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청소년에서 자가비만인식도와 정신건강과의 관련성
Association with Self-Perception for Obesity and Mental Health among Korean Adolescent 원문보기

소아청소년정신의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v.22 no.2, 2011년, pp.112 - 119  

황인철 (가천의과학대학교 가정의학교실) ,  이경식 (가천의과학대학교 가정의학교실) ,  박동균 (가천의대 길병원 유헬스케어센터) ,  정은영 (가천의대 길병원 유헬스케어센터) ,  최충현 (연세의료원 임상시험센터) ,  조성진 (가천의과학대학교 정신과학교실) ,  배승민 (가천의과학대학교 정신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Obesity has been linked to various psychological problems as well as medical complications, especially among adolescents. Previous studies have suggested an association between body weight and depression or self-esteem ; however, there has been little evidence on self-perception of wei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7,18) 또한, 실제 체중보다는 자신의 체형 만족도가 체중조절행동 및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보고한 이전의 연구 결과19)를 볼 때, 정신건강 역시 실제 비만여부보다 비만인식도에 따른 차이가 있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 청소년의 정신건강을 스트레스, 우울감, 자살사고 면에서 평가해 보고, 비만인식도와의 연관성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청소년 인구의 정신건강 및 비만인식도의 평가와 치료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청소년을 대상으로 실제 비만도 및 인식비만도가 정신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자신이 비만이라고 인식하고 있는 여학생은 그렇지 않은 여학생에 비해 우울감의 경험이 5배 가량 높았다.
  • 본 연구에서는 한정된 임상군이 아닌 일반 청소년 인구에서 단순히 체중으로 인한 비만뿐 아니라 비만인식도에 따른 정신건강의 영향을 처음 규명하고자 하였다. 실제 비만도에 따른 정신건강의 영향은 관찰되지 않았으나, 비만인식의 왜곡이 있는 여학생의 경우 비왜곡군에 비해 유의미하게 우울감의 경험이 높았다.
  • 우울증 항목은 “지난 1년 동안 연속적으로 2주 이상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을 정도로 슬프거나 절망감 등을 느낀적이 있습니까?”라는 질문에 대한 답에 따라 우울군과 비우울군으로 구분하였다. 자살사고 측정에 대해서는, 본 연구가 보건의식행태조사로서 향후 자살예방관련 사업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필요성을 고려하여, 잠재적 자살위험군을 포괄적으로 포함하려고 하였다. 이에 최근 자살사고(current suicidal ideation)의 정의를 구체적인 자살시도 의사와 상관없이 “지난 1년 동안 죽고 싶다는 생각을 해 본 적이 있습니까”라는 질문에 대한 답에 따라 자살사고군과 비자살사고군으로 분류하였다.

가설 설정

  • P values were derived by χ2 test. A : Actual weight status. B : Perceptional weight statu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만이 우울감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원리는? 11) Hayes와 Ross는 비만이 우울감의 발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기는 하나, 사회경제적 특성이나 육체적 건강상태를 보정한 후에는 이러한 유의성이 없어졌다고 하였다. 즉, 우울감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체중 그 자체가 아니라, 비만인의 경우 자신의 체형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타인도 자신을 부정적으로 본다고 여기기 때문에 우울감의 발생이 더 많다는 것이었다.12) 특히 소아청소년의 경우, 외모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고 매스미디어의 영향을 쉽게 받는 집단이라는 점15)에서 이들이 건강하게 자신의 신체상을 인식하지 않을 경우 다른 연령대에 비해 정신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개연성이 매우 높다.
정신건강의 세가지 측면은? 정신건강의 세가지 측면(스트레스 정도, 우울감, 자살사고) 과 비만에 대한 실제 및 인식의 분포를 살펴보았을 때, 통계 적으로 유의한 정도는 아니었으나 전반적으로 비만군은 비비만군에 비해 고스트레스군, 우울군과 자살사고군의 비율이 높았다. 유의미한 차이는 실제 체중에 의한 비만군과 비비만군 사이에서는 관찰되지 않았고, 비만인식도에 따른 분류에서 스스로를 비만으로 체크한 인식왜곡 여학생군에서만 우울감의 경험율이 높게 나왔다.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청소년을 대상으로 실제 비만도 및 인식비만도가 정신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된 본 연구의 제한점은? 본 연구는 몇 가지 제한점을 갖는다. 첫째, 단면연구 설계 이기 때문에 비만인식도와 정신건강 사이의 인과관계를 규명할 수 없다. 따라서 향후 시간적 선후관계 등 정확한 인과관계를 평가할 수 있는 장기추적 디자인의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정신건강척도가 단순한 자가보고 형태이며, 객관적인 검사나 정신과적 인터뷰를 통해서 얻어지지 않았다. 하지만, 본 연구자료가 ‘국민건강영양조사’라는 국가적인 보건 자료 연구의 일환으로써 얻어진 것이기에 비록 질적인 측면에서는 부족하나 반대로 일반 인구를 대상으로 광범위한 자료를 취합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셋째, 단순한 선택적 척도를 사용함으로써 정신건강과 실제 비만도 및 자가비만인식의 상관성을 평가하기 어려웠다는 점과, 식이장애 등 비만과 연관성이 있다고 알려진 기타 정신질환 과의 비교가 어려웠다. 이에 대해서는 향후 지역사회 인구의 대규모 역학조사에도 소요 시간과 평가자 자격 면에서 난점을 해결할 수 있는 the Diagnostic Interview Schedule for Children(DISC) 등의 반구조화된 면담도구의 사용으로, 척도를 보강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Wang Y, Lobstein T. Worldwide trends in childhood overweight and obesity. Int J Pediatr Obes 2006;1:11-25. 

