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Recently interest of fermented herb medicine has increased in Oriental medicine. Herb medicine fermented in a proper condition resultingly has better or new virtue by microbe.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herbal decoction and fermented herbal deco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24시간 동안 배양한 뒤, 세포 상층액 따서 96-well plate에 loading하였다. 100 ㎕의 그리스 시약을 첨가하고, 그 혼합물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흡광도는 스펙트로 포토메터 (MD, U.
  • 5g/㎏, 1 g/㎏로 경구투여 하였다. 5일째 되는 날 경구 투여 후, LPS를 복강 투여하였다. 3시간 후에 마우스로부터 혈액을 채취하였다.
  • Pro-inflammatory cytokine의 염증매개물질의 생성에 미치는 약물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LPS (500 ng/㎖)로 자극한 후 24시간 뒤 이들 염증매개물을 세포 상층액에서 ELISA법으로 정량하였다. ELISA는 BD pharmingen (USA)에서 Mouse ELISA kit for IL-1beta, IL-6, TNF-alpha를 구입하여 시행하였다.
  • HHT and FHHT were administered to rats at an oral dose of 0.1, 0.5 1.0 g/㎏/day for 5 days. On the 5th day, LPS was injected after oral administration.
  • HHT 및 FHHT의 세포독성에 관해 알아보기 위하여 RAW 264.7cell에서 HHT와 FHHT를 농도 의존적으로 처리하여 24시간 후에 MTT assay로 세포의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HHT처리군에서는 0.
  • HHT 및 FHHT의 항염효과에 대한 조사를 위해 먼저 RAW 264.7cell에서 LPS에 의한 NO생성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HHT와 FHHT를 다양한 농도로 전 처리하고, LPS로 처리한 후, 24시간 후에 세포 상층액에서 NO의 생성을 측정하였다.
  • 7cell에서 LPS에 의한 NO생성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HHT와 FHHT를 다양한 농도로 전 처리하고, LPS로 처리한 후, 24시간 후에 세포 상층액에서 NO의 생성을 측정하였다. LPS로 자극한 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모두 NO 증가가 나타났다.
  • LPS (500ng/㎖)로 RAW 264.7 cell을 자극하기 전 HHT 및 FHHT 추출물을 1시간동안 전 처리하였다. Pro-inflammatory cytokine의 염증매개물질의 생성에 미치는 약물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LPS (500 ng/㎖)로 자극한 후 24시간 뒤 이들 염증매개물을 세포 상층액에서 ELISA법으로 정량하였다.
  • 간단히 설명하면 지수성장을 하는 세포들은 RPMI-1640배지에서 2 × 105 의 밀도로 현탁하였고, 여러 가지 농도로 HHT 및 FHHT을 처리하였다.
  • 마우스에 HHT와 FHHT를 5일간 0.1 g/㎏, 0.5g/㎏, 1 g/㎏로 경구투여 하였다. 5일째 되는 날 경구 투여 후, LPS를 복강 투여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황련해독탕 및 발효황련해독탕의 항염증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NO생성 억제효과 및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으로 알려진 IL-1β, TNF-α, IL-6 생성 억제 정도를 단백질, mRNA 수준에서 측정, 비교하였으며 마우스에서 serum level을 측정하였다.
  • A)에서 540 ㎚의 파장으로 측정하였다. 일산화질소의 농도는 아질산염의 표준 커브로부터 계산하였다.
  • 저자는 황련해독탕(HHT)과 발효한 황련해독탕 (FHHT)의 항염증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마우스 대식세포주인 RAW 264.7 cell에서 LPS의 자극에 따른 NO와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TNF-α,IL-1β, IL-6)의 발현에 대한 실험 및 마우스의 복강에 LPS 투여에 따른 마우스 serum cytokine (TNF-α,IL-1β, IL-6) level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황련해독탕은 항염증, 항알레르기 효과가 알려져 있는 처방으로 임상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방제로, 저자는 황련해독탕과 발효한 황련해독탕의 항염증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마우스 대식세포주인 RAW 264.7 cell에서 LPS의 자극에 따른 NO와 전염증성 사이토카인(IL-1β, TNF-α, IL-6)의 발현에 대한 실험 및 마우스의 복강 내 LPS 투여에 따른 마우스 serum cytokine (IL-1β, IL-6, TNF-α) level 조사를 수행하였다.

대상 데이터

  • Fetal bovine serum (FBS), RPMI-1640, penicillin-streptomycin등의 세포 배양용 시약들은 Gibco BRL(Grand Island, USA)사에서 배양조는 Corning(Rochester,USA)사에서 구입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시약 중 chloroform, Tri-zol, sodium dodesyl sulfate(SDS), acrylamide, bisacrylamide, LPS, Tris-HCl 등은 SIGMA(St.
  • Fetal bovine serum (FBS), RPMI-1640, penicillin-streptomycin등의 세포 배양용 시약들은 Gibco BRL(Grand Island, USA)사에서 배양조는 Corning(Rochester,USA)사에서 구입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시약 중 chloroform, Tri-zol, sodium dodesyl sulfate(SDS), acrylamide, bisacrylamide, LPS, Tris-HCl 등은 SIGMA(St. Louis,USA)사에서 구입하였으며, 실험에 사용된 항체인 anti-phospho-ERK1/2, anti-phospho -p38, anti-Ik-Ba, anti-phospho-JNK는 Cell signaling사에서 구입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모든 시약은 분석용 등급이상으로 사용하였다.
  • 청원발효한약연구소에 의뢰하여 UBO복합균주를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 황련해독탕(HHT)에 사용되는 한약재는 동성약업사에서 황련, 황금, 황백, 치자를 구입하여 사용하였다.<방약합편>의 용량을 근거로 黃連解毒湯 1첩을 아래 Table 1과 같이 제조하였다(Table 1).

