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직배양생강과 한국재래종 생강의 유효성분 비교
Comparison of Active Ingredients between Field Grown and In Vitro Cultured Rhizome of Korean Native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oe)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24 no.4, 2011년, pp.404 - 412  

조만현 (충청남도농업기술원) ,  함인기 (충청남도농업기술원) ,  이규희 (우송대학교 식품생물과학과) ,  이종국 (충청남도농업기술원) ,  이가순 (충청남도농업기술원) ,  박상규 (충청남도농업기술원) ,  김태일 (충청남도농업기술원) ,  이은모 (충청남도농업기술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생강의 유효성분을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한국재래종생강과 조직배양생강의 일반성분, 무기성분, 유리당, 지방산, 휘발성 성분, 그리고 6-gingerol과 6-shogaol 등을 분석하여 평가하였다. 일반성분(조회분, 조지방, 조단백질, 탄수화물)함량은 한국재래종 생강이 조직배양생강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무기성분(Cu, Fe, Mn, Zn) 함량은 조직배양생강이 한국재래종 생강보다 높게 나타났다. 무기성분 중에서 가장 많은 것이 K이었으며, P와 Mg, Na, Ca 순으로 많았다. 유리당(fructose, glucose, sucrose)은 조직배양생강이 한국재래종 생강보다 높게 나타났다. 생강은 C14 미만의 지방산이 주요 지방산이었다. Citral 성분은 한국재래종 생강이 조직배양생강 보다 생강의 고유향이 더 강하게 나타났으며, gingerol 함량은 경정배양에 의하여 증가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and analyze the active ingredients of Korean native ginger and rhizome derived from in vitro shoot-tip culture of Korean native ginger. Proximate compositions, mineral nutrients, free sugars, fatty acids, volatile components, 6-gingerol, and 6-shogaol were anal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생강의 성분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한국재래종 생강과 경정배양을 통한 조직배양생강의 일반성분, 무기성분, 유리당, 지방산, 휘발성성분, 그리고 6-gingerol과 6-shogaol 등을 분석하여 평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생강의 유효성분을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한국재래종생강과 조직배양생강의 일반성분, 무기성분, 유리당, 지방산, 휘발성 성분, 그리고 6-gingerol과 6-shogaol 등을 분석하여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옛날부터 생강은 어떤 용도로 이용되고 있는가? 생강과에 속하는 식물은 세계적으로 약 85속 1,200여종에 이르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옛날부터 생강은 건위, 발한, 복통, 설사, 해열제 등의 한약재와 조미료 등다양한 용도로 이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국민들의 식욕증진과 소화촉진 그리고 건강지향적인 목적으로 한국 고유차 중 특히 생강차는 내국인뿐만 아니라 외국인에게도 독특한 향기와 맛으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Kim et al.
생강 근경에는 어떤 유효성분을 함유하고 있는가? , 1991). 근경에는 독특한 향과 매운맛이 있으며 zingerone, shogaol, gingerol과 같은 유효성분(Connell., 1970)과 유리당, 지방, 단백질, 무기물질 등 중요한 성분들을 함유하고 있다.
생강 특유의 향기성분으로는 어떠한 방향 성분이 있는가? 생강 특유의 향기성분으로는 각종 monoterpene류 및 sesquiterpene류와 같은 방향성분과 생강 특유의 자극성맛 성분인 gingerol, shogaol, zingerone 등을 함유하고 있어 식품의 향미증진 목적인 향신료로 세계적으로 활용되고 있다(Kim et al., 2002; Mathew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eschbach, R.J., B.C. Loliger, A. Scott, J. Murcia, B. Butler, H. Alliwell and O.I. Aruoma. 1994. Antioxidant actions of thymols, carbacrol, 6-gingerol, zingerone and hydroxytyrosol, Food Chem. Toxicol. 32:31-36. 

  2. Chang, K.M. and M.S. Lee. 1999. A study on mineral contents of the underground vegetables produced in Korea harvested in different times. Korean J. Soc. Food. Sci. 15:545-549 (in Korean). 

  3. Chang, W.S., Y.H. Chang, F.J. Lu and H.C. Chiang. 1994. Inhibitory effects of phenolics on xanthine oxidase. Anticancer Res. 14:501-506. 

  4. Connell, D.W. 1970. The chemistry of the essential oil and oleoresin of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oe). Flavour Industry 1:677. 

