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상인과 비만인의 수면 일주기 리듬과 수면 질의 차이
Difference in Sleep Circadian Rhythm and Sleep Quality between Normal-weight and Obese Group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16 no.4, 2014년, pp.309 - 317  

석현진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  나연경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  홍해숙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sleep circadian rhythm and sleep quality between normal-weight and obese group according to Body Mass Index to develop education and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for the obese. Methods: This study involved 186 subjects who visited at S hospital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9), 수면 일주기 리듬과 생활 적응(Huh, Kim, Lee, & Lee, 1998; Kim, 1998)등에 관해 이루어져 왔으며 비만인의 수면 일주기 리듬과 수면 질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상인과 비만인의 수면 일주기 리듬을 분석하고 수면 질의 차이를 파악하여 비만관리를 위한 교육 및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정상인과 비만인의 수면 일주기 리듬과 수면 질을 파악하여 비만 교육 및 간호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일개 비만클리닉에 방문한 18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 본 연구는 정상인과 비만인의 수면 일주기 리듬과 수면 질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한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정상인과 비만인의 수면 일주기 리듬과 수면질의 차이를 파악하여 비만 교육 및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만의 이론적 정의는 무엇인가? 이론적 정의: 비만은 비정상적이거나 과도한 지방의 축적으로 인해 건강에 위험을 야기할 수 있는 상태를 말한다(WHO, 2013).
일주기 리듬의 이론적 정의는 무엇인가? 이론적 정의: 일주기 리듬은 호르몬 분비, 체온, 수면, 각성, 인지 기능, 인체기능의 변화로 신경계 및 내분비계 변화, 신장이나 간 기능, 체온, 심박수, 호흡수, 혈압, 혈액성분 등이 기능적, 성분 적으로 변화를 나타내는 것이다(Mallardi, 1978).
일주기성 리듬에 따른 수면습관의 개인차가 인지와 정서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것을 어떻게 알 수 있는가? Huh 등(1998)이 대학생과 직장인의 수면 일주기 리듬을 비교한 연구에서 직장인과 대학생 모두 중간형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 본연구와유사한결과였고, 연령대별아침-저녁유형에서는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아침활동형이 증가하는 반면에 저녁활동형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저녁활동형은 아침에 늦게 일어나는 경향이 있고 저녁에 매우 활동적이며, 아침활동형보다 더 늦은 시간대에 잠이 드는 경향이 있다. 저녁활동형은 스트레스로 인한 심리적, 신체적 장애에 더 취약한 반면, 아침활동형은 하루 동안 낙관적 사고와 삶의 만족감 및 긍정적 정서가 더 높다고 하였다(Vink, Groot, Kerkhof, & Boomama, 2001). 이는 일주기성 리듬에 따른 수면습관의 개인차가 인지와 정서에 직접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yas, N., White, D., Manson, J., Stampfer, M., Speizer, F., Malhotra, A., et al. (2003). A prospective study of sleep duration and coronary heart disease in women.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63(2), 205-209. 

  2. Baik, I., & Shin, C. (2011). Association of daily sleep duration with obesity, macronutrient intake, and physical activity.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16(3), 315-323. 

  3. Buysse, D., Reynolds, C., Monk, T., Berman, S., & Kupfer, D. (1989).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 a new instrument for psychiatric practice and research. Psychiatry Research, 28(2), 193-213. 

  4. Cho, Y. W. (2004). The Sleep Scale and Sleep Hygiene. Journal of Korean Sleep Research, 1(1), 13-25. 

  5. Cournot, M., Ruidavets, J. B., Marquie, J. C., Esquirol, Y., Baracat, B., & Ferrieres J. (2004). Environmental factors associated with body mass index in a population of southern france. European Journal of Cardiovascular Prevention Rehabilitation, 11(4), 291-297. 

  6. Foreman, M. D., & Wykle, M. (1995). Nursing standard-of-practice protocol: Sleep disturbances in elderly patients. Geriatric Nursing, 16(5), 238-243. 

  7. Gottlieb, D. J., Redline, S., Nieto, F. J., Baldwin, C. M., Newman, A. B., Resnick, H. E., et al. (2006). Association of usual sleep duration with hypertension: The sleep heart health study. Sleep, 29(8), 1009-1014. 

  8. Gupta, N. K., Mueller, W. H., Chan, W., & Meininger, J. C. (2002). Is obesity associated with poor sleep quality in adolescents? American Journal of Human Biology, 14(6), 762-768. 

