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빔밥의 조리과정 변화 연구 -근대 이후 조리서를 중심으로-
A Study on Changes of the Cooking Process of $Bibimbab$ in Cook Books Written around 100 Years from Late 19th Century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4 no.4, 2011년, pp.535 - 550  

조미숙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경란 (안산대학교 식품영양학부 호텔조리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nges in the cooking process of $Bibimbab$(cooked rice mixed with various ingredients) appeared in cook books published after Korean modern era, approximately from late 19th century to the present. 7 cook books were chosen to be analyzed. It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식재단에서 제공하는 비빔밥에 대한 정보에서 비빔밥은 무엇이라고 정의하는가? 현재 한국음식세계화 공식기관인 한식재단에서 제공하는 비빔밥에 대한 정보(Korean Food Foundation 2011)에서 비빔밥은 “밥에 갖은 나물과 쇠고기․고명을 올려 약고추장을 넣고 비벼 먹는 음식이다. 비빔밥은 ‘섞어 비빈 밥’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옛날 궁중에서는 ‘골동반(骨董飯)’이라 하여 점심때나 종친이 입궐하였을 때 먹었으며, 일반에서는 섣달그믐날에 먹었다.
비빔밥의 매운맛을 내는 고추장은 언제, 어디서 처음 등장하는가? ”라고 소개하고 있다. 하지만 근대 초기의 조리서에서는 밥과 부재료가 분리되어 제공된 것이 아니라 함께 비벼져서 제공되었고, 매운 맛을 내는 고추장도 그 등장이 1987년에 발간된「한국의 맛(1987)」에서 비로소 등장한다.
비빔밥의 장점은 무엇인가? 이와 같이 비빔밥은 여러 가지 재료를 현지의 재료를 이용해 조합을 하면 무궁무진한 메뉴 창조가 가능하다는 점과 나물 등 신선한 식재료를 이용해 건강한 이미지를 부각시킬 수있다는 점 등이 장점으로 한식세계화를 위한 훌륭한 음식유산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역사적으로 볼 때 비빔밥은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모습과는 차이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Bok HJ. 2007. The literary investigation on types and cooking method of bap (boiled rice) during Joseon dynasty (1400' s-1900's). Korean J Food Culture 22:721-741 

  2. Cho MS, Kim UJ, Cho UK, Jeon SJ, Cho NS, Lee KR. 2008. A cookery scientific research on historic Korean food in historical cook book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3. Choe JS, Park HS. 2009. A case study on storytelling application of native local foods. Korean J Food Culture 24:137-145 

  4. Choi J, Lee JM. 2010. The perception and attitude of food esperts in New York city toward Korean food -Assessed by in-depth interviews of "foodies". Korean J Food Culture 25: 126-133 

  5. Choo JJ, Shin MK, Kwon KS, Yoon GS. 1998. Recipe standardization and nutrient analysis of local foods of Cheollabuk-do province (The first report).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3:630-641 

  6. Choseonilbo. 2011. 지구촌 미식가들 비빔밥에 반하다, reported at 2011.1.25. http://www.chosun.com. 2011.09.11 visited 

  7. Han KS, Pyo SH, Lee EJ, Lee HA. 2008. Standardization of the recipe for the large-scale production of Korean cooked rice varieties-Bibimbab, bean sprout Bab, and fried rice. Korean J Food Cookery Sci 24:580-592 

  8. Han YS, Park JY. 2001. The microbiological and sensorial properties of frozen Bibimbab namul during storage. Korean J Soc Food & Cookery Sci 17:59-65 

  9. Hwang HS. 1976. Hangukyoribaekguasajeon. p.182. Samjungdang. Seoul. 

  10. Joo YH, 2010. A study on evolution and discourse of Bibimbab. Society and History 87:5-38 

  11. Kang IH. 1987. Taste of Korea. p.47. Daehangyoguaseo. Seoul 

  12. Kim US, Yoon HK, Koo SJ. 2004. Electron donating ability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of materials in a traditional onedish meal (Bibimbab).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0:133-139 

  13. Korean Food Foundation. 2011. http://www.hansik.org. 2011. 07.25 visited 

  14. Kye SH, Moon HK, Yum CA, Song TH, Lee SH. 1995. Standardization of the preparation methods of Korean foods(III)- For the focus on Pibimbab(mixed rice)-. Korean J Soc Food Sci 11:557-564 

  15. Kye SH. 1995. 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s of one-dish meal prepared at Korean restaurants: Naeng-Myeun (cold noodles) and Pi-bimbab(mixed rice). Korean J Dietary Culture 10:167-174 

  16. Lee KR. 2009. A study on changes in the cooking process of red beans used to prepare Bab in cooking books written during last 100 years. Korean J Food & Nutr 22:678-686 

  17. Min KH. 2004. A study on the constitutioinal factors of the images of eating house-targeting the Bibimbab-specialty eating house located in Jeonju city-.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0:82-95 

  18. Naver encyclopedia. 2011. http://100.naver.com. 2011.09.15 visited 

  19. Newstomato. CJ푸드빌 '비비고', 비빔밥으로 중국을 사로잡다! reported at 2011.4.25. http://news.etomato.com. 2011.07.24 visited 

  20. Park MR, Kim YA, Yoon KS, Feng Liu F, Byun GI. 2009. A research on college students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Korean food in Shenyang regioin of China - Focused on Bibimbap-.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5: 169-180 

  21.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2011. http://www. korean.go.kr/09_new/. 2011.07.25 visited 

  22. Yoon SS, Kim MK, Han KS. 1987. A report on Koren food items I - Bab, Jouk, Mieum, Tokkuk, Sujebi. Korean J Dietary Culture 2:93-102 

  23. 방신영. 1917. 조선요리제법. 한국고문헌집성. 수학사. 서울, 1992 

  24. 방신영. 1957. 우리나라 음식 만드는 법. 한국고문헌집성. 수학사. 서울, 1992 

  25. 빙허각 이씨. 1915. 부인필지. 한국고문헌집성. 수학사. 서울, 1992 

  26. 이석만. 1934. 간편조선요리제법. 한국고문헌집성(V). 수학사. 서울, 1942, 1992 

  27. 이석만. 1935. 신영양요리법. 한국고문헌집성(V). 수학사. 서울, 1992 

  28. 이용기. 1930.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 한국고문헌집성(V). 수학사. 서울, 1732, 1992 

  29. 저자미상. 1800년대 말. 시의전서. 한국고문헌집성(IV). 수학사. 서울, 1473, 1992 

  30. 조자호. 1943. 조선요리법. 한국고문헌집성(VI). 수학사. 서울, 2288, 1992 

  31. 한희순, 황혜성, 이혜경. 1957. 이조궁정요리통고. 한국고문헌집성. 수학사. 서울, 199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