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수면시간과 비만, 열량영양소 섭취비율 및 신체 활동량과의 관련성
Association of Daily Sleep Duration with Obesity, Macronutrient Intake, and Physical Activity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16 no.3, 2011년, pp.315 - 323  

백인경 (국민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신철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안산병원 내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re are a few studies that reported the association of sleep duration with calorie intake and energy expenditure. Using cross-sectional data from a population-based prospective study, we evaluated the association of sleep duration with indicators of obesity including body mass index and waist cir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수면시간과 열량 및 열량영양소 섭취량, 신체활동량과의 관련성을 국내 처음으로 보고한다는 의의와 함께, 짧은 수면시간 혹은 수면 부족이 고지방 섭취로부터의 과잉 열량섭취 및 운동 부족, 이로 인한 허리둘레 증가와 관련될 수 있다는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해 냈다. 본 연구의 장점은 표준화된 방법을 이용해 훈련된 연구원들에 의해 인체계측이 체계적으로 수행되었다는 점이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 기반의 코호트 연구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인에서의 수면시간이 비만 지표, 총 열량 및 열량영양소 섭취량, 신체활동량 등과 어떤 관련성을 나타내는지 분석하고, 적절한 수면시간을 유지하거나 혹은 수면부족 가운데 에너지 균형 상태를 이루기 위한 영양학적 제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한국 성인 남녀를 포함한 지역사회 기반의 코호트 연구의 2001년 및 2002년의 단면적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수면시간과 비만 지표, 열량 및 열량영양소 섭취, 신체활동량과의 관련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들 변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가지 공변수들을 보정한 다중 회귀분석에서, 수면시간은 비만 특히 복부 비만 지표인 허리둘레 및 열량 섭취량, 열량에 대한 지방 섭취 백분율 등과 음의 관련성을, 신체활동량 및 열량에 대한 탄수화물 섭취 백분율과는 양의 관련성을 나타냈다.
  • Shi 등(2008)의 역학 연구는 수면시간이 짧은 사람들은 수면시간이 더 긴 사람들에 비해 지방 섭취로부터 열량섭취 비율이 유의적으로 더 높음을 보고하였다. 이 연구는 단면적 조사 자료에 근거하였기 때문에 관련성에 대한 두 가지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즉 수면시간이 부족하면 특정한 열량영양소 섭취를 갈구하게 되든지, 아니면 반대로 특정 열량영양소의 섭취가 수면 패턴을 바꿀 수 있다는 양측 방향의 인과관계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짧은 수면은 무엇을 증가시키는가? 수면시간은 비만 및 비만과 관련된 만성질환과 밀접한 관련성을 갖는다. 즉, 짧은 수면은 비만, 당뇨병, 고혈압, 심혈관계질환의 발병 위험(Ayas 등 2003; Taheri 등 2004; Gottlieb 등 2006; Yaggi 등 2006) 및 사망률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Kripke 등2002). 이러한 관련성에 대한 기전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식량자원이 풍부한 환경 가운데 수면장애와 스트레스로 인한 과잉 섭취가 동반되면 비만 및 대사이상에 직접,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Patel & Hu 2008).
수면시간은 무엇과 밀접한 관련성을 갖는가? 수면시간은 비만 및 비만과 관련된 만성질환과 밀접한 관련성을 갖는다. 즉, 짧은 수면은 비만, 당뇨병, 고혈압, 심혈관계질환의 발병 위험(Ayas 등 2003; Taheri 등 2004; Gottlieb 등 2006; Yaggi 등 2006) 및 사망률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Kripke 등2002).
식량자원이 풍부한 환경 가운데 수면시간이 짧아지는 것에 대한 영향은 무엇인가? 즉, 짧은 수면은 비만, 당뇨병, 고혈압, 심혈관계질환의 발병 위험(Ayas 등 2003; Taheri 등 2004; Gottlieb 등 2006; Yaggi 등 2006) 및 사망률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Kripke 등2002). 이러한 관련성에 대한 기전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식량자원이 풍부한 환경 가운데 수면장애와 스트레스로 인한 과잉 섭취가 동반되면 비만 및 대사이상에 직접,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Patel & Hu 2008). 또한 수면장애가 없더라도 수면 시간이 짧아지면 상대적으로 음식을 섭취하는데 할애할 수 있는 시간이 길어져 섭취량이 더 증가하고 체중증가를 초래할 수 있다(Nedeltcheva 등 2009). 한편, 생리적인 기전으로 짧은 수면시간이 식욕 조절 호르몬인 렙틴과 그럴린 분비의 불균형 상태를 초래하여 과잉 섭취를 자극시키고 이로 인해 에너지 불균형과 체중 증가를 유도하는 것으로 제의되었다(Knutson & Van Cauter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hn Y, Kwon E, Shim JE, Park MK, Joo Y, Kimm K, Park C, Kim DH (2007): Validation and reproducibility of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Korean genome epidemiologic study. Eur J Clin Nutr 61(12): 1435-1441 

  2. Al Awar R, Obeid O, Hwalla N, Azar S (2005): Postprandial acylated ghrelin status following fat and protein manipulation of meals in healthy young women. Clin Sci (Lond) 109(4): 405-411 

