. 서혜애, 오필석, 홍재식 (2000). 국가과학교육기준. 서울: 교육과학사. 

  6. 소원주 (1998). 과학교사의 과학철학적 관점과 과학 서술 방식이 중학생들의 과학관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7. 조희영, 박승재 (2001). 과학론과 과학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8. AAAS (1993). Benchmarks for science literacy: A project 2061 report, Retrieved June 16, 2009, from http://www.project 2061.org/pblication/bsll/online/index.phy (검색일, 2010.1.23). 

  9. AAAS (1998). Sience for all Americans.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10. Abd-Ei-Khalick, F., & Lederman, N. G. (2000). Improving science teachers' conceptions of the nature of science: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International Journal Science education, 22, 665-701. 

  11. Bell, R. L., Crawford, B., & Lederman, N. G. (2003). Just do it? Impact of a science apprenticeship program on high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s of the nature of science and scientific inquir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0(5), 487-509. 

  12. Bell, R. L., & Lederman, N. G. (2003). Understandings of the nature of science and decision making in science and technology based issues. Science education, 87(3), 352-377. 

  13. Bybee, R. W. (1997). Achieving scientific literacy: From purposes to practices. Portsmouth, NH: Heineman. 

  14. Driver, R. L., Miller, R., & Scott, P. (1996). Young people's images of science. Buckingham, UK: Open University Press. 

  15. Duschl, R. A. (1990). Restructuring science education. New York: Reachers College Press. 

  16. Griffith, A. K., & Barry, M. (1993). High school students' view about the nature of science.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3(1), 35-37. 

  17. Jones, D. R., & Harty, H. (1978). Instruction and classroom management preferences of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STIPS-. Science Education, 62(1), 1-9. 

  18. Kang, S., Scharmannm L. C., & Noh, T. (2005). Examining students' views on the nature of science: Results from Korean 6th, 8th, and 10th graders. Science Education, 89(2), 314-334. 

  19. Khishfe, R., & Abd-Ei-Khalick, F. (2002). Influence of explicit and reflective versus implicit inquiry-oriented instruction on sixth graders' views of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2), 2-11. 

  20. Lederman, N. G. (1992). Students' and teachers' conceptions of the nature of science: A review of the research.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9, 331-359. 

  21. Lederman, N. G., Abd-Ei-Khalick, F., Bell, R. L., & Schwartz, R. S. (2002). Views of nature of science questionnaire: Toward valid and meaningful assessment of learners' conceptions of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6), 497-521. 

  22. Lederman, N. G., & O'malley, M. (1990). Students' perceptions of tentativeness in science: Development, use, and sources of change. Science Education, 74(2), 225-239. 

  23. Lin, H., & Chen, C. (2002). Promoting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understanding about the nature of science through histor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9), 773-792 

  24. McComas, W. F., & Oslon, J. K. (1998). The nature of science in international science educational standards documents. In W. F. McComas (Ed.), The nature of science in science education, rationales and strategies (pp. 41-52).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 

  25. McComas, W. G., & Almazroa, H. (1998). The nature of science in science education: An introduction. Science Education, 7(6), 511-532. 

  26. Meichtry, Y. J. (1992). Influencing student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Data from a case curriculum develop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9(4), 389-407. 

  27. Metthews, M. R. (1998). In defense of modest goals when teaching about the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5, 167-174. 

  28. National Research Council. (2000). Inquiry and the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c Press. 

  29. Ryan, A. G., & Aikenhead, G. S. (1992). Students' preconceptions about the epistemology of science. Science education, 76, 559-580. 

  30. Sandoval, W. A., & Reiser, B. J. (2004). Explanation-Driven inquiry: integrating conceptual and epistemic scaffolds for scientific inquiry. Science education, 88, 345-37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