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재배 방법이 찰옥수수의 성분과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친환경 및 관행 방법으로 재배된 흑진주, 일미 및 연농1호 품종의 일반성분과 항산화활성을 분석하였다. 조회분은 흑진주, 일미 및 연농1호 모두 재배 방법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조지방은 흑진주에서는 친환경 재배가, 일미에서는 관행 재배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조단백질은 흑진주에서는 친환경 재배가, 연농1호에서는 관행 재배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아밀로오스 함량은 친환경 재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유리당은 흑진주에서 친환경 재배가 높았다. 아연 함량은 연농1호의 친환경 재배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지방산은 연농1호 친환경 재배에서 palmitic acid, stearic acid 및 oleic acid 함량이 높았다. 비타민 E는 일미품종은 친환경, 흑진주와 연농1호는 관행 재배가 높아 품종 간에 차이를 보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 및 전자공여능은 흑진주, 일미 및 연농1호 모두에서 친환경 재배보다 관행 재배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총 항산화력 에서는 흑진주 관행 재배가 유의적으로 높았고, 일미에서는 친환경 재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부터 각 품종별로 다른 패턴을 나타내고 있어 일정한 차이를 인정하기 어려우며 따라서 각 품종별 우수한 측정항목을 평가 하여 친환경 재배에 적합한 품종의 선발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emical component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ree waxy corn varieties (Heukjinju, Ilmi, and Yeonnong1) harvested by conventional cultivation (CC) and environmentally-friendly cultivation (EFC). Crude ash content of the three corn varieties w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재배와 관행 재배 방법이 찰옥수수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한 일환으로, 찰옥수수를 친환경 및 관행 방법으로 재배하고 재배방법별 화학성분 함량과 기능성성분 함량을 비교 분석하여 관행 재배 옥수수와 친환경 재배 옥수수의 차이점 및 판별을 시도해 보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가설 설정

  • 2)ND: not detected.
  • 2)NS: not significant.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친환경 및 관행 방법으로 재배된 흑진주, 일미 및 연농1호 품종의 일반성분과 항산화활성을 분석한 본 연구의 결과는 어떠합니까? 재배 방법이 찰옥수수의 성분과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친환경 및 관행 방법으로 재배된 흑진주, 일미 및 연농1호 품종의 일반성분과 항산화활성을 분석하였다. 조회분은 흑진주, 일미 및 연농1호 모두 재배 방법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조지방은 흑진주에서는 친환경 재배가, 일미에서는 관행 재배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조단백질은 흑진주에서는 친환경 재배가, 연농1호에서는 관행 재배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아밀로오스 함량은 친환경 재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유리당은 흑진주에서 친환경 재배가 높았다. 아연 함량은 연농1호의 친환경 재배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지방산은 연농1 호 친환경 재배에서 palmitic acid, stearic acid 및 oleic acid 함량이 높았다. 비타민 E는 일미품종은 친환경, 흑진주와 연농1호는 관행 재배가 높아 품종 간에 차이를 보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 및 전자공여능은 흑진주, 일미 및 연농1호 모두에서 친환경 재배보다 관행 재배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총 항산화력에서는 흑진주 관행 재배가 유의적으로 높았고, 일미에서는 친환경 재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부터 각 품종별로 다른 패턴을 나타내고 있어 일정한 차이를 인정하기 어려우며 따라서 각 품종별 우수한 측정 항목을 평가 하여 친환경 재배에 적합한 품종의 선발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국내 식용 옥수수의 종류는 무엇입니까? 8천 ha('92), 13천 ha('95), 14천 ha('00), 17천 ha('08)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1-3). 국내 식용 옥수수는 단옥수수, 초당옥수수, 튀김옥수수 및 찰옥수수 등이 있으며, 단옥수수와 초당옥수수는 풋옥수수로 수확하여 주로 간식용으로 이용하고 튀김옥수수는 완숙기에 수확하여 팝콘으로 이용한다(4). 그중 찰옥수수는 일반적으로 수분 7.
일반적인 찰옥수수의 성분과 특성은 무엇입니까? 국내 식용 옥수수는 단옥수수, 초당옥수수, 튀김옥수수 및 찰옥수수 등이 있으며, 단옥수수와 초당옥수수는 풋옥수수로 수확하여 주로 간식용으로 이용하고 튀김옥수수는 완숙기에 수확하여 팝콘으로 이용한다(4). 그중 찰옥수수는 일반적으로 수분 7.5%, 단백질 11.5%, 지질 4.6%, 회분 1.7%, 당질 70.8%, 섬유질 3.9%를 함유하고 있으며 85% 이상의 아밀로펙틴을 함유하고 있어 찰성이 높은 특성을 나타낸다(5). 또한 그 용도가 매우 다양하여 풋옥수수 상태의 간식용으로 이용하거나 가공식품으로 이용하고 있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Jung TW, Song SY, Son BY, Kim JT, Baek SB, Kim CK, Kim SI, Kim SJ, Kim SK, Park KJ, Shin HM, Huh CS. 2009. A black waxy hybrid corn, "Heukjinjuchal" with good eating quality. Korean J Breed Sci 41: 599-602. 