데이터처리

  • 모든 실험 결과는 3회 이상 실시하여 그 평균값을 기초로 Mean±S.D. 로 나타나었으며, 실험결과에 대한 통계처리는 One way ANOVA 였고 p-value가 0.05 미만일 경우 유의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이론/모형

  • The cells were treated with HHT and FHHT water extract as indicated concentration for 1h, and then incubated with or without 500 ng/㎖ LPS for 24 h. NO release was measured by the method of Griess.*P ⟨ 0.
  • 7 cell을 자극하기 전 HHT 및 FHHT 추출물을 1시간동안 전 처리하였다. Pro-inflammatory cytokine의 염증매개물질의 생성에 미치는 약물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LPS (500 ng/㎖)로 자극한 후 24시간 뒤 이들 염증매개물을 세포 상층액에서 ELISA법으로 정량하였다. ELISA는 BD pharmingen (USA)에서 Mouse ELISA kit for IL-1beta, IL-6, TNF-alpha를 구입하여 시행하였다.
  • RAW 264.7 cell의 생존율은 밀집세포의 미토콘드리아 탈수소 효소에 의해 자줏빛 formazan 생성물로 변하는 MTT환원을 바탕으로 MTT분석법으로 측정했다. 간단히 설명하면 지수성장을 하는 세포들은 RPMI-1640배지에서 2 × 105 의 밀도로 현탁하였고, 여러 가지 농도로 HHT 및 FHHT을 처리하였다.
  • 그리고 침전물에 DEPC 처리한 증류수를 15 ㎕ 씩 넣어 RNA를 용해시키고 정량한다. 추출한 RNA는 reverse transcriptase PCR 의 protocol을 사용하여 cDNA로 합성하였다. 간단히 기술하자면 역전사 반응을 위하여 total RNA (1 ㎎) 에 0.
  • 3시간 후에 마우스로부터 혈액을 채취하였다. 혈액에서의 염증성 인자 발현은 ELISA법으로 정량하였다. ELISA는 BD pharmingen (USA)에서 Mouse ELISA kit for IL-1beta, IL-6, TNF-alpha를 구입하여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黃連解毒湯에 관한 연구는 무엇이 있는가? 황련해독탕에 관한 연구로는 혈압강하작용18), 해독작용19), 신경세포 보호효과20), 저산소증에 대한 심근세포 보호효과21),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22), 스트레스로 인한 우울증 예방효과23), 중성지질 축적 억제효과24) 등이 있다. 또한 접촉성 피부염25), 알레르기 천식26), 궤양성 대장염27), 아토피 피부염28)과 관련하여 항염증효과29), 항알레르기 효과가 알려져 있다. 특히 김30)은 황련해독탕 물 추출물의 항염증효과에 대한 연구를 발표하였다.
발효 한약이란 무엇인가? 발효 한약이란 한약을 적당한 조건에서 발효시켜 원래의 性과 효능이 효소 등 미생물에 의해 변화되어 증강되거나 새로운 효능이 생겨 임상에서 변증론으로 다스릴 때 치료에 사용되는 한약을 말한다2).
발효가 이용된 분야는 무엇인가? 대사경로들은 혐기적 대사인 발효(fermentation)와 호기적 대사인 호흡(respiration)의 두 그룹으로 나뉘어 진다1). 발효는 넓은 뜻으로는 미생물에 의한 유용한 물질생산으로 볼 수 있는데, 이 현상은 예로부터 알코올음료, 빵 그 밖의 소위 양조제품 제조에 이용되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허윤행, 송리라, 김재근, 강병태, 박인숙, 이응수. 식품미생물학. 경기도:지구문화사. 2004:297. 

  2. 김기영, 송호준. 한약포제학. 서울:신일상사. 2002:547, 553-5. 

  3. 김용미. 발효한약의 연구동향 연구. 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9. 

  4. 정동원. 人蔘, 紅蔘 및 발효紅蔘이 정상인의 뇌혈류 평균혈압 맥박수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6. 

  5. 제지혜. 발효 홍삼의 항당뇨 및 산화 스트레스 개선효과.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7. 

  6. 박경호. 白芷와 발효白芷의 성분 및 항염활성비교.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07. 

  7. 김동현, 한상범, 박주석, 한명주. 녹용발효와 생리활성. 생약학회지. 1994;98(9):25-6. 

  8. 배명숙. 울금(Curcuma longa L.) 발효액의 항산화 및 항균효과.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8. 