  9. Huh, S. K., Kim, K. J., Lee, H. I., & Lee, S. W. (1998). Comparative analysis of circadian rhythm between college students and workers. Journal of Management Science, 7, 187-194. 

  10. Jiang, F., Zhu, S., Yan, C., Jin, X., Bandla, H., & Shen, X. (2009). Sleep and obesity in preschool children. Journal of Pediatrtics, 154(6), 814-818. 

  11. Kim, J. K. (1998). Circadian rhythm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3(1), 129-140. 

  12. Kim, H. S., Uom, M. R., & Kim, E. K. (2010). Sleep Patterns and Circadian Types of Nursing Students during Shift Schedul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1), 43-51. 

  13. Kim, J. K. & Song, H. S. (2007). The relation of circadian sleep phase preference to sleep habits, psychological adjustment and academic performance in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2(3), 631-648. 

  14. Kripke, D., Garfinkel, L., Wingard, D., Klauber, M., & Marler, M. (2002). Mortality associated with sleep duration and insomnia.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59(2), 131-136. 

  15. Landhuis, C. E., Poulton, R., Welch, D., & Hancox, R. J. (2008). Childhood sleep time and long-term risk for obesity: A 32-year prospective birth cohort study. Pediatrics, 122(5), 955-960. 

  16. Lumeng, J. C., Somashekar, D., Appugliese, D., Kaciroti, N., Corwyn, R. F., & Bradley, R. H. (2007). Shorter sleep duration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for being overweight at ages 9 to 12 years. Pediatrics, 120(5), 1020-1029. 

  17. Mallardi, V. (1978). Biorhythm and Your Behavior. Philadelphia. Running Press. 9-15. 

  18.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2).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lll). 

  19. Ok, S. M., Ju, S. Y., Choi, H. S., Park, H. M., Jung, K. I., & Song, C. H. (2008). Association of sleep hours with obesity in adult wome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17(3), 110-116. 

  20. Park, S. E., Kim, H. M., Kim, D. H., Kim, J., Cha, B. S., & Kim, D. J. (2009). The association between sleep duration and general and abdominal obesity in koreans: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1 and 2005. Obesity, 17(4), 767-771. doi:10.1038/oby.2008.586 

  21. Patel, S. R., Blackwell, T., Redline, S., Ancoli-Israel, S., Cauley, J. A., Hiller, T. A., et al. (2008). The association between sleep duration and obesity in older adults.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32(12), 1825-1834. 

  22. Reinberg, A. (2008). Internal desynchronization of circadian rhythms and tolerance to shift work. Chronobiology International, 25(4), 625-643. 

  23. Shi, Z., McEvoy, M., Luu, J., & Attia, J. (2008). Dietary fat and sleep duration in chinese men and women.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32(12), 1835-1840. 

  24. Smith, C. S., Reilly, C., & Midkiff, K. (1989). Evaluation of three circadian rhythm questionnaires with suggestions for an improved measure of morningness. Th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4(5), 728-738. 

  25. Touchette, E., Petit, D., Tremblay, R. E., Boivin, M., Falissard, B., Genolini, C., et al. (2008). Associations between sleep duration patterns and overweight/obesity at age 6. Sleep, 31(11), 1507-1514. 

  26. Vgontzas, A. N., Lin, H. M., Papaliaga1, M., Calhoun, S., Vela-Bueno, A., Chrousos, G. P., et al. (2008). Short sleep duration and obesity: The role of emotional stress and sleep disturbances.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32(5), 801-809. doi:10.1038/ijo.2008.4 

  27. Vink, J. M., Groot, A. S., Kerkhof, G. A., & Boomsma, D. I. (2001). Genetic analysis of morningness and eveningness. Chronobiology International, 18(5), 809-822. 

  28. Weiss, A., Xu, F., Storfer-Isser, A., Thomas, A., Ievers-Landis, C. E., & Redline, S. (2010). The association of sleep duration with adolescents' fat and carbohydrate consumption. Sleep, 33(9), 1201. 

  29. Wells, J. C. K., Hallal, P. C., Reichert, F. F., Menezes, A. M. B., Araujo, C. L. P., & Victora, C. G. (2008). Sleep patterns and television viewing in relation to obesity and blood pressure: Evidence from an adolescent brazilian birth cohort.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32(7), 1042-1049. 

  30. World Health Organization. (March 2013). Obesity: Fact sheet on obesity and overweight. Retrived September 1, 2013, from http://www.who.int/mediacentre/factsheets/fs311/en/index.html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