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강을 첨가한 사과잼의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Quality Characteristics of Apple Jam Added with Ginger 원문보기

한국조리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v.20 no.2, 2014년, pp.79 - 88  

이승민 (세종대학교 조리외식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생강을 사과잼에 첨가함으로서 생강의 최적 첨가량을 결정하고 생강 첨가 사과잼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생강의 첨가량을 달리하여(0, 2, 4, 6, 8%) 사과잼을 제조한 후 품질특성으로 기계적 특성과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생강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사과잼의 수분 함량과 당도는 생강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pH는 생강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색도에서 L값과 b값은 생강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각 첨가군 간에 유의적 차이를 보이며 감소하였고(p<0.05), a값은 생강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4% 첨가군까지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텍스처 특성에서 경도(hardness)는 생강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 차이를 보이며 증가하였고, 부착성(adhesiveness)은 생강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증가하였다. 응집성(cohesiveness)은 생강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높아졌으며, 생강의 첨가량에 따른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p<0.05). 탄력성(springiness)씹힘성(chewiness)은 생강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기호도 검사에서 전반적인 기호도(overall acceptability)는 생강 4% 첨가군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로부터 생강을 첨가하여 사과잼을 제조시 생강을 4% 정도의 수준에서 첨가한다면 사과잼의 기호도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apple jam added with ginger. The apple jam was prepared with apples, sugar, lemon juice and various amounts (0, 2, 4, 6, 8%) of ginger. Increasing the amount of ginger decreased moisture contents and sugar content of the jam, whereas the pH gra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생강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및 선호도에 관한 연구에서 소비자들은 생강의 향기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과잼 제조시 생강을 첨가하여 독특한 맛과 향을 가지는 기능성 잼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독특한 맛과 향기를 지닌 생강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사과잼을 제조한 후 품질 특성을 조사하여 소비자의 기호에 맞는 사과잼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생강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사과잼을 제조한 후 품질평가를 통하여 생강을 사과잼에 활용하는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생강의 매운맛은 침 안에 있는 diastase 작용을 촉진시켜 소화흡수와 위액의 분비를 왕성하게 하며, 생강은 풍미를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식품의 보존성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강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사과잼의 색도 측정 결과, 생강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가 감소하게 된 이유로 생강의 갈변에 기인하는 것은? 001) 가장 낮은 값을 보여 생강의 가공 유형이 잼의 명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생강의 저장 안정성에 관한 연구(Jo KS et al 1997)에서 생강의 갈변은 유리당 중의 fructose와 아미노산 중의 asparagine이 주로 관여하는 Maillard 반응과 ascorbic acid 산화반응에 의하여 일어나는 비효소적 갈색화 반응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어, 본 연구에서 생강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명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사료된다.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은 무첨가군과 2%, 4% 첨가군 간에 유의적 차이가 없었고, 6% 첨가군에서 유의적 차이를 보이며 감소하였다.
생강이란 무엇인가? 향신료는 부패균의 증식이나 병원균의 발생을 억제하는 방부제로서의 기능, 곰팡이나 효모의 발생을 억제하는 기능, 유지류나 체내 지질의 산화방지, 소화효소 등의 작용을 활성화시키는 등 다양한 약리 효과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식품재료사전편찬위원회 2008). 생강(Zingiber officinale Roscoe)은 열대아시아가 원산지이며 생강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고온 다습한 땅에서 자생하고 18℃ 이상에서 발아되며 20~30℃의 온도에서 잘 자란다. 그 근경은 특유의 맛과 향기를 지니고 있어 세계적으로 널리 애용되고 있는 향신료 중의 하나이다.
생강의 매운 맛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충남 서산과 전북 완주는 우리나라의 생강 총생산량 중 90%를 차지하고 있으며, 생산 농가에 안정된 소득을 제공하는 작물이다 (국립농산물 품질관리원 2006). 생강의 매운맛은 침 안에 있는 diastase 작용을 촉진시켜 소화흡수와 위액의 분비를 왕성하게 하며, 살균작용 효과도 있다. 생강은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향신료로서 뿐만 아니라 약리적 효능도 인정되어 소화보조제, 오심, 복통, 요통, 설사 등의 치료제 및 살균제로도 이용되고 있다(Kim MY & Chun SS 2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국립농산물 품질관리원 (2006) 통계정보자료, 376, 충남 

  2. 식품재료사전편찬위원회 (2008) 식품재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320, 경기 