  9. 김철희, 권민철, 김효성, 안주희, 최근표, 최영범, 고정림, 이현용. 오미자의 전통발효에 의한 면역활성 증진. 韓國藥用作物學會誌. 2007;15 (3):162-9. 

  10. 윤철상. 陳皮의 효모 발효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7. 

  11. 서영국. 어성초즙 발효제품의 항산화 및 항알레르기 활성. 순천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5. 

  12. 김난영. 물추출 발효 대황과 에탄올추출 발효대황의 항염증 효과에 관한 비교. 원광대학교대학원. 박사논문. 2010. 

  13. 이상봉. 발효 방풍통성산(防風通聖散)의 생리활 성에 관한 연구. 부경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10. 

  14. 강동희. Lactobacillus 균주로 발효시킨 한약의 기능성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9. 

  15. 정현철. 미생물 발효처리 방법에 따른 가미온청 음의 항염증 효능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9. 

  16. 葛洪. ?後備急方. 上海:人民衛生出版社. 1996: 34-3. 

  17. 방제학교수. 방제학. 서울:영림사. 1999:180. 

  18. 국윤범. 황련해독탕(黃連解毒湯)이 자발적(自發的) 고혈압(高血壓) 백서(白鼠)의 혈압(血壓) 신장(腎臟) 기능(機能)에 미치는 영향(影響).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2002;10(1):113-29. 

  19. 金承模. 黃蓮解毒湯이 斑猫의 독성에 미치는 영향. 경산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2. 

  20. 공민정, 하니나, 이하영, 김용태, 노승주, 김호철. 황련해독탕(黃連解毒湯)과 및 가미방의 인지기능회복에 대한 연구. 大韓本草學會誌. 2004;19 (4):161-8. 

  21. 정재은. 黃連解毒湯이 저산소증에 의한 培養心筋細胞枯死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4. 

  22. 성현경. 黃連解毒湯이 數種의 人間 癌細胞 增殖에 미치는 影響.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10. 

  23. 홍성원, 김종우, 김은주, 김현주, 김현택, 황의완. 황련해독탕(黃連解毒湯)이 우울증(憂鬱症) 모형동물(模型動物)의 수중미로학습(水中迷路學習)과 뇌(腦)의 Tyrosine Hydroxylase 발현(發顯)수준(水準)에 미치는 효과(效果).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3;14(1):27-44. 

  24. 차재영. 실험적 중성지질 축적 HepG2세포에 미치는 황련해독탕의 약리적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003;32(4):586-90. 

  25. 이정현. 接觸性 皮膚炎에서 黃連, 黃蓮解毒湯,金銀花가 림프구 活性에 미치는 影響.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00. 

  26. Choi Jong-Min, Kim Hee-Taek. 사람 기관지상피 A549 세포에서 TNF-와 IL-4 자극 TARC,eotaxin, RANTES에 미치는 황련해독탕의 영향.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6;20(6):1649-53. 

  27. 안종환. 황련해독탕이 DSS로 유발된 흰쥐의 궤양성 대장염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06. 

  28. 김보애. 황련해독탕이 NC/Nga Mice에서 유발된 아토피 피부염에 미치는 영향. 대한본초학회지. 2008;23(2):59-65. 

  29. 박수현. 黃連解毒湯과 乾薑附子湯이 Lipopolysaccharide의 뇌실 주입으로 유발된 생쥐의 혈중 IL-6와 TNF-a 변화에 미치는 영향. 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7. 

  30. 김대희. 黃連解毒湯 물추출물의 항염증효과.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09. 

  31. 김호철. 한약리학. 서울:집문당. 2001:130-2, 134-5, 138-9. 

  32. 이중근. 황금의 진통 및 항염증효과에 대한 연구. 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8. 

  33. 윤광로. 황련의 항염증효과. 상지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9. 

  34. 장종화. 黃柏 물 추출물의 항염효능에 관한 연구. 경원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10. 

  35. 고광묵. 치자 엑스의 가수분해에 의한 피부투과 및 항염효과. 우석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02. 

  36. 박영민. Anti-inflammatory Effects of Crocin,a Major Component of Chunghyul-dan,and Its Metabolite Crocetin in Rat Brain Microglial Cells.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10. 

  37. 권종훈. 梔子抽出物이 DNCB로 誘導된 생쥐의 Allergy性 接觸皮膚炎에 미치는 影響.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1998. 

  38. Kim, Hyun-Sung Kim, Jin-Yong Park, Myeong-Soo Zheng, Hua Ji, Geun-Eog. Cloning and Expression of $\beta$ -Glucuronidase from Lactobacillus brevis in E. coli and Application in Bioconversion of Baicalin and Wogonoside.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2009;19(12):1650-5. 

  39. Murphy MP. Nitric oxide and cell death. Biochim Biophys Acta. 1999;1411(2-3):401-14. 

  40. Kobayashi Y. The regulatory role of nitric oxide in proinflammatory cytokine expression during the induction and resolution of inflammation. J Leukoc Biol.. 2010. (Epub ahead of print). 

  41. Abul K. Abas. 세포분자면역학. 서울:범문사. 2004:27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