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재학생들의 과학 수업에서의 세분화 경험
Gifted Students' Differentiated Experiences in Science Classes 원문보기

英才敎育硏究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v.21 no.2, 2011년, pp.531 - 546  

박민정 (서울 안천중학교) ,  전동렬 (서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영재학생에게 적합한 세분화 교육의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학교, 학원, 영재원에서 이루어지는 과학 수업에서의 세분화 현황을 파악하였다. 서울 지역의 특정 대학부설 영재교육원에서 교육을 받는 중학교 2학년 학생 90명이 세분화 경험을 묻는 설문지에 응답하였으며 문항별, 장소별로 교차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영재원에서는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여 수업 받은 경험 있는 반면 학교에서는 주로 교과서를, 학원에서는 자습서를 활용하여 수업을 받고 있었다. 또한 학교나 학원에서 형성평가를 자주 치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습 속도가 빠른 학생들이 학습과 관련 없는 활동이나 복습 및 문제풀이에 시간을 보내고 있었다. 영재학생들은 주로 학교 과학 수업을 통해 스스로 흥미를 탐색하는 경향이 나타났지만 흥미를 바탕으로 집단을 구성하는 노력은 영재원에서 우세하게 나타났다. 학습 활동에 대한 학생의 선택과 수업 내용을 미리 익힌 학생을 위한 교사의 준비에 대한 응답률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ifferentiation for gifted students, we studied the present condition of differentiation applied in science classes at regular schools,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s, and gifted education centers. A questionnaire regarding differential instruction was administered to 90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비교적 많은 학생들이 세분화 경험을 한 것으로 나타난 주요 장소와 함께 그곳에서 경험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 학생들이 서술한 내용을 정리하여 에 제시하였다.
  • 두 차례의 연구실 세미나 발표와 토론을 거쳐 추려진 10 문항을 학생들이 이해하기 쉬운 형태로 수정하고 두 가지 이상의 의미를 담고 있거나 단계별 조사가 필요한 문항을 분리(4번과 5번, 7번과 8번, 9번과 10번, 13번과 14번)하였다. 여기에 더하여 교과서에 나온 내용만을 배우는지의 여부를 첫 번째 문항에서 묻도록 계획하였는데, 이 문항은 세분화 수업과는 정반대되는 내용으로 불성실한 응답지를 고르거나 신뢰도 분석을 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 포함시켰다. 그리하여 세분화 경험의 현황을 파악하는데 사용된 최종 설문지는 총 15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크론바흐 알파계수가 0.
  • 영재들은 대다수의 시간을 학급에서 보내지만 영재학생은 담당 교사만의 책임이라는 인식이 팽배하므로, 세분화 교육의 실태와 필요성을 알리는 일이 선행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부설 영재교육원에서 교육을 받는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학교, 학원, 영재원 등의 장소에서 이루어지는 과학 수업에서 자주 경험하거나 그렇지 못한 세분화 교육의 형태를 파악하였다. 영재학생들이 과학 수업에서 경험한 세분화 교육의 현황을 파악하는 일은, 우리 교육현장에서 영재의 요구에 대응하지 못하는 부분을 찾고 그에 대한 개선점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어떤 학생에게는 어려울 수 있는 수업이 영재학생에게는 지루한 이유는? 많은 영재학습자들이 교사, 교과서, 시험 위주로 진행되는 수업에 고통 받고 있다는 사실에 영재교육자들은 주목해왔다(Tomlinson & Callahan, 1992). 대다수의 교사들이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평균 수준의 수업을 진행하기 때문에 어떤 학생에게는 어려울 수 있는 수업이 영재학생에게는 지루하기까지 하다(Wang & Walberg, 1985). 영재들은 이미 알고 있는 내용을 반복적으로 읽고 기술을 연습하면서 시간을 낭비한다(Reis & Westberg, 1994).
영재학생에게 적합한 세분화 교육의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파악한 현황은? 영재학생에게 적합한 세분화 교육의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학교, 학원, 영재원에서 이루어지는 과학 수업에서의 세분화 현황을 파악하였다. 서울 지역의 특정 대학부설 영재교육원에서 교육을 받는 중학교 2학년 학생 90명이 세분화 경험을 묻는 설문지에 응답하였으며 문항별, 장소별로 교차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영재를 위한 세분화 교육이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Tomlinson (2001)은 세분화 수업을 학습자의 다양한 필요에 대한 교사의 책임감 있는 반응으로 정의하였으며, Passow (1982)는 세분화 교육의 목적이 다른 학습자들과 같이 특수한 요구를 가진 영재들에게 적합하게 설계된 교육과정을 통해 그들의 요구에 대응하는데 있다고 하였다. 영재를 위해 교육과정을 세분화한다는 것은, 개인이나 집단의 학습 요구, 능력, 유형에 맞게 교육과정을 개별화한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기존의 선행연구들은 세분화 대신 차별화라는 용어를 사용하였으나 불공평함과 같은 가치를 내포하여 오해의 소지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문제가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세분화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강경희 (2010). 과학영재교육 관련 국내 연구 동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1), 54-67. 

  2. 김선척, 박상태, 이희복, 정기주 (2007). 지식상태분석법을 이용한 학습 진단평가도구로서의 활용성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4), 346-353. 

  3. 김윤화, 김현주 (2010). 지역 교육청 영재교육원 중학생들의 과학 영재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2), 192-205. 

  4. 박민정, 김윤복, 전동렬 (2007). 성취도가 높은 학생들의 과학 학습 동기 유발에 영향을 주는 평가 요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7), 623-630. 

