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거울을 이용한 시각적 되먹임 훈련이 편마비 환자의 균형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Visual Feedback Training Using a Mirror on the Balance in Hemiplegic Patients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6 no.2, 2011년, pp.153 - 163  

지상구 (을지대학병원 물리치료실) ,  남기원 (동신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김명권 (영산대학교 보건의료대학 물리치료학과) ,  차현규 (을지대학병원 물리치료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effect of visual feedback training using mirror and the training without mirror on the balance in people with hemiplegic paralysis. Methods: A total of 26 stroke patient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allocated randomly to 2 grou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에게 전신 거울을 이용하여 자신의 자세 및 움직임을 시각적으로 확인하면서 과제를 수행하였을 때 정적 균형능력과 동적 균형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거울을 이용한 시각적 되먹임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전신 거울이 없는 장소에서 운동한 그룹과 전신 거울 앞에서 운동한 그룹 모두 실험 전에 비해 실험 후에 균형 능력이 증가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에 의한 편마비 환자들은 어떠한 어려움을 겪는가? 뇌졸중에 의한 편마비 환자들은 사지를 움직이고 조절하는 것에 대한 문제와 마비된 쪽을 무시하는 신체상(body image)의 결핍 때문에 균형을 유지하는데 어려움을 느끼게 된다(Rode 등, 1997). 균형은 기저면(base of support) 내에서 무게중심을 유지하고, 신체의 이동시 평형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이며, 수의 동작시 자세를 조절하면서 외부 동요(pertubation)에 적절하게 반응하여 자세를 유지하는 과정으로, 복합적인 감각계와 근육계의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진다(Cheng 등, 2001).
뇌졸중에 의한 편마비 환자들은 신체 균형을 이루기 위해 의존 하는 감각은 무엇인가? 균형은 기저면(base of support) 내에서 무게중심을 유지하고, 신체의 이동시 평형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이며, 수의 동작시 자세를 조절하면서 외부 동요(pertubation)에 적절하게 반응하여 자세를 유지하는 과정으로, 복합적인 감각계와 근육계의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진다(Cheng 등, 2001). 특히, 뇌졸중과 같은 신경학적 손상으로 고유감각이 감소하였을 때 시각은 신체 균형을 이루기 위해 많이 의존하는 감각이다(Sackley 등, 1992). Winstein 등(1989)은 시각적 되먹임을 이용하여 편마비 환자 17명을 대상으로 기립 시 균형훈련을 시행한 결과 훈련 전에 마비측 하지의 체중지지 부하율이 28%에서 훈련 후에는 45%로 증가하였다.
균형이란 무엇인가? 뇌졸중에 의한 편마비 환자들은 사지를 움직이고 조절하는 것에 대한 문제와 마비된 쪽을 무시하는 신체상(body image)의 결핍 때문에 균형을 유지하는데 어려움을 느끼게 된다(Rode 등, 1997). 균형은 기저면(base of support) 내에서 무게중심을 유지하고, 신체의 이동시 평형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이며, 수의 동작시 자세를 조절하면서 외부 동요(pertubation)에 적절하게 반응하여 자세를 유지하는 과정으로, 복합적인 감각계와 근육계의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진다(Cheng 등, 2001). 특히, 뇌졸중과 같은 신경학적 손상으로 고유감각이 감소하였을 때 시각은 신체 균형을 이루기 위해 많이 의존하는 감각이다(Sackley 등, 199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백남영. 거울치료가 편마비환자의 하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 청구논문.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09. 

  2. Altschuler EL, Wisdom SB, Stone L et al. Rehabilitation of hemiparesis after stroke with a mirror. Lancet. 1999;353(9169):2035-6. 

  3. Berg KO, Maki BE, Williams JI et al. Clinical and laboratory measures of postural balance in an elderly population. Arch Phy Med Rehabil. 1992;73(11):1073-80. 

  4. Berg KO, Wood-Dauphinee SL, Williams JI et al. Measuring balance in elderly; Preliminary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Physiotherapy(Canada). 1989;41:304-11. 

  5. Bogle Thorbahn LD, Newton RA. Use of the Berg balance test to predict falls in elderly persons. Phys Ther. 1996;76(6):576-83. 

  6. Bohannon RW, Andrews AW, Smith MB. Rehabilitation goals of patients with hemiplegia. Int J Rehabil Res. 1988;11:181-3. 

  7. Bohannon RW, Leavy KM. Standing balance and function over the course of acute rehabilitation. Arch Phys Med Rehabil. 1995;76(11):994-6. 

  8. Cheng PT, Wu SH, Liau MY. Sysmmetrical body weight distribution training in stroke patients and the effect on fall prevention. Arch Phys Med Rehabil. 2001;82(12):1650-4. 

  9. Cole B, Finch E, Gowland C et al. Physical Rehabilitation Outcome Measures. Wiliams & Wilkins. Baltimore. 1994. 

  10. Davies PM. Steps to follows: A guide to the treatment of adult hemiplegia. berlin. springerverlag. 1985. 

  11. Dean CM, Richards CL, Malouin F. Task related circuit training improves performance of locomotor tasks in chronic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trial. Arch Phys Med Rehabil. 2000;81(4):409-17. 

  12. Dechent P, Merboldt KD, Frahm J. Is the human primary motor cortex involved in motor imagery? Brain Research: Cognitive Brain Research. 2004;19:138-44. 