  3. 김희섭, 유혜경, 윤재영, 이정희, 최영희, 최정희(2006) 조리의 과학, 도서출판 대가, 254-257, 서울 

  4. 손정우, 송태희, 신승미, 오세인, 우인애 (2008) 조리과학, 교문사. 60-62, 경기도 

  5. 송태희, 우인애, 손정우, 오세인, 신승미 (2012) 이해하기 쉬운 조리과학, 교문사, 63-65, 경기도 

  6. 정혜정 (2001) 조리용어사전, 도서출판 효일, 244, 서울 

  7. 조태동 (2011) 한국의 허브, 대원사, 154, 서울 

  8. 최필승 (1989) 자랑스런 민족음식 북한의 요리, 한마당, 424 

  9. 한국식품영양학회 (2009) 식품영양학사전, 한국사전연구사, 464-465 

  10. 서산농업기술센터 (2006) 생강재배, 서산시농업기술센터, 13-14, 충청남도 

  11.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69-74 

  12. Ahn CB, Shin TS, Nam TS (2000). A trial for preparation of jam using sea mustard stem. J Korean Fish Soc 33(5):423-430. 

  13. Han EJ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s Containing Ginger Juice. Korean J Culinary Res 18(5):256-266. 

  14. Han EJ, Kim JM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ggaeng prepared with different amounts of ginger pow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1(3):360-366. 

  15. Jang MS (2009). Optimization of the Ingredient Mixing Ratio for Preparation of Kiwifruit (Actinidia deliciosa) Jam Prepared with added Barley Sproutling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5(2):234-242. 

  16. Jeong YJ, Lee GD (1999). Optimization on organoleptic properties of red pepper Jam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ean J Food Sci Nutr 28(6):1269-1274. 

  17. Jin TY, Heo SI, Lee WG, Lee IS, Wang MH (2008). Manufacturing characteristics and hysicochemical component analysis of Bokbunja (Rubus coreanus Miquel) jam.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1):48-52 

  18. Jo KS, Chang YS, Shin HS (1997). Storage stability of ginger (Zingerber officinale Roscoe) paste. Korean J Food Sci Nutr 26(6):1140-1146. 

  19. Jung HA, Park SH, Kim AN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Ginger Salad Dressing. Korean J Culinary Res 19(2):167-175. 

  20. Kang JH, Ahn BW, Lee DH, Byun HS, Kim SB, Park YH (1988). Inhibitory effects of ginger and garlic extracts on the DNA damage. Korean J Food Sci Food 20(3):287-292. 

  21. Kim KS, Paik SH (1998). The effects on quality characteristics resulting from the use of varying amounts of garlic as additives in apple jams. Korean J Soc Food Sci 14(5):553-559. 

  22. Kim MH, Kim MH, Yun SJ, Lee BY, Lee CW, Kim BA, Jang KH, Lee JC, Surh JH (2010).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zation of Apple Jam with Rosa rugosa Thunb. Fruit. Korean J Food Cookery Sci 26(4):367-380. 

  23. Kim MH, Kim SM, Kim MR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Black Garlic Jam Prepared with Fructooligosaccharid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6):916-922. 

  24. Kim MY, Chun SS (2001). Effects of Onion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trawberry Jam. Korean J Food Cookery Sci 17(4):316-322. 

  25. Kim MY, Chun SS (2000). The effect of fructo-oligosaccharide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trawberry jam. Korean J Soc Food Sci Nutr 16(6):530-537. 

  26. Kim SJ, Moon JS, Kim JM, Kang SG, Jung ST (2004). Preparation of jam using Undaria pinnatifida Sporophyl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3):598-602. 

  27. Lee BS, Ko MS, Kim HJ, Kwak IS, Kim DH, Chung BW (2006). Separation of 6-gingerol from ginger and antioxidative activity. Korean J Biotechnol Bioeng 21(6):484-488. 

  28. Lee HO, Sung HS, Suh KB (1986). The effect of ingredients on the hardness of ginseng jelly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ean J Food Sci Technol 18(4):259-263. 

  29. Lee KS, Park HM, Hong JS, Lee GH, Oh MJ (2009). Changes of Chemical Components during Fermentation of Pear Wine. Korean J Food Preserv 16(6):991-998. 

  30. Rho JO, Park HJ, Lee YS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Pear Jam with Added Ginger Powder. Korean J Food Sci Nutr 24(2):159-165. 

  31. Shin DH (1994). Survey on consumer concept and acceptability of convenient ginger product. Korean J Food culture 9(3):323-327. 

  32. Song IS, Lee KM, Kim MR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pumpkin jam when sucrose was replaced with oligosaccharides during storage.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0(3):279-286.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