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설악산 잣나무(Pinus koraiensis) 천연림의 해발고별 임분구조 및 생장특성
Stand Structure and Growth Characteristics at Different Elevations of the Korean Pine(Pinus koraiensis) Natural Forest on Mt. Seorak 원문보기

Journal of forest science, v.27 no.3, 2011년, pp.157 - 167  

김현섭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산기술연구소) ,  배상원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산기술연구소) ,  장석창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산기술연구소) ,  정준모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산기술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stand structure and growth characteristics along different elevations of Pinus koraiensis natural forests located at mean elevation 1,300 m (site1), 900 m (site2) and 600 m (site3) on Mt. Seorak. Mean DBH and height of P. koraiensis were 25.4 cm and 12.3 m i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해발고에 따른 잣나무천연림의 수종구성 및 임분구조와 생장특성을 구명하여 보호의 필요성이 있는 잣나무천연림의 해발고별 기초 생장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물의 생존과 생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1976). Walter(1960)는 식물생존에 주로 영향을 주는 기본 인자를 빛, 온도, 수분, 화학 및 기계적 인자로 분류하였고, Erteld and Hengst(1966)는 산림생장에서 동화작용과 호흡 과정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인자로 빛, 복사광선, 온도, 수분, 이산화탄소 등을 들었다. 즉, 식물의 생존과 생장에 빛, 온도, 수분 등의 요인이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요약되는데 이 중 온도는 태양광선의 영향을 크게 받으며, 해발고 및 지형의 기복 역시 온도에 영향을 미친다(Byun et al.
해발고에 따른 잣나무천연림의 임분구조 및 생장특성은 어떠한가? 해발고에 따른 잣나무천연림의 수종구성과 임분구조는 다른 특성을 보였다. 평균해발고 1,300 m 지역의 잣나무는 신갈나무와 상대우점치는 유사하나 흉고직경과 수고분포에서 중・ 하위수준을 보인 반면, 평균해발고 900 m이하 지역은 잣나무가 우점종을 이루고 흉고직경과 수고가 신갈나무를 비롯한 부수종에 비해 상위를 점유하고 있다. 잣나무의 생장특성에도 해발고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데 평균해발고 1,300 m 지역은 평균수령이 153년으로 가장 많은 반면, 흉고직경과 수고가 25.4 cm와 12.3 m에 불과해 평균해발고 900 m이하 지역에 비해 개체목의 평균단재적이 약 5배 정도 작았다. 연륜생장패턴도 차이가 있는데 해발고가 높은 지역의 잣나무는 소폭의 일정한 생장을 장기적으로 지속하는 반면, 해발고가 낮은 지역은 단기에 큰 폭의 생장을 하고 급격한 감소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특징이 반영되어 최근 연륜생장에 있어 해발고 1,300 m 지역의 잣나무는 소폭의 증가를 보인 반면, 해발고 900 m 이하 지역은 약 50%의 생장감소를 보여 해발고에 따른 기온과 부의 상관관계가 유추되었다.
잣나무가 분포하는 지역은? 잣나무(Pinus koraiensis)는 자연 상태에서 한반도를 비롯해 러시아 아무르, 하바로브스크, 연해주, 중국 북동부 헤이룽장, 지린, 일본 혼슈, 시코쿠 등에 분포하는 한대수종으로 한반도에서는 수평적으로 북쪽의 차유산과 남쪽의 지리산까지 나타나고 수직적으로 해발 100~1,900 m 사이에 분포한다(Kong,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Bae, S. W., and P. G. Kim. 2000. A study on crown measure density and calculation of crown projection for red pine(Pinus densiflora) Stand. Korean Journal of Forest Measurements. 3(2): 28-34. 

  2. Brower, J. E., and J. H. Zar. 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mpany. pp. 194. 

  3. Burk, R. L., and M. Stuiver. 1981. Oxygen isotope ratios in trees reflect mean annual temperature and humidity. Science. 211. pp. 1417-1419. 

  4. Byun, W. H., W. K. Lee, and S. W. Bae. 1996. 산림생장학. pp. 399. 

  5. Choi, S. H., and H. S. Cho. 2009. Vegetation structure analysis from naesosa to naebyeonsan district of the byeonsan peninsula national park. Kor. J. Env. Eco. 23(2): 151-160. 

  6. Curtis, J. T., and R. P. McIntosh. 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 476-496. 

  7. Erteld, W., and E. Hengst. 1966. Waldertragslehre. Radebeul. pp. 287. 

  8. Fritz, H. S. 1987. Tree rings Basic and Applications of Dendrochronology. pp. 276. 

  9. Jin, Y. H., D. K. Lee, and H. S. Kang. 2005. Natural regeneration characteristics of Pinus koraiensis-broadleaved forests after selective cutting in mt. changbai. Jour. Korean For. Soc. Vol. 94, No. 1. pp. 6-10. 