  3. Ayas NT, White DP, Manson JE, Stampfer MJ, Speizer FE, Malhotra A, Hu FB (2003): A prospective study of sleep duration and coronary heart disease in women. Arch Intern Med 163(2): 205-209 

  4. Baik I, Shin C (2008): Prospective study of alcohol consumption and metabolic syndrome. Am J Clin Nutr 87(5): 1455-1463 

  5. Basner M, Fomberstein KM, Razavi FM, Banks S, William JH, Rosa RR, Dinges DF (2007): American time use survey: sleep time and its relationship to waking activities. Sleep 30(9): 1085-1095 

  6.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1): Unhealthy sleeprelated behaviors -12 States, 2009. MMWR Morb Mortal Wkly Rep 60(8): 233-238 

  7. Dew MA, Hoch CC, Buysse DJ, Monk TH, Begley AE, Houck PR, Hall M, Kupfer DJ, Reynolds CF 3rd (2003): Healthy older adults' sleep predicts all-cause mortality at 4 to 19 years of follow-up. Psychosom Med 65(1): 63-73 

  8. Gottlieb DJ, Redline S, Nieto FJ, Baldwin CM, Newman AB, Resnick HE, Punjabi NM (2006): Association of usual sleep duration with hypertension: the Sleep Heart Health Study. Sleep 29(8): 1009-1014 

  9. Kim J, Kim HM, Kim KM, Kim DJ (2009): The association of sleep duration and type 2 diabetes in Korean male adults with abdominal obesity: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5. Diabetes Res Clin Pract 86(2): e34-36 

  10. Kim J, Jo I (2010): Age-dependent association between sleep duration and hypertension in the adult Korean population. Am J Hypertens 23(12): 1286-1291 

  11. Knutson KL, Van Cauter E (2008): Associations between sleep loss and increased risk of obesity and diabetes. Ann N Y Acad Sci 1129: 287-304 

  12. Kripke DF, Garfinkel L, Wingard DL, Klauber MR, Marler MR (2002): Mortality associated with sleep duration and insomnia. Arch Gen Psychiatry 59(2): 131-136 

  13. Nedeltcheva AV, Kilkus JM, Imperial J, Kasza K, Schoeller DA, Penev PD (2009): Sleep curtailment is accompanied by increased intake of calories from snacks. Am J Clin Nutr 89(1): 126-133 

  14. Nedeltcheva AV, Kessler L, Imperial J, Penev PD (2009): Exposure to recurrent sleep restriction in the setting of high caloric intake and physical inactivity results in increased insulin resistance and reduced glucose tolerance. J Clin Endocrinol Metab 94(9): 3242-3250 

  15. Park SE, Kim HM, Kim DH, Kim J, Cha BS, Kim DJ (2009): The association between sleep duration and general and abdominal obesity in Koreans: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1 and 2005. Obesity (Silver Spring) 17(4): 767-771 

  16. Patel SR, Hu FB (2008): Short sleep duration and weight gain: a systematic review. Obesity (Silver Spring) 16(3): 643-653 

  17. Ram S, Seirawan H, Kumar SK, Clark GT (2010): Prevalence and impact of sleep disorders and sleep habits in the United States. Sleep Breath 14(1): 63-70 

  18. Rontoyanni VG, Baic S, Cooper AR (2007): Association between nocturnal sleep duration, body fatness, and dietary intake in Greek women. Nutrition 23(11-12): 773-777 

  19. Saltzman E, Dallal GE, Roberts SB (1997): Effect of high-fat and low-fat diets on voluntary energy intake and substrate oxidation: studies in identical twins consuming diets matched for energy density, fiber, and palatability. Am J Clin Nutr 66(6): 1332-1339 

  20. Schmid SM, Hallschmid M, Jauch-Chara K, Wilms B, Benedict C, Lehnert H, Born J, Schultes B (2009): Short-term sleep loss decreases physical activity under free-living conditions but does not increase food intake under time-deprived laboratory conditions in healthy men. Am J Clin Nutr 90(6): 1476-1482 

  21. Shi Z, McEvoy M, Luu J, Attia J (2008): Dietary fat and sleep duration in Chinese men and women. Int J Obes (Lond) 32: 1835-1840 

  22. Spiegel K, Tasali E, Penev P, Van Cauter E (2004): Brief communication: Sleep curtailment in healthy young men is associated with decreased leptin levels, elevated ghrelin levels, and increased hunger and appetite. Ann Intern Med 141(11): 846-850 

  23. Taheri S, Lin L, Austin D, Young T, Mignot E (2004): Short sleep duration is associated with reduced leptin, elevated ghrelin, and increased body mass index. PLoS Med 1(3): e62 

  24. Van Cauter E, Holmback U, Knutson K, Leproult R, Miller A, Nedeltcheva A, Pannain S, Penev P, Tasali E, Spiegel K (2007): Impact of sleep and sleep loss on neuroendocrine and metabolic function. Horm Res 67(Suppl 1): 2-9 

  25. Weiss A, Xu F, Storfer-Isser A, Thomas A, Ievers-Landis CE, Redline S (2010): The association of sleep duration with adolescents' fat and carbohydrate consumption. Sleep 33(9): 1201-1209 

  26. Yaggi HK, Araujo AB, McKinlay JB (2006): Sleep duration as a risk factor for the development of type 2 diabetes. Diabetes Care 29(3): 657-66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