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항만관리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우리나라 항만공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Port Administration System: Focused on the Port Authority of Korea 원문보기

水産海洋敎育硏究 =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v.23 no.3 = no.53, 2011년, pp.503 - 514  

백인흠 (부산해사고등학교) ,  황석준 (동아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ort Authority in Korea does not have financial independence nor fair recruitment practices, thus the prospects of the establishment of the Port Authority is not adequate. Therefore independent and effective port administration cannot be achieved. To overcome this situation, this paper examines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협의의 항만관리(port adminstration)는 항만시설의 건설·시설의 유지 보수·항만 시설의 합리적 이용을 위한 교통기관 및 수송대상 등 물류에 관한 조정 및 서비스 제공 등의 항만 운영(port operation)을 말한다. 그리고 광의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한 모든 활동, 즉 항만시설을 개발하고 효율적인 지원을 통해 사회․경제적 발전에 기여하는 모든 활동을 말한다. 항만관리의 주요 업무는 항만의 공용, 항만의 보전, 항만 질서의 유지, 항만 이용의 증진 등이다(문성혁, 2003).
  • 이 연구는 항만관리제도의 일반적 형태, 외국 주요항만에서 채택하고 있는 항만관리주체의 유형과 특징을 파악하고 우리나라 항만관리의 변천과 항만관리의 문제점을 제시한다. 그리고 우리나라 항만공사의 도입 취지를 반영할 수 있는 항만관리주체를 선정하여 우리나라 항만관리제도 개선에 기여하고자 한다.
  • 이 연구는 항만관리제도의 일반적 형태, 외국 주요항만에서 채택하고 있는 항만관리주체의 유형과 특징을 파악하고 우리나라 항만관리의 변천과 항만관리의 문제점을 제시한다. 그리고 우리나라 항만공사의 도입 취지를 반영할 수 있는 항만관리주체를 선정하여 우리나라 항만관리제도 개선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앙정부에 의한 항만관리는 경직성과 상업성의 결여로 급변하는 글로벌 물류 환경과 수요자 요구에 신속히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입된 것은? 또한 중앙정부에 의한 항만관리는 항만이 국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큰 상황에서 소수 주요 항만에 집중 투자하는 유리한 면이 있으나 항만관리의 경직성과 상업성의 결여로 급변하는 글로벌 물류 환경과 수요자 요구에 신속히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항만관리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중앙정부는 항만공사제도를 도입하게 되었다.
항만시설의 부족현상으로 심화되는 것은? 2011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경제 규모가 세계 10위임에도 불구하고 항만시설의 부족현상으로 체선․체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그동안 중앙정부가 항만개발과 관리 및 운영을 일원적으로 수행함에 따라 항만별로 지역 특성에 맞는 계획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경직된 항만관리와 지방정부와의 협조 부족이라는 지적을 받아왔다.
항만별로 지역 특성에 맞는 계획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경직된 항만관리와 지방정부와의 협조 부족이라는 지적을 받아온 이유는? 2011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경제 규모가 세계 10위임에도 불구하고 항만시설의 부족현상으로 체선․체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그동안 중앙정부가 항만개발과 관리 및 운영을 일원적으로 수행함에 따라 항만별로 지역 특성에 맞는 계획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경직된 항만관리와 지방정부와의 협조 부족이라는 지적을 받아왔다. 또한 중앙정부에 의한 항만관리는 항만이 국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큰 상황에서 소수 주요 항만에 집중 투자하는 유리한 면이 있으나 항만관리의 경직성과 상업성의 결여로 급변하는 글로벌 물류 환경과 수요자 요구에 신속히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강윤호(2009). 공기업 거버넌스 제도와 대리인 문제: 뉴욕.뉴저지 항만공사를 중심으로, 한국항해항만학회지 33(10), 743-756. 

  2. 김도헌.곽규석(1998). 항만의 관리운영 개선에 관한 연구: 부산항을 중심으로, 한국항만학회, 287-305. 

  3. 김성국(2003). AHP를 이용한 부산신항의 항만관리의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 27(1), 1-6. 

  4. 김세원 외(2011). 경인항 인천컨테이너터미널의 최적 부두길이 산정에 관한 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23(2), 210-220. 

  5. 김형태(1993). 부두운영 효율화 방안, 해운산업연구원, 73. 

  6. 문성혁(2006). 현대항만관리론, 다솜출판사, 174. 

  7. 박경희(2001). 우리나라 항만관리의 오소리티 제도로의 전환에 관한 연구, 한국항해학회지 25(3), 297-308. 

  8. 박정천(2006). 항만관리법제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9. 백인흠(2009). SWOT/AHP를 이용한 울산항의 전략적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21(2), 325-334. 

  10. 부산항만공사(2006). 부산항만공사 설립백서. 

  11. 이철영(1991). 우리나라 항만관리제도의 개선방안에 대하여, 한국항만학회지 5(2), 11-18. 

  12. 임문택(2001). 최신 국제물류개론, 포탑출판사, 168-170. 

  13. 장우식(2004). 지방정부의 항만개발 참여 및 관리 능력향상방안에 관한 연구, 순천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4. 최도석(2008). 정부 항만개발.관리운영의 지방이양 당위성. 

  15. 최재수(1994). 지방화 시대와 항만관리권의 조정, 한국해운회지 제19호. 426-427. 

  16. 최재수.박경희(2000). 주요국의 항만관리제도와 우리나라 항만관리제도의 개선 방향, 한국항해학회지 24(3). 195-211. 

  17. 하창승 외(2009). DHP를 이용한 부산신항 배후부지 물류업종 선정, 수산해양교육연구 21(1), 96-105. 

  18. 한국행정연구원.한국해양수산개발원(2000). 항만공사제 도입방안 연구, 해양수산부. 

  19. 황석준.신한원(2011).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사의 내부마케팅이 조직구성원의 태도와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23(2), 319-332. 

  20. Frankel, Emst G.(1986). Port Planning and Development, New York: John Wiley & Sons, 543-54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