  2. Kang YJ, Hong CH, Hong YJ. The prevalence of children and adolescent obesity over the last 18 years in Seoul area. Korean J Nutr 1997;30:832-839. 

  3. Park YS, Lee DH, Choi JM, Kang YJ, Kim CH. Trend of obesity in school age children in Seoul over the past 23 years. Korean J Pediatr 2004;47:247-256. 

  4. Serdula MK, Ivery D, Coates RJ, Freedman DS, Williamson DF, Byers T. Do obese children become obese adults? A review of the literature. Prev Med 1993;22:167-177. 

  5. World Health Organization. Obesity: preventing and managing the global epidemic. Report of a WHO consultation. World Health Organ Tech Rep Ser 2000;894:i-xii, 1-253. 

  6. Anderson SE, Cohen P, Naumova EN, Must A. Association of depression and anxiety disorders with weight change in a prospective community-based study of children followed up into adulthood. Arch Pediatr Adolesc Med 2006;160:285-291. 

  7. Jang WS, Yang JW, Joung YS, Hong SD.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life and body mass index in middle school students. J Korean Acad Child Adolesc Psychiatrt 2006;17:3-9. 

  8. Pesa JA, Syre TS, Jones E. Psychosocial differences associated with body weight among female adolescents: the importance of body image. J Adolesc Health 2000;26:330-337. 

  9. Buddeburg-Fisher B, Klaghofer R, Reed V. Associations between body weight, psychiatric disorders and body image in female adolescents. Psychother Psychosom 1999;68:325-332. 

  10. Zametkin AJ, Zoon CK, Klein HW, Munson S. Psychiatric aspects of child and adolescent obesity: a review of the past 10 years.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04;43:134-150. 

  11. Murphy JM, Richard RM, Donald CO, Gwendolyn EXZ, Arthur MS, Alexander HL. The relations over time between psychiatric and somatic disorders: The stirling county study. Am J Epidemiol 1991;136:95-105. 

  12. Hayes D, Ross CE. Body and mind: The effect of exercise, overweight, and physical health on psychological wellbeing. J Health Soc Behav 1986;27:387-400. 

  13. Strasburger VC, Jordan AB, Donnerstein E. Health effects of media on children and adolescents. Pediatrics 2010;125:756-767. 

  14. Schwimmer JB, Burwinkle TM, Varni JW.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severely obese children and adolescents. JAMA 2003; 289:1813-1819. 

  15. Friedlander SL, Larkin EK, Rosen CL, Palermo TM, Redline S. Decreased quality of life associated with obesity in school-aged children. Arch Pediatr Adolesc Med 2003;157:1206-1211. 

  16. Shin JA, Bae SP, Kim HS, Park HS. Psychological factors and familial environments in adolescent obesity. J Korean Acad Fam Med 2002;23:1024-1032. 

  17. Ali MM, Fang H, Rizzo JA. Body weight, self-perception and mental health outcomes among adolescents. J Ment Health Policy Econ 2010;13:53-63. 

  18. Park MJ, Lee EA, Lee SH, Kim JI, Ryu SY, Kim KS. The association between the depression and the perception of obesity by adolescent girls. J Korean Soc Endocrinol 1997;12:295-307. 

  19. Haleama AS, Carine V, Ziad A, Colette K, Kristiina O, Agnes N, et al. Weight control behaviors among overweight, normal weight and underweight adolescents in Palestine: Findings from the National Study of Palestinian School Children (HBSC-WBG2004). Int J Eat Disord 2010;43:326-336. 