  13. de Haart M, Geurt AC, Huidekoper SC et al. Recovery of standing balance in postacute stroke patients: a rehabilitation cohort study. Arch Phys Med Rehabil. 2004;85(6):886-95. 

  14. De Weerdt WG, Crossley SM, Lincolon NB et al. Restoration of balance in stroke patients. Clin Rehabil. 1989;3:139-47. 

  15. Dobkin BH. Short-distance walking speed and timed walking distance: Redundant measures for clinical trials? Neurology. 2006;66(4):584-6. 

  16. Edwards S. Neurological physiotherapy: a problemsolving approach. new york. churchill livingstone. 1996. 

  17. Ehrsson HH, Spence C, Passingham RE. That`s my hand! activity in premotor cortex reflects feeling of ownership of a limb. 2004;305,5685:875-7. 

  18. Goldie PA, Matyas TA, Evans OM. Maximum voluntary weight bearing by the affected and unaffected legs in standing following stroke. Clin Biomech. 1996;11:333-42. 

  19. Hamman RG, Mekjavic I, Mallinson AI et al. Training effects during repeated therapy sessions of balance training using visual feedback. Arch Phys Med Rehabil. 1992;73(8):738-44 

  20. Hochstenbach J, Donders R, Mulder T et al. Longterm outcome after stroke: A disability-orientated approach. Int J Rehabil Res. 1996;19:189-200. 

  21. Karmakar A, Lieberman I. Mirror box therapy for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Anaesthesia. 2006;61(4):412-3. 

  22. Kenozek TW, LaMott EE. Comparison of plantar pressures between the elder and young adults. Gait Posture. 1995;3(3):143-8. 

  23. Kwakkel G, Peppen R, Wagenaar RC et al. Effects of augmented exercise therapy time after stroke: meta-analysis. Stroke. 2004;35:2529-39. 

  24. Laufer Y, Dickstein R, Resnik S et al. Weightbearing shifts of hemiparetic and healthy adults upon stepping on stairs of various heights. Clin Rehabil. 2000;14(2):125-9. 

  25. Leonard G, Tremblay F. Corticomotor facilitation associated with observation, imagery and imitation of hand actions: a comparatioe studassocyoung and old adults. Experimental Brain Research. 2007;177:167-75. 

  26. Leroux A. Exercise training to improve motor performance in chronic stroke: Effects of a community-based exercise program. Int J Rehabil Res. 2005;28(1):17-23. 

  27. Maeda F, Mazziotta J, Iacoboni M.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studies of the human mirror neuron system. International Congress Series. 2002;1232:889-94. 

  28. Nashner LM, Mccollum G. The Organization of human postural movements: A formal basis and experimental synthesis. Behar Brain Sci. 1985;8(1):135-50. 

  29. Peterka RJ, Black FO. Age-related Changes in human posture control: Sensory organization tests. Journal of Vestibular Research. 1990;1(1):73-85. 

  30. Podsiadlo D, Richardson S. The timed "Up & Go": a test of basic functional mobility for frail elderly persons. J Am Geriatr Soc. 1991;39(2):142-8. 

  31. Ramachnadran VS, Rogers-Ramachandran D. Synaesthesia in phantom limbs induced with mirrors. Proc Biol Sci. 1996;263(1369):377-86. 

  32. Rizzolatti G, Craighero L. The mirror-neuron system. Annual Review of Neuroscience. 2004;27:169-92. 

  33. Rizzolatti G. The mirror neuron system and imitation. In:Hurley S, Chater N(Eds.), Perspectives on imitation: from cognitive neuroscience to social science. Cambridge, MA:MIT Press. 2005;55-77. 

  34. Rode G, Tiliket C, Boisson D. Predominance of postural imbalance in left hemiparetic patients. Scand J Rehabil Med. 1997;29(1):11-6. 

  35. Rosen B, Lundborg G. Training with a mirror in rehabilitation of the hand. Scandinavian Journal of Plastic Reconstructive Surgery and Hand Surgery. 2005;39(2): 104-8. 

  36. Sackley CM, Baguley BI, Gent S et al. The use of balance performance monitor in the treatment of weight bearing and weight transference problems after stroke. Physiotherapy. 1992;78:907-13 

  37. Stevens JA, Stoykov ME. Using motor imagery in the rehabilitaion of hemiparesi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2003;7:1090-2. 

  38. Summers JJ, Kagerer FA, Garry MI et al. Bilateral and unilateral movement training on upper limb fuction in chronic stroke patients: A TMS study. Journal of the Neurological Science. 2007;252:76-82. 

  39. Sutbeyaz S, Yavuzer G, Sezer N et al. Mirror Therapy Enhances Lower-Extremity Motor Recovery and Motor Functioning After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2007;88(5):555-9. 

  40. Vries S, Mulder T. Motor imagery and stroke rehabilitation: a critical discussion. Journal of Rehabilitaion. 2007;39:5-13. 

  41. Woollacott MH, Shumway-Cook A, Nashner LM. Aging and posture control: Changes in sensory organization and muscular coordination. Int Aging Hum Dev. 1986;23(2):97-114. 

  42. Winstein CJ, Gardner ER, McNeal DR et al. Standing balance training: Effect on balance and locomotion in hemiparetic adults. Arch Phys Med Rehabil. 1989;70:755-62. 

  43. Yavuzer G, Selles R, Sezer N et al. Mirror Therapy Improves Hand Function in Subacute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2008;89(3):39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