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기농자재인 키토산, 목초액 및 EM 활성액의 처리에 따른 배추의 생육과 토양 미생물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rganic Materials, Chitosan, Wood Vinegar, and EM Active Solution on Soil Microbial and Growth in Chinese Cabbage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1 no.4 = no.132, 2011년, pp.584 - 588  

정순재 (동아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조미용 (동아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석운영 (동아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이상록 (동아대학교 공과대학) ,  이형주 (몬산토 코리아) ,  오주성 (동아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유기농자재인 키토산, 목초액 및 EM 활성액 등을 공시재료로, 배추 정식 전에 100배액 토양관주 처리하고, 배추 정식 후 15일 간격으로 엽면살포 농도를 100배액과 1,000배액으로 3회 엽면살포한 후 배추의 생육 및 토양 미생물상의 변화에 대해 분석하였다. 유기농자재 처리에 따른 배추의 생육특성은 대조구에 비해 유기농자재 처리구에서 생육이 양호하게 나타났으며, 유기농자재 간에는 키토산 처리구에서 양호하였고, 특히 키토산 1,000배액 처리구에서 생육이 양호하였으며, 주중이 5.60 kg으로 가장 무거웠다. 유기농자재 처리에 따른 토양 미생물상 변화는 대조구에 비해 유기농자재 처리구에서 세균, 트리코데마 및 방선균수은 증가한 경향을 보였고, 사상균수는 약간 감소한 경향을 보였으나 처리간 일정한 경향은 없었다. 유기농처리구 간에는 키토산 1,000 배액 처리구에서 세균, 트리코데마 및 방선균수가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rganic materials, chitosan, wood vinegar, and EM active solution, on soil microbial and growth in Chinese cabbage. The organic materials were treated with chitosan, wood vinegar, and EM (effective microoganism) active solution, and the treatm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안전한 농산물을 생산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공시재료는 현재 친환경 재배농가에서 화학비료와 농약 대신 많이 사용하고 있는 유기농자재 중 키토산, 목초액 및 EM 활성액 3종류를 선정하여 우리나라 국민들이 많이 이용하고 있는 엽채류인 배추를 공시작물로 하여 생육 및 토양 미생물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시험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EM의 어떤 특징을 가진 자재인가요? EM (Effective Microorganisms)은 복합 유용 유기농자재로서 발효·정균·합성 그리고 항산화물질을 생성하는 미생물 즉 유산균, 효모균, 방선균, 누룩균 및 광합성세균 등 80여 종의 미생물이 포함되어 있는 유기농자재이다. EM은 비옥한 토양속에서 채취한 미생물을 엄선, 합성배양한 것으로 동정결과 Lactobacillus계가 수종이었으며, YM배지에서 Yeast계로 Candida Versatilis가 조사되었다.
키토산이 가진 이점은? Chitosan은 게나 가재, 새우 껍데기에 들어 있는 키틴을 탈아세틸화하여 얻어낸 키틴의 유도체로서 농업분야에서는 토양개량용 및 병해충방제용으로 사용하고 있는 자재이다. 키토산은 몇가지 식물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도 보고되고 있고[3,4,5], 세포의 활성화에 의한 식물체의 생장촉진효과가 있어 작물재배뿐만 아니라 항균활성[10], 항종양 활성[15], 콜레스테롤 저하작용[20] 등 임상실험에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유기농 자재를 처리한 시험구가 대조구보다 세균, 방선균 및 트리코데마수는 일정한 비율로 증가하였으나 사상균 수는 약간 감소한 결과로 알 수 있는 것은? 토양 미생물상 분설결과 무처리구인 대조구에 비해 유기농 자재를 처리한 시험구가 세균, 방선균 및 트리코데마수는 일정한 비율로 증가하였으나 사상균수는 약간 감소한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토양 중의 생물, 특히 세균의 활성은 주변 토양의 입자나 식물뿌리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전반적으로 유기농자재 처리가 무처리에 비해 배추의 생육이 좋아졌는데 이는 유기농자재가 배추의 생육촉진에 기여하는 것도 있지만 대부분 토양중의 미생물상에 영향을 미침으로서 토양 미생물수와 양이 증가함으로 근권이 활성화되어 지상부인 작물생육도 다소 양호해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유기농자재를 엽면살포함으로서 세균수는 증대되고, 사상균수는 감소하므로 B/F (Bacteria/Fungi) 비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B/F (Bacteria/Fungi) 비율이 작물생육에 영향을 초래한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hmad, J. S. and R. baker. 1987. Rhizosphere competence of tricoderma harzianum. Phytopathol. 77, 182-189. 