  10. Kang, H. S., D. K. Lee, A. I. Kudinov and Y. I. Manko. 2004. Stand structure of Pinus Koraiensis-broadleaved climax stand in ussurisk reserve area(zapovednik), russian far east. Proceedings of the korean Forest Society. pp. 91-93. 

  11. Kim, J. H., and S. K. Kang. 2008. The developmental pattern of succeeding regeneration after the application of shelterwood system in a thrift-mature Pinus Koraiensis plantation. Jour. Korean For. Soc. Vol. 97, No. 6, pp. 597-604. 

  12. Kim, K. T., G. C. Choo, T. W. Um. 1996.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turobong-sangwangbong area in odaesan national park-Abies nephrolepis and Taxus cuspidata forest-. Kor. J. Env. Eco. 10(1): 160-168. 

  13. Kimmins, J. P. 1996. Forest ecology. Prentice Hall, Upper Saddle River, NJ. pp. 569. 

  14. Kong, W. S. 1999.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air temperature and thermal amplitude of alpine plants on mt. halla, cheju island, korea. 대한지리학회지. 제34권. 제4호: 385-393. 

  15. Kong, W. S. 2002.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of korean alpine plants. 대한지리학회지. 제37권. 제4호: 357-370. 

  16. Kong, W. S. 2004.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of native korean conifers. 대한지리학회지. 제39권. 제4호: 528-543. 

  17. Korea Forest Service. 2000. Forest & Forestry Technique(III) Forest Management. pp. 755. 

  18.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02. 표준임업시험실시요령. pp. 692. 

  19.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0. Annual Report of Automatic Weather Staion Data. pp. 963. 

  20. Kramer, H. 1976. Begriffe der Forsteinrichtung. SFFUG. pp. 48. 

  21. Lee, D. H., and J. W. Hwang. 2000. A study for the site condition and vegetation structure for the natural stands of Pinus koraiensis S. et Z. mt. palgong. Journal of Resource Development. 19(1): 68-76 

  22. Lee, K. J., J. C. Jo, and Y. C. Choi. 1996. The community structure in old-growth forest of the sangwonsa-birobong area, odae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9(2): 166-181. 

  23. Lee, S. C., S. H. Choi, H. M. Kang, H. S. Cho, and J. W. Cho. 2010. The change and structure of altitudinal vegetation on the east side of halla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24(1): 026-036. 

  24. Mori, A. S., E. Mizumachi, and A. Komiyama. 2007. Roles of disturbance and demographic non-equilibrium in species coexistence, inferred from 25-year dynamics of a late-successional old-growth subalpine forest.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41: 74-83. 

  25. Oleksyn, J., J. Modrzynski, M. G. Tjoelker, R. Zytkowiak, P. B. Reich, and P. Karolewski. 1998. Growth and physiology of Picea abies populations from elevational transects: common garden evidence for altitudinal ecotypes and cold adaptation. Functional Ecology. 12: 573-590. 

  26. Paluch, J. G. 2007. The spatial pattern of a natural European beech(Fagus sylvatica L) silver fir(Abies alba Mill.) forest: A patch-mosaic perspective.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53: 161-170. 

  27. Park, P. S., J. I. Song, M. P. Kim, and H. K. Park. 2006. Stand structure change in different aged stands along altitudinal gradients in the western part of mt. chiri. Jour, Korean For. Soc. Vol. 95. No. 1. pp. 102-112. 

  28. Park, W. K. 1996. Temperature patterns from width, densities and $^{13}C/^{12}C $ in tree rings of Pinus koraiensis from sorak mountain, korea. In: Proceedings of IGBP-PAGES/PEPII Nagoya Symposium. pp. 192-197. 

  29. Song, Y. H., and C. W. Yun. 2006. Community type and stand structure of the korean pine(Pinus Koraiensis) natural forest in seorak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20(1): 29-40. 

  30. Szymura, T. H. 2005. Silver fir sapling bank in seminatural stand: Individuals architecture and vitality. Forest Ecology and Managerment. 212: 101-108. 

  31. Walter, H. 1960. Einfuhrung in die PhytologieIII Grundlagen der Pflanzenverbreitung. pp. 215. 

  32. Whittaker, R. H. 1965. Dominance and diversity in land plant communities. Science. 147: 250-259. 

  33. Woodward, F. I. 1993. The lowland-to-upland transition-modelling plant responses to environmental change. Ecological Applications. 3: 404-408. 

  34. Youn, Y. I. 2009. The natural regeneration and stand characteristic of the korean fir stand in nae sorak-A study about the concept of the natural regeneration in a natural fir forest-. Korean J. Environ. Biol. 27(2): 176-182. 

  35. Zhang, S., Z. Zhou, H. Hu, K. Xu, N. Yan, and S. Li. 2005. Photosynthetic performances of Quercus pannosa vary with altitude in the hengduan mountains, southwest china.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12: 291-3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