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09 개정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의 융합인재교육(STEAM)에 대한 교사의 관심도와 실행 수준 분석
Analysis of Teachers' Stages of Concern and Levels of Use on STEAM of the 2009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33 no.4, 2014년, pp.634 - 645  

채희인 (합정초등학교) ,  노석구 (경인교육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eachers' stages of concern and levels of use on STEAM of the 2009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and to support effective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teachers' stages and levels.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by the Concerns-Based Adoption Model (C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를 분석함으로써 교사의 관심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변인과 현 실태에 대한 정확한 파악을 통하여 변화 지원자로 하여금 교사들의 관심도와 실행 수준에 맞는 적절한 지원을 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고, 융합인재교육의 효과적인 실행에 도움을 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의 융합인재교육에 대한 교사의 관심도와 실행 수준을 알아보고, 교사의 개인 변인에 따른 관심도와 실행 수준의 차이를 분석하여 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2009 개정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의 융합인재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도와 실행 수준을 알아보기 위하여 경기도와 인천광역시에 재직 중인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123개의 설문지 중 무응답 문항이 있는 설문지 10부를 제외한 113부의 설문지를 최종적인 연구 자료로 사용하였다.
  • 본 연구는 2009 개정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의 융합인재교육에 대한 교사의 관심도와 실행 수준을 알아보고, 교사의 개인 변인에 따른 관심도와 실행 수준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적용 초기에 있는 융합인재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 변화 지원자로 하여금 교사들의 관심도와 실행 수준에 맞는 적절한 지원을 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융합인재교육의 효과적인 실행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TEM 교육은 무엇이 융합된 것인가? 이러한 사회적 흐름에 따라 미국의 Virginia Polytechnic and State University의 G. Yakman에 의해서 과학, 기술, 공학, 수학간의 통합을 추구하는 STEM이 주장되었고(Bae & Geum, 2009), STEM 교육은 전 세계의 여러 분야에서 가장 핵심적으로 논의되고 있는 주제가 되었으며, 미국을 비롯한 여러 선진국에서는 과학, 기술, 공학, 수학이 융합된 STEM 교육이 대두되어 다양한 연구와 함께 학교 현장에의 적용이 추진되고 있다(Baek et al., 2011).
지식 기반 사회에서는 어떤 인재를 필요로 하는가? 우리가 살아가는 현대 사회는 ‘지식 기반 사회’로 정의할 수 있고, 이러한 지식 기반 사회에서는 지식이나 기술만을 함양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감성과 창의성을 갖추고, 여러 학문의 경계를 넘나들며 포괄할 수 있는 융합형 인재를 필요로 한다(MOE, 2014).
CBAM 모형에서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가? The Concerns-Based Adoption Model(CBAM)은 Hord and Loucks(1980)에 의하여 개발된 모형이다. 이 모형에서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은 교사가 새로운 교육과정을 실행해 나아가는 과정 속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교사들이 교육과정의 혁신에 관해 갖고 있는 나름대로의 감정, 생각과 같은 반응들을 의미한다(Hall, 1979). 또한 여러 연구를 통하여 새로운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관심 단계(Stages of Concern: SoC)를 Stage 0-무관심 단계, Stage 1-정보적 관심 단계, Stage 2-개인적 관심 단계, Stage 3-운영적 관심 단계, Stage 4-결과적 관심 단계, Stage 5-협동적 관심 단계, Stage 6-대안적 관심 단계의 7단계로 구분하였으며, 관심의 각 단계는 상호 배타적이지 않고, 교사가 7단계 중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관심을 보이는 단계를 새로운 교육과정에 대한 해당 교사의 관심도라고 하였다(Hall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ae, S. & Geum, Y. (2009). The recognition and needs of chemical industry teachers about STEM education of chemical industrial technical high school.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ion, 35(1), 44-67. 

  2. Baek, Y., Park, H., Kim, Y., Noh, S., Park, J., Lee, J., Jeong, J., Choi, Y. & Han, H. (2011). STEAM education in Korea.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1(4), 149-171. 

  3. Chae, H. & Noh, S. (2013). The effect of the STEAM activities on the elementary student's science process skills and science-related attitude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7(3), 417-433. 

  4. Fuller, F. (1969). Concerns of teachers: A developmental conceptualization.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6(2), 207-226. 

  5. Hall, G. E. (1979). The concerns-based approach for facilitating change. Educational Horizon, 57(4), 202-208. 

  6. Hall, G. E., George, A. A. & Rutherford, W. L. (1979). Measuring stages of concern about the innovation: A manual for the use of the SoC questionnaire. Austin: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for Teacher Education,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7. Hall, G. E., Loucks, S. F., Rutherford, W. L. & Newlove, B. W. (1975). Levels of use of the innovation: A framework for analyzing innovation adop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26(1), 52-56. 

  8. Hord, S. M. & Loucks, S. F. (1980). A concerns-based model for the delivery of inservice. Austin: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for Teacher Education,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9. Hord, S. M., Rutherford, W. L., Huling-Austin, L. L. & Hall, G. E. (1987). Taking charge of change. VA: ASCD. 

  10. Jang, S. & Kim, J. (2002). Analysis on the status of performance assessment in science based on the elementary teachers' concern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1(2), 227-240. 

  11. Jung, B. (2000). Education and pedagogy [교육과 교육학]. Seoul: Baeyoungsa. 

  12. Kil, M. & Kim, D. (2011). An analysis of concern of middle school teachers about 2007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9(2), 121-143. 

  13. Kim, J., Lee, Y., An, H. & Kim, S. (2003). An analysis of teachers' level of usage and concern over the 7th science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4(5), 378-392. 

  14. Lee, D., Kim, S. & Kim, K. (2010). Analysis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cern of special supplementary class. The Journal of Korea Elementary Education, 21(2), 197-212. 

  15. Lee, D., Lee, S. & Kim, S. (2011). Analysis of teachers' concerns and levels of use on performance assessment in elementary school.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24(4), 235-254. 

  16.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MEST] (2010). The 2011 policy report of MEST. Seoul, Korea: Author. 

  17. Ministry of Education [MOE] (2013). The introduction and policy direction of STEAM education. Seoul, Korea: Author. 

  18. Ministry of Education [MOE] (2014). Science teacher's guides for elementary school. Ministry of Education. 

  19. National Research Council [NRC] (2013).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20. Park, S. (2014). An analysis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cern on open inquiry in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 Education, 26(1), 134-147. 

  21. Shin, Y. & Han, S. (2011). A study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in STEA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mathematics) education.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0(4), 514-523. 

  22. Sim, J. (2014). The teachers' perception of the implementation of high-school integrated science developed by 2009 revised science curriculum. The Journal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17(1), 53-76. 

  23. Stenhouse, L. (1976). An introduction to curriculum research and development. London: Heinemann. 

  24. Yi, J. & Shin, J. (2012). An analysis of teachers' stage of concerns and implementation on the 2007 revised curriculum based on CBAM. Teacher Education Research, 51(1), 137-15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