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관생도들의 혈액성분 및 신체조성 변화 연구
Studies on Changes of Blood Components and Body Composition in the Cadets 원문보기

韓國軍事科學技術學會誌 = Journal of the KIMST, v.14 no.1, 2011년, pp.139 - 146  

김동수 (공군사관학교 기초과학과) ,  정연수 (공군사관학교 기초과학과) ,  김근수 (공군사관학교 체육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physical and physiological changes of normal young adults, who are cadets of the Air Force Academy, have kept long-term physical activities and healthy behavior. The physical and physiological indices were the blood and body composition. Data were collected at the first yea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운동량이 신체조성이나 생리적 변화를 유발하기보다는 오히려 근력(Strength)이나 힘 출력(Power Output)과 직접적인 상관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27]. 본 연구는 일상생활을 모방하는 수준에서 활발한 신체단련과 건강생활 습관이 지속적으로 유지되어 습관화되었을 때 일정 수준의 체력을 유지하게 하는 신체생리적 특성 또는 변화를 동반하는지 규명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건강생활과 체력증진이 신체생리적 변화에 의해서 체득 되는지를 규명하기 위해 혈액성분과 신체조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들 생리적 지표들은 체력연마에 의한 신체 변화 뿐 아니라 생활습관에 의한 신체 변화가 반영된 지표들이기 때문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운동부하 훈련에서 체중의 변화를 수반할 경우 생리적 변화를 경험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과체중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운동요법 프로그램이나 운동선수에 대한 단기간의 고강도 운동부하가 신체적 조건을 변화시키고 체력을 향상시키는 것은 자명해 보인다[8,21,24,25]. 체중의 변화를 수반할 경우 신체조성이 변하게 되고 근육이 발달하면서 혈액순환도 개선되므로 생리적 변화를 경험하게 된다. 높은 고도에서의 지구력 훈련이나 고강도의 운동부하 훈련은 운동선수들의 혈액부피를 증가시키고 헤모글로빈 농도를 증가시키는 생리적 변화를 수반하였다[18,26].
일상생활을 모방한 신체훈련이나 운동처방이 신체조성이나 생리적 변화로 나타나기 어려웠던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일상생활을 모방한 신체훈련이나 운동처방이 신체조성이나 생리적 변화로 나타나기는 쉽지 않았다. 운동량이 신체조성이나 생리적 변화를 유발하기보다는 오히려 근력(Strength)이나 힘 출력(Power Output) 과 직접적인 상관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27]. 본 연구는 일상생활을 모방하는 수준에서 활발한 신체단련과 건강생활 습관이 지속적으로 유지되어 습관화되 었을 때 일정 수준의 체력을 유지하게 하는 신체생리적 특성 또는 변화를 동반하는지 규명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높은 고도에서의 지구력 훈련이나 고강도의 운동부하 훈련은 어떤 생리적 변화를 가져왔나? 체중의 변화를 수반할 경우 신체조성이 변하게 되고 근육이 발달하면서 혈액순환도 개선되므로 생리적 변화를 경험하게 된다. 높은 고도에서의 지구력 훈련이나 고강도의 운동부하 훈련은 운동선수들의 혈액부피를 증가시키고 헤모글로빈 농도를 증가시키는 생리적 변화를 수반하였다[18,26]. 한편 장기간에 걸친 운동이나 신체활동에 의한 신체생리적 변화는 엘리트 운동선수의 신체생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로 확인할 수 있었다[29,3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공군사관학교, "미간행 교육계획서", 공군사관학교, 2009. 

  2. 공군사관학교, "미간행 졸업생 추수평가 결과보고서", 공군사관학교, 2008. 

  3. 구명수, 최진, "공군사관생도들의 체력발달과 자기인식 변화에 관한 연구", 공사논문집, 57(2), 355-371, 2006. 

  4. 김경희, "대학신입생과 재학생 식습관과 생활습관실천에 관한 연구",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9(6),620-629, 2004. 

  5. 김동수, 정연수, 박세권, "스트레스 호르몬인 타액코티졸과 자기보고식 스트레스 척도 점수 사이의관계", 한국심리학회지 : 건강, 9(3), 633-645, 2004. 

  6. 대한혈액학회, 혈액학, 이퍼블릭, 서울, 2006. 

  7. 박세권, 김동수, "생활스트레스에 대한 인간의 생리적 반응과 스트레스 호르몬인 타액 코티졸 사이의 관계", 대한인간공학회지 26(1), 11-18, 2007. 

  8. 변재철, 우혜영, "장기간 복합운동 트레이닝이 비만 및 정상체중 남성의 신체조성, 혈중지질, 혈중염증지표 및 그렐린 농도에 미치는 영향", 체육과학연구, 20(3), 455-465, 2009. 

