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황련해독탕(黃連解毒湯)의 아토피 피부염 개선 효과(效果)
Ameliorative Effects of Hwangnyeonhaedok-tang on Atopic Dermatitis 원문보기

大韓韓醫學方劑學會誌 = Herbal formula science, v.21 no.1, 2013년, pp.80 - 90  

기호필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방제학교실) ,  장선일 (전주대학교 보건관리학과) ,  윤용갑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방제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water extract of Hwangnyeonhaedok-tang (HHT), composed of the Scutellariae Radix, Coptidis Rhizoma, Phellodendri Cortex and Gardeniae Fructus has been traditionally used to treat fever, inflammation, gastritis and hypertension in east asia.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ameli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ICR (7주령) 마우스를 대상으로 黃連解毒湯 추출물이 compound 48/80과 히스타민으로 유발한 가려움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Fig.
  • 따라서 본 연구는 黃連解毒湯을 대상으로 활성화된 렛트 복강 비만세포(rat peritoneal mast cells, RPMCs)에서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IL-1β와 히스타민(histamine) 조절에 대한 黃連解毒湯의 가려움증 완화에 대한 효과를 조사하였으며, 2,4-dinitrofluorobenzene (DNFB) 유도 아토피 피부염 유사모델 마우스에서 귀 부종과 피부염 완화 및 IgE와 IL-4의 생성 억제에 대한 실험을 통하여 黃連解毒湯이 아토피 피부염 개선에 유의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黃芩, 黃連, 黃柏, 梔子등으로 구성된 黃連解毒湯이 PMA와 A23187로 활성화된 RPMCs의 전 염증성사이토카인과 희스타민 억제, 가려움 유발물질로 유도된 마우스의 가려움증 완화 및 DNFB로 유도된 아토피 피부염 유사 마우스 모델에서 아토피 피부염 증상 개선 효과에 대한 결과는? 1) 黃連解毒湯은 PMA와 A23187로 활성화된 RPMCs에서 TNF-α와 IL-1β의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2) 黃連解毒湯은 compound 48/80으로 자극된 RPMCs에서 히스타민의 방출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3) 黃連解毒湯은 compound 48/80과 히스타민에 의해 유도된 가렴움증을 농도 의존적으로 완화시켰다. 4) 黃連解毒湯은 DNFB로 유도된 아토피 피부염 유사모델에서 귀 부종, 피부두께, 피부병변, 염증성 백혈구 침윤 및 혈청의 IL-4와 IgE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는 효과가 있었다.
黃連解毒湯이란? 黃連解毒湯은 外臺秘要의 崔氏方에 처음 수록된 方劑로 黃連(Coptidis Rhizoma), 黃芩(Scutellariae Radix), 黃柏(Phellodendri Cortex), 梔子(Gardeniae Fructus)로 구성되어 있으며1) , 淸熱瀉火解毒 하는 효능이 있어2-5) , 實熱, 煩燥, 火毒, 大熱, 膿瘍, 疔毒, 發斑, 口燥, 咽乾, 不眠, 吐血, 衄血, 身熱下痢, 黃疸, 小便赤澁 등의 症狀에 널리 사용되어왔다1-5) .
아토피 피부염은 어떻게 구분하고 있는가? 아토피 피부염은 IgE 매개 감작(IgE-mediated sensitization)에 의한 외인성 형태(extrinsic form, 70-80%)와 비 IgE 매개 감작(non-IgE-mediated sensitization)에 의한 내인성 형태(intrinsic form, 20-30%) 두 가지로 구분하고 있으며8-11) , 아토피 피부염의 임상적 특징은 심한 가려움으로 인한 피부 장벽의 붕괴, 염증, 혈청 내 IgE의 증가, 염증 부위에 호산구(eosinophil)의 침윤 및 Th1(Type I helper T cell)과 Th2(Type II helper T cell) 세포의 불균형 등이 있다11-13) . 이러한 과정 속에서 아토피 피부염은 급성일 경우 Th2 세포가 편향적으로 발달하여 Th2 사이토카인을 과량 생산하고 이로 인해 혈청 내 IgE와 호산구가 증가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王燾. 外臺秘要. 北京:人民衛生出版社. 1996:72. 

  2. 尹吉榮. 東醫臨床方劑學, 서울:明寶出版社. 1985:228, 229. 

  3. 朴喜守. 臨床處方講座, 서울:大成醫學社. 2000:167-71. 

  4. 鄭津牟. 中國處方解說. 臨床. 應用. 서울:癸丑文化史. 1992:354-7. 

  5. 尹用甲, 圖解增補 東醫方劑와 處方解說. 서울:醫聖堂. 2007:730-46. 