  2. Lee HB, Park BY, Ji HC, CHo JW, Kim SH, Mo EK, Lee MR. 2006. Antioxidant activity and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colored waxy corns. Korean J Crop Sci 51: 179-184. 

  3. Kim SL, Choi BH, Park SU, Moon HG. 1996. Functional ingredients of maize and their variation. Korean J Crop Sci 41: 46-68. 

  4. Yun JT, Park SU, Lee SY, Song SH, Moon HG, Kim KH. 1999. Grain filling characteristics of waxy corn hybrids at different planting dates. Korean J Breed Sci 31: 7-13. 

  5. Jung KJ. 2001. Food composition table . 6th ed. National Rural Living Science Institute RDA, Suwon, Korea. p 48-49. 

  6. So SY, Choi DC, Yu CJ. 2005. Analysis of management conditions of waxy corn in chongbuk region. Bulletin Agricultural College, Chongbuk National University 36: 154-164. 

  7. Kim HJ. 2008.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J Food Proc Preserv 52: 37-48. 

  8. Lee GS. 2004. Organic agriculture. Food Preserv Process Ind 3: 1-9. 

  9. Cho SH, Park TH. 2002. Effect of organic fertilizer, microorganism and seaweed extract application on growth of Chinese cabbage. J Kowrec 10: 81-85. 

  10. Jo JA, Kim WS, Choi HS. 2010. Fruit quality, total 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fruit obtained from a sustainably managed vs conventionally managed Asian pear (Pyrus pyrifolia Nakai) orchard. Korean J Food Preserv 17: 169-173. 

  11.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31. 

  12. Juliano BO. 1985. Criteria and tests for rice grain qualities. In Rice Chemistry and Technology.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St. Paul, MN, USA. p 443-524. 

  13. Bae SK, Lee YC, Kim HW. 2001. The browning reaction and inhibition on apple concentrated ju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6-13. 

  14. Garces R, Mancha M. 1993. One-step lipid extraction and fatty acid methyl esters preparation from fresh plant tissues. Anal Biochem 211: 139-143. 

  15. Lee J, Suknar K, Kluvitse Y, Phillips RD, Eitenmiller RR. 1999. Rapid, liquid chromatographic assay of vitamin E and retinyl palmitate in extruded weaning foods. J Food Sci 64: 986-972. 

  16. Dewanto V, Xianzhong W, Liu RH. 2002. Processed sweet corn has higher antioxidant activity. J Agric Food Chem 50: 4959-4964. 

  17.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3. 

  18. Choi Y, Lee SM, Chun J, Lee HB, Lee J. 2006. Influence of heat treatment on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polyphenolic compounds of shiitake (Lentinus edodes) mushroom. Food Chem 99: 381-387. 

  19. Kim HY, Lee KB, Lim HY. 2004. Contents of minerals and vitamins in organic vegetables. Korean J Food Preserv 11: 424-429. 

  20. Jung TW, Moon HG, Cha SW, Kim SL, Kim SK, Son BY. 2001. Comparison of grain quality characteristics in waxy corn hybrids with a white and a black colored pericarp. Korean J Breed 33: 40-44. 

  21. Cha KH, Oh HJ, Park HG, An KN, Jung WJ. 2009. Comparison of growth, yield and quality between organic cultivation and conventional cultivation in rice (Oryza sativa L.) field. Kor J Org Agric 2: 199-208. 

  22. Byun MW, Kang IJ, Kwon JH, Lee SJ, Kim SK. 1995. The improvement of corn starch isolation process by gamma irradi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30-35. 

  23. Seong JH, Park SG, Park EM, Kim HS, Kim DS, Chung HS. 2006. Contents of chemical constituents in organic Korean cabbages. Korean J Food Preserv 13: 655-660. 

  24. Oh WK, Kim SB. 1985. Effect of ammonium nitrate plus potash in comparison with urea plus potash on the yield and content of some mineral nutrient elements of Chinese cabbage. Korean J Soil Sci Fert 18: 407-412. 

  25. Jellum MD, Marion JE. 1966. Factors affecting oil content and oil composition of corn grain. Crop Sci 6: 41-42. 

  26. Seo YH, Kim IJ, Min HG, Lee HI, Park SU. 1999. Fatty acid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y in waxy corn.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415-1420. 

  27. Lee SH, Kim MY, Kim HY, Ko SH, Shin MS. 2010. Comparison of rice properties between rice grown under conventional farming and one grown under eco-friendly farming using hairy vetch.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684-1690. 

  28. Seo YH, Kim IJ, Yie AS, Min HK. 1999. Electron donating ability and contents of phenolic compounds, tocopherols and carotenoids in waxy corn (Zea mays L.).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581-585. 

  29. Ginevra L, Massimo L, Sabina L, Altero A, Marsilio C. 2004. Nutrients and antioxidant molecules in yellow plums (Prunus domestica L.) from conventional and organic productions: A comparative study. J Agric Food Chem 52: 90-94. 

  30. Juroszek P, Lumpkin HM, Yang RY, Ledesma DR, Ma CH. 2009. Fruit quality and bioactive compounds with antioxidant activity of tomatoes grown on-farm: comparison of organic and conventional management systems. J Agric Food Chem 57: 1188-119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