  2. An, G. M. 1998. Components of wood using carbide. Mokpo University Symposium. 11-57. 

  3. El Ghaouth, A., J. Arul, R. Ponnampalam, and M. Boulet. 1991. Chitosan coating effect on storability and quality of fresh stawberries. J. Food Sci. 56, 1618-1620. 

  4. Hadwiger, L. A., and J. M. Beckman. 1980. Chitosan as a component of Pea-Fusarium solani interactions. Plant Physiol. 66, 205-211. 

  5. Hirano, S. and N. Nagao. 1989. Effects of chitosan, pectic acid, lysozyme, and chitinase on the growth of several phytopahogens. Agric. Sio. Chem. 53, 3065-3066. 

  6. Higa. 1993. Agricultural utilization of microorganisms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 pp.77-92, Horticulture Technical Information Center, Korea. 

  7. Jeong, S. J., J. S. Oh., W. Y. Seok., J. H. Kim., D. H. Kim, and W. B. Chung. 2006. Effect of chitosan, wood vinegar and EM on microorganisms in soil and early growth of Tomato. Korean J. Organ. Agric. 14, 433-443. 

  8. Jeong, S. J., J. S. Oh., W. Y. Seok., J. H. Kim., M. Y.Cho, and J. B. Seo. 2007. The effect of chitosan and wood vinegar treatment on the growth of eggplant and leaf lettuce. Korean J. Organ. Agric. 15, 437-452. 

  9. Jo, S. T. 1998. Carbonized wood and materials developed standardized. Carbonized Wood International Symposium on Agricultural and Environmental Uses. 151-166. 

  10. Kendra, D. F, and A. Hadwiger. 1984. Characterization of the smallest chitosan oligomer that is maximally antifungal to Fusarium solani and elicits pisatin formation in pisum sativum. Exp. Mycol. 8, 276. 

  11. Khambunruang, W., W. Saenwong, S. Siriphanicharoen, and P. Phromnat. 1995. Efferciency of EM in increasing rice yield. pp. 98-102, In Seminar on the project for Researches into EM and the Effects of its use on Agriculture and Environment, Bangkok, Thailand. 

  12. Kim, K. H. 1995. Agricultural research, based on test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3. Lee, Y. H. and B. C. Jang. 2000. Identification and use of activated substance derived from the commercialized environmental friendly agro-materials on plant growth. pp. 337-345, Agro-Environment Research 2000. Department of Agro-Environment.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RDA. 

  14. Lee, Y. S. and C. O. Lee. 1999. Change of free sugars, lipoxygenase activity and effects of chitosan treatment during cultivation of soybean sprout.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15-121. 

  15. Nishimura, K., C. Ishihara, S. Ukei, S. Tokura, and I. Azuma. 1986. Stimulaton of cytokine production in mice using deacetylated chitin. Vaccine 4, 151. 

  16. Kim, J. M., C. W. Son, H. P. Seo, B. J. Moon, S. K. Do, and J. W. Lee. 2002. Effect of microbial product on microorganisms in soil and growth of cabbage. Korean J. Life Sci. 12, 515-522. 

  17.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4. Frendly environment. Organic farming agricultural use manual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8. Sharifuddin, H. A. H., M. F. Shahbuddin, and A. R. Anuar. 1996. Nature farming research in Malaysia: Effect of organic amendments and EM on crop production. pp. 145-150, In Parr, J. F., S. B. Hornick, and M. E. Simpson (eds.)., Proceedings of the thi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kyusei nature farming.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Washington, D.C., USA. 

  19. Song, C. K. and B. K. Kang. 1999. Effects of foliar application of chitosan and wood extraction on rooting and tuber formation of plug seeding in potatoes. Korean J. Organ. Agric. 8, 89-100. 

  20. Sugano, M., K. Yoshida, H. hashimoto, K. Enomoto, and S. Hirano. 1992. Hypocholesterolemic activity of partially hydrolyzed chitosan in rats. pp. 472-478, In Brine, C. J., P. A. Sandford, and J. P. Zikakis, Advances in chitin and chitosan, Elsevier Applied Science, London and N.Y. 

  21. Thukair, A. A. 2002. Effect of soil pollution on euendolithic cyanobacteria of the Arabian gulf. Environ. Microbiol. 4, 125-129. 

  22. Trewavas, A. 2001. Urban myths of organic farming. Nature 410, 409-410. 

  23. Uhm, M. J., H. C. Park., Y. H. Moon., K. C. Kim, and S. G. Han. 2002. Effect of chitosan and wood vinegar on the growth and nutrient absorption of Red Pepper (Capsicum annum L.). Society Envir. Control 11, 67-7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