  5. 성경득 (2004). 차별화된 학습계획안의 수업적용이 사회과 학업성취 및 자기주도학습력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부산교육대학교. 

  6. 성태제 (2005). 타당도와 신뢰도. 서울: 학지사. 

  7. 오승택 (1998). 사회과 차별화 수업의 매력성 조사 연구: 협동적 선택학습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8. 이계영, 소금현, 여성희 (2008). 중학교 유전과 진화 단원의 만화를 활용한 형성평가에 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2), 120-129. 

  9. 장수빈, 김경자 (2010). 초등사회과에서 이해 중심 차별화 수업이 학습자의 이해와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연구, 21(2), 127-147. 

  10. 최호성 (2002). 수준별 수업에서 상위 성취 학습자를 위한 교육과정 압축전략. 교육과정연구, 20(4), 67-85. 

  11. 황정훈, 김영민 (2009). 정규 과학영재학교, 교육청 영재교육원, 일반 중.고등학교 과학교사의 과학영재교육에 대한 인식 비교 연구. 영재교육연구, 19(3), 697-727. 

  12. Archmbault, F. X., Westberg, K. L., Brown, S., Hallmark, B. W., Zhang, W., & Emmons, C. (1993). Regular classroom practices with gifted students: Finding from the classroom practices survey.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16, 103-119. 

  13. Cuban, L. (1982). How teachers taught; Constancy and change in American classrooms, 1890-1980. New York: Longman. 

  14. Goodlad, J. (1983). A study of schooling: Some findings and hypotheses. Phi Delta Kappan, 64, 465-470. 

  15. Goodlad, J. (1984). A place called school: Prospects for the future. New York: McGraw Hill. 

  16. Hertzog, N. B. (1998). Open-ended activities: Differentiation through learner responses. Gifted Child Quarterly, 42(2), 212-227. 

  17. Johnsen, S. K., Haensly, P. A., Ryser, G. R., & Ford, R. F. (2002). Changing general education classroom practices to adapt for gifted students. Gifted child Quarterly, 46(1), 45-63. 

  18. Johnsen, S. K., & J. Kendrick. (2005). Teaching strategies in gifted education. TX: Prufrock Press. 

  19. Passow, A. H. (1982). Differentiated curricula for the gifted/talented: A point of view. In S. Kaplan, A. H. Passow, P. H. Phenix, S. Reis, J. S. Renzulli, I. Sato, L. Smith, E. P. Torrance, & V. S. Ward, Curricula for the gifted. (pp. 4-20). Ventura, CA: National/State Leadership Training Institute on the Gifted/Talented. 

  20. Purcell, J. H., & Leppien, J. H. (1998). Building bridges between general practitioners and educators of the gifted: A study of collaboration. Gifted Child Quarterly, 42(3), 172-181. 

  21. Reis, S. M., & Westberg, K. L. (1994). The impact of staff development on teachers' ability to modify curriculum for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Gifted Child Quarterly, 38(3), 127-135. 

  22. Reis, S. M., Westberg, K. L., Kulikowich, J. M., & Purcell, J. H. (1998). Curriculum compacting and achievement test scores: What does the research say? Gifted Child Quarterly, 42(2), 123-129. 

  23. Taylor, B. M., & Frye, B. J. (1988). Pretesting: Minimizing time spent on skill work of intermediated readers. The Reading Teacher, 47(2), 100-103. 

  24. Tomlinson, C. A. (1995). Deciding to differentiate instruction in middle school: One school's journey. Gifted Child Quarterly, 39(2), 77-87. 

  25. Tomlinson, C. A. (2001). How to differentiate instruction in mixed-ability classrooms.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26. Tomlinson, C. A., & Callahan, C. M. (1992). Contributions of gifted education to general education in a time of change. Gifted Child Quarterly, 36, 183-189. 

  27. Tomlinson, C. A., Tomchin, E. M., Callahan, C. M., Adams, C. M., Pizzant-Tinnin, P., Cunningham, C. M., Moore, B., Lutz, L., Roberson, C., Eiss, N., Landrum, M., Hunsaker, S., & Imbeau, M. (1994). Practices of preservice teachers related to gifted and other academically diverse learners. Gifted Child Quarterly, 38(3), 106-114. 

  28. Vantassel-Baska, J. (1989). Appropriate curriculum for the gifted. In J. Feldhusen, J. VanTassel-Baska, & K. Seeley, Excellence in educating the gifted (pp. 175-192). Denver, CO: Love. 

  29. VanTassel-Baska, J., Xuemei Feng, A., Brown, E., Bruce, B., Stambaugh, T., French, H., McGowan, S., Worley, B., Quek, C., & Bai, W. (2008). A study of differentiated instructional change over 3 years. Gifted Child Quarterly, 52(4), 297-312. 

  30. Wang, M. C., & Walberg, H. J. (1985). Adaptive education in retrospect and prospect. In M. C. Wang, & H. J. Walberg (Eds.), Adapting instruction to individual differences (pp. 325-329). Berkeley, CA: McCutchan Publishing Corp. 

  31. Westberg, K. L., & Archambault, F. X. (1997). A multi-site case study of successful classroom practices for high ability students. Gifted Child Quarterly, 41(1), 42-51. 

  32. Winebrenner, S. (2001). Teaching gifted kids in the regular classroom: Strategies and techniques every teacher can use to meet the academic needs of the gifted and talented. MN: Free Spirit Pub.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