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복합균주에 대한 부추와 마늘 생즙 및 가루성분의 항균특성
Antibacterial Effects of Leek and Garlic Juice and Powder in a Mixed Strains System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3 no.4, 2011년, pp.518 - 523  

이은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양교육) ,  장금일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배인영 (한양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현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양교육)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를 통해서 부추와 마늘의 생즙과 가루의 항균활성은 농도의존적으로 증가되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고, 그람음성균인 Escherichia coli, Salmonella enteritidis 보다 그람양성균인 Staphylococcus aureus 에 대한 항균력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부추는 생즙에 비해 가루의 항균활성이 떨어졌고, 마늘은 생즙과 가루의 활성이 유사하게 분석됨으로써, 냉동건조 후에도 항균활성이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부추와 마늘간의 항균활성을 비교해보면, 생즙과 가루 형태에서 모두 부추보다 마늘의 항균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부추와 마늘 모두 항균활성 온도가 높을수록, 가열 시간이 길어질수록 저하되었고, 마늘가루가 부추가루보다 약한 열 안정성을 보였다. 또한 부추와 마늘 모두 pH에 따른 항균성의 변화는 일정하게 유지되어 pH 변화에 대해서는 비교적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추와 마늘생즙, 부추와 마늘가루의 혼합 비율에 따른 항균성의 변화는 마늘비율의 증가에 따른 효과가 나타날 뿐, 시료간 혼합에 따른 상승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부추와 마늘가루는 복합균주에서 각각의 균주에 대해여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단일균주에 나타난 항균활성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leek and garlic extract juice and powder against Escherichia coli, Salmonella enteritidis, and Staphylococcus aureus in a single strain and a mixed strains system. Garlic juice and powder showed higher antimicrobial activity aga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이로 인해, 식품 중에 존재하는 다양한 미생물의 혼재상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나, 그 중 미생물이 혼재한 환경에서 각각의 미생물에 대한 항균 특성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식중독균인 Escherichia coli, Salmonella enteritidis 및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1) 부추와 마늘의 생즙 및 가루형태의 항균효과를 비교하고, 2) 가루형태에서의 가열과 pH에 대한 항균활성의 안정성을 분석하며, 3) 식중독 균주가 혼재되어 있는 혼합 균주 배양액의 생육저해에 대한 부추와 마늘의 효능을 조사하였다.
  • 각각의 균주에 대한 생육저해능은 복합균주액을 37℃, 130 rpm에서 6, 12, 24시간 동안 진탕 배양하여 Sta. aureus는 MSA 배지, S. enteritidis은 SS Agar 배지에 각각 0.1 mL씩 도말하여 plate count 방법을 이용하여 생육저해능을 비교하였다. 생육저해능은 아래의 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고, 99.
  • 이때 사용한 대조군은 25℃에서 열처리를 수행하였다. pH에 대한 시료의 안정성 검사는 동일농도의 추출액을 1 N HCl을 이용하여 pH 2, 3, 5, 7로 각각 조정하고 10, 20, 30분간 보관한 후 1N NaOH로 중화시킨 다음 안정성을 비교하였다. 부추와 마늘의 가열과 pH 변화에 대한 항균활성의 안정성은 가열 및 pH 변화를 유도한 시료에 대해 paper disc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 먼저 0.1 mL의 균주 배양액을 nutrient agar에 분주한 후 생즙과 가루액을 각각 30 µL 흡수시킨 지름이 8 mm인 멸균된 paper disc(ADVANTEC, 8 mm, Tokyo, Japan)를 배지에 깔고 37℃에서 24시간 배양하여 disc 주위에 생성된 투명한 생육 저해환의 지름을 측정하여 항균활성을 비교하였다.
  • aureus를 접종한 후 24시간 동안 전배양하여 108 CFU/mL 배양액을 준비하였다. 부추의 생즙은 생즙을 100%로 하여 2배(50%) 및 4배(25%) 희석하여 사용하였고, 마늘은 생즙을 10, 20, 30, 40, 50%(v/v)로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부추 및 마늘의 가루는 증류수를 이용하여 0.
  • 열 안정성 검사는 부추가루 및 마늘가루로 0.5 g/mL 농도의 추출액을 만들어 60, 80, 100℃에서 각각 1, 5, 10분간 water bath에서 130 rpm으로 열처리 하여 각각의 안정성을 비교하였다. 이때 사용한 대조군은 25℃에서 열처리를 수행하였다.
  • 1 g/mL 농도로 제