  20. Cho YG, Song HJ, Kang JH. Preval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definit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Korean J Fam Med 2009;30:261-268. 

  21. Oh JY, Yang YJ, Kim BS, Kang JH.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versin of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IPAQ) short form. Korean J Fam Med 2007;28:532-541. 

  22. Laurson KR, Eisenmann JC, Welk GJ, Wickel EE, Gentile DA, Walsh DA. Combined influence of physical activity and screen time recommendations on childhood overweight. J Pediatr 2008;153: 209-214. 

  23.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n Pediatric Society, Committee for the Development of Growth Standard for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 2007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 national growth chart. Seoul: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2007. 

  24. Kang EM. The parents' behavioral factors & social economic state related to childhood obesity. Seoul: Korea Univ.;2008. 

  25. Martorell R, Kettel KL, Hughes ML, Strawn LMG. Overweight and obesity in preschool children from developing countries.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000;24:959-967. 

  26. Kuckler F, Variyam JN. Mistakes were made: misperception as a barrier to reducing overweight.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003; 27:856-861. 

  27. Casper RC, Offer D. Weight and dieting concerns in adolescents, fashion or symptom? Pediatrics 1990;86:384-390. 

  28. Bresolin L. Body image and health counseling for women. Arch Fam Med 1993;2:1084-1087. 

  29. Speiser PW, Rudolf MC, Anhalt H, Camacho-Hubner C, Chiarelli F, Eliakim A, et al. Childhood obesity. J Clin Endocrinol Metab 2005;90:1871-1887. 

  30. Story M, Hauck FR, Broussard BA, White LL, Resnick MD, Blum RW. Weight perceptions and weight control practices in American Indian and Alaska Native adolescents. A national survey. Arch Pediatr Adolesc Med 1994;148:567-571. 

  31. Vander Wal JS, Thelen MH. Eating and body image concerns among obese and average-weight children. Addict Behav 2000;25: 775-778. 

  32. Galambos NL, Almeida DM, Peterson AC. Masculinity, femininity, and sex role attitudes in early adolescence: Exploring gender intensification. Child Deveolpment 1990;61:1904-1914 

  33. Kang JH, Kim SW, Lee LB, Lee JO, Yang YJ. Th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childhood obesity in elementary students in Seoul. J Korean Acad Fam Med 2000;21:866-875. 

  34. Whitaker RC, Wright JA, Pepe MS, Seidel KD, Dietz WH. Predicting obesity in young adulthood from childhood and parental obesity. N Eng J Med 1997;337:869-873. 

  35. Paeratakul S, White MA, Williamson DA, Ryan DH, Bray GA. Sex, race/ethinity, socioeconomic status, and BMI in relation to self-perception of overweight. Obes Res 2002;10:345-350. 

  36. Carli LL. Biology does not create gender differences in personality. In: Walsh MR, editor. Women, and gender.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1995. 

  37. Laura EB. Child development. 7th ed. Boston: Allyn and Bacon Press;2006. p.541. 

  38. Kim JY, Son SJ, Lee JE, Kim JH, Jung IK. The effects of body image satisfaction on obesity stress, weight control attitudes, and eating disorders among female junior highschool students. Korean J Fam Med 2009;47:49-59. 

  39. Sabbah HA, Vereecken C, Abdeen Z, Coats E, Maes L. Associations of overweight and of seight dissatisfaction among Palestinian adolescents: findings from the national study of Palestinian school children. J Hum Nutr Diet 2008;22:40-49. 

  40. Sadock BJ, Sadock VA. Mood disorders and suicid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In: Grebb JA, Pataki CS, Sussman N, editors. Synopsis of psychiatry. 10th ed. New York: Lippincott Williams & Wilkins;2007. p.1258-1259. 

  41. Cohen S, Wills TA.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 Bull 1985;98:310-357. 

  42. Yoo HJ. Coping style, family support, parenting behavior in adolescents with highly perceived stress. J Korean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05;16:63-71. 

  43. Viana MM, De Marco LA, Boson WL, Romano-Silva MA, Correa H. Investigation of A218C tryptophan hydroxylase polymorphism: association with familial suicide behavior and proband's suicide attempt characteristics. Genes Brain Behav 2006;5:340-345. 

  44. Mahon P, Stutz A, Seifuddin F, Huo Y, Goes F, Jancic D, et al. Case-control association study of TGOLN2 in attempted suicide. Am J Med Genet Part B 2010;153:1016-102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