  6. 원영호, 황충연, 임규상, 김종한, 고성규, 이부균, 이동효, 김남권. 托裏消毒飮 合 黃連解毒湯의 아토피피부염에 대한 실험적 연구.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11;24:121-41. 

  7. 김보애, 김미소, 강보미, 변선희, 박일향, 박지하, 정지욱, 안은미, 정현아, 장정희, 배원, 이하영, 최필녀, 박찬익. 黃連解毒湯이 NC/Nga Mice에서 유발된 아토피 피부염에 미치는 영향. 대한본초학회. 2008;23:59-65. 

  8. Spergel JM, Paller AS. Atopic dermatitis and the atopic march. J Allergy Clin Immunol. 2003;112:S118-27. 

  9. Leung DY, Bieber T. Atopic dermatitis. Lancet. 2003;361:151-60. 

  10. Leung DY, Boguniewicz M, Howell MD, Nomura I, Hamid QA. New insights into atopic dermatitis. J Clin Invest. 2004;113:651-7. 

  11. Mohrenschlager M, Darsow U, Schnopp C, Ring J. Atopic eczema: what's new? J Eur Acad Dermatol Venereol. 2006;20:503-13. 

  12. Novak N, Bieber T. Allergic and nonallergic forms of atopic diseases. J Allergy Clin Immunol. 2003;112:252-62. 

  13. Schultz-Larsen, F. Hanifin, JM. Epidermiology of atopic dermatitis. Immunol Allergy Clin North Am. 2002;22:1-24. 

  14. Saluja R, Delin I, Nilsson GP, Adner M. Fc ${\varepsilon}RI$ -mediated mast cell reactivity is amplified through prolonged Toll-like receptor-ligand treatment. PLoS One. 2012;7:e43547. 

  15. Beltrani VS. The clinical spectrum of atopic dermatitis. J Allergy Clin Immunol. 1999;104:87-98. 

  16. Raiford DS. Pruritus of chronic cholestasis. Q J Med. 1995;88:603-7. 

  17. Wahlgren CF. Itch and atopic dermatitis: an overview. J Dermatol. 1999;26:770-9. 

  18. Galli SJ. New concepts about the mast cell. N Engl J Med. 1993;328:257-65. 

  19. Martynova MG, Bystrova OA, Moiseeva OM, Evdonin AL, Kondratov KA, Medvedeva ND. The presence of ANP in rat peritoneal mast cells. Cell Res. 2005;15:811-6. 

  20. Lee YM, Cheng PY, Chim LS, Kung CW, Ka SM, Chung MT, Sheu JR. Baicalein, an active component of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improves cardiac contractile function in endotoxaemic rats via induction of heme oxygenase-1 and suppression of inflammatory responses. J Ethnopharmacol. 2011;135:179-185. 

  21. Lin CC, Ng LT, Hsu FF, Shieh DE, Chiang LC. Cytotoxic effects of Coptis chinensis and Epimedium sagittatum extracts and their major constituents (berberine, coptisine and icariin) on hepatoma and leukaemia cell growth. Clin Exp Pharmacol Physiol. 2004;31:65-9. 

  22. Hsiang CY, Wu SL, Cheng SE, Ho TY. Acetaldehyde-induced interleukin-1beta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production is inhibited by berberine through nuclear factor-kappaB signaling pathway in HepG2 cells. J Biomed Sci. 2005;12:791-801. 

  23. Auyeung KK, Ko JK. Coptis chinensis inhibits hepatocellular carcinoma cell growth through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activated gene activation. Int J Mol Med. 2009;24:571-77. 

  24. Lee B, Sur B, Shim I, Lee H, Hahm DH. Phell odendron amurense and Its Major Alkaloid Compo und, Berberine Ameliorates Scopolamine- Induce d Neuronal Impairment and Memory Dysfuncti on in Rats. Korean J Physiol Pharmacol. 2012;16:79-89. 

  25. Fu Y, Liu B, Liu J, Liu Z, Liang D, Li F, Li D, Cao Y, Zhang X, Zhang N, Yang Z. Geniposide, from Gardenia jasminoides Ellis, inhibits the inflammatory response in the primary mouse macrophages and mouse models. Int Immunopharmacol. 2012;14:792-8. 

  26. Wahlgren CF. Itch and atopic dermatitis: an overview. J Dermatol. 1999;26:770-9. 

  27. Kuraishi Y, Nagasawa T, Hayashi K, Satoh M. Scratching behavior induced by pruritogenic but not algesiogenic agents in mice. Eur J Pharmacol. 1995;275:229-33. 

  28. Nagai H, Matsuo A, Hiyama H, Inagaki N, Kawada K. Immunoglobulin E production in mice by means of contact sensitization with a simple chemical, hapten. J Allergy Clin Immunol. 1997;100:S39-S4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