  9. 안정현, "공군사관생도 신체구성 및 체력변화에관한 연구", 공사논문집, 54, 421-452, 2004. 

  10. 오정윤, "사관생도들의 체력변화에 대한 연구",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원, 1974. 

  11. 전제아, "한국 대학에서의 인성교육과정 사례 분석 : 서울소재 4개 대학교를 중심으로", 인간연구9, 5-31, 2005. 

  12. 한영실, 주나미, "청소년 비만에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0(2), 172-185, 2005. 

  13. Arthur, J., "The Re-emergence of Character Education in British Education Policy",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53, 239-254, 2005. 

  14. Dehn, M. M., Bruce, R. A., "Longitudinal Variations in Maximal Oxygen Intake, with Age and Activity",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33(6), 805-807, 1972. 

  15. Delehanty, J. M., Liang, C., "Metabolic Control of the Circulation : Implications for Congestive Heart Failure", Progress in Cardiovascular Diseases, 38, 51-66, 1995. 

  16. den Hoed, M., Westerterp, K. R., "Body Composition is Associated with Physical Activity in Daily Life as Measured using a Triaxial Accelerometer in Both Men and Women", Int J Obes(Lond), 32(8), 1264-1270, 2008. 

  17. Elias, L. J., Bryden, M. P., Bulman-Fleming, M. B., "Footedness is a Better Predictor Than is Handedness of Emotional Lateralization", Neuropsychologia, 36(1), 37-43, 1998. 

  18. El-Sayed, M. S., Ali, N., El-Sayed, Ali. Z., "Haemorheology in Exercise and Training", Sports Medicine, 35(8), 649-670, 2005. 

  19. Fischbach F. T., The Manual of Laboratory and Diagnostic Tests, Lippinott Williams & Wilkins, Philadelphia, USA, 1992. 

  20. Hanson, E. D., Srivatsan, S. R., Agrawalm, S., Menon, K. S., Delmonico, M. J., Wang, M. Q., Hurley, B. F., "Effects of Strength Training on Physical Function: Influence of Power, Strength, and Body Composition", J Strength Cond Res., [Epub Ahead of Print], 2009. 

  21. Kang, Y., Harris, L. J., "Handedness and Footedness in Korean College Students", Brain Cognition, 43(1-3), 268-274, 2000. 

  22. Kirchengast, S., Marosi, A., "Gender Differences in Body Composition, Physical Activity, Eating Behavior and Body Image Among Normal Weight Adolescents--an Evolutionary Approach", Coll Antropol, 32(4), 1079-1086, 2009. 

  23. Lieberman, H. R., Kellogg, M. D., Bathalon, G. P., "Female Marine Recruit Training : Mood, Body Composition, and Biochemical Changes", Med Sci Sports Exerc, 40(11 Suppl), S671-S676, 2008. 

  24. Malavolti, M., Battistini, N. C., Dugoni, M., Bagni, B., Bagni, I., Pietrobelli, A., "Effect of Intense Military Training on Body Composition", J Strength Cond Res, 22(2), 503-508, 2008. 

  25. Nogueira, J. A., Macedo da Costa, T. H., "Gender Differences in Physical Activity, Sedentary Behavior, and Their Relation to Body Composition in Active Brazilian Adolescents", J Phys Act Health, 6(1), 93 -98, 2009. 

  26. Rusko, H. K., Tikkanen, H. O., Peltonen, J. E., "Altitude and Endurance Training", J Sports Sci, 10, 928-944, 2004. 

  27. Sartorio, A., Maffiuletti, N. A., Agosti, F., Lafortuna, C. L., "Gender-related Changes in Body Composition, Muscle Strength and Power Output After a Short-term Multidisciplinary Weight Loss Intervention in Morbid Obesity", J Endocrinol Invest, 28(6), 494-501, 2005. 

  28. Schmidt, W., Heinicke, K., Rojas, J., Manuel Gomez, J., Serrato, M., Mora, M., Wolfarth, B., Schmid, A., Keul, J., "Blood Volume and Hemoglobin Mass in Endurance Athletes from Moderate Altitude", Medical Science Sports Exercise, 34(12), 1934-1940, 2002. 

  29. Schmidt, W., Prommer, N., "Effects of Various Training Modalities on Blood Volume", Scand J Med Sci Sports, 18(Suppl 1), 57-69, 2008. 

  30. Shaskey, D. J., Green, G. A., "Sports Haematology", Sports Medcine, 29(1), 27-38, 2000. 

  31. Siebner, H. R., Limmer, C., Peinemann, A., Drzezga, A., Bloem, B. R., Schwaiger, M., Conrad, B., "Long-term Consequences of Switching Handedness", J Neuroscience, 22(7), 2816-2825,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