  5. Jeong, M. C., S. W. Jeong and Y. C. Lee. 1999. Quality of ginger powder as affected by concentration and dehydration method of ginger extracts. Kor. J. Food Sci. Technol. 31: 1589-1595 (in Korean). 

  6. Jeong, M.C., S.E. Lee and Y.C. Lee. 1999. Yield and quality of ginger extracts produced by enzymatic hydrolysis. Korean J. Food Sci. Technol. 31:391-398 (in Korean). 

  7. Jo, M.H., I.K. Ham, M.A. Lee, S.K. Park, K.H. Kwon and E.M. Lee. 2009. Efficient production of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oe) rhizome by shoot-tip culture. Korean J. Plant Res. 22:518-521. 

  8. Jogi, B.S., I.P. Singh, H.S. Dua and P.S. Sukhija. 1972. Changes in crude fibre, fat and protein content in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 at different stages of ripening. Indian J. Agric. Sci. 42:1011-1015. 

  9. Kim, J.S., M.S. Koh, Y.H. Kim, M.K. Kim and J.S. Hong. 1991.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Korean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oe). Korean J. Food Sci. Technol. 23:141-149 (in Korean). 

  10. Kim M.K., B.E. Lee, S.E. Yun, Y.H. Kim, Y.K. Kim and J.S. Hong. 1994. Changes in volatile constituents of Zinggiber officinale Roscoe rhizomes during storage. Agric. Chem. and Biotechnol. 37:1-8 (in Korean). 

  11. Kim, W.J. and H.S. Choi. 2002. Natural spice, Hyoil Publishing, Seoul, Korea. 

  12. Ko, S.R., K.J. Choi, H.G. Kim and K.W. Han. 1996. Comparison of proximate composition, mineral nutrient, amino acid and free sugar contents of several Panax species. Korean J. Ginseng Sci. 20:36-41 (in Korean). 

  13. Lee, S.E., M.C. Jeong and T.Y. Chung. 1994.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storage technology for ginger.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E1294-0538. 

  14. Lee B.S., M.S. Ko, H.J. Kim, I.S. Kwak, D.H. Kim and B.W. Chung. 2006. Separation of 6-gingerol from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oe) and antioxidative activity. Korean J. Biotechnol. Bioeng. 21:484-488. 

  15. Mathew, A.G., N. Krishnamurthy, E.S. Nambudiri and Y.S. Lewis. 1973. Oil of Ginger. Flavour Ind. 4:226-232. 

  16. Nam, Y.J., W.D. Hawer, H.M. Seog and J.H. Ha. 1988. Study on the flavour components to improve the quality of Korean traditional teas. Agricultural and Fishery Marketing Corporation Report. 

  17. Natarajan, C.P., R. Padama Bai, M.N. Krohnamurthy, B. Raghavan, N.B. Shnkaracharya, S. Kuppuswamy, G.V.S. Govindarajan and Y.S. Lewis. 1972. Chemical composition of ginger varieties and dehydration studies on ginger. J. Food Sci. Technol. 9:120. 

  18.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1999. Fertilization prescription standard with each crop.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p. 41-42. 

  19. No, K.M., H.Y. Seo, R. Gyawali, S.L. Shim, S.H. Yang, S.J. Lee and K.S.J. Kim. 2005. Effect of gamma-irradiation on the volatile flavor compounds from dried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oe). Korean Soc. Food Sci. Nutr. 34:892-898 (in Korean). 

  20. Sakamura, F. 1987. Changes in volatile constituents of Zingiber officinale rhizomes during storage and cultivation. Phytochemistry 26:2207-2212. 

  21. Salzer, U.J. 1975. Analytical evaluation of seasoning extracts (oleoresins) and essential oils from seasoning. II. Int. Flavors Food Addit. 6:206-210. 

  22. Seo H.Y., K.M. No, S.L. Shim, Y.K. Ryu, K.J. Han, R. Gyawali and K. S.J. Kim. 2006. Analysis of enantiomeric composition of flavor components from dried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oe) Korean Soc. Food Sci. Nutr. 35:874-880 (in Korean). 

  23. Yoo M.J., Y.S. Kim and D.H. Shin. 2006. Antibacterial effects of natural essential oils from various spices against Vibrio species and their volatile constitue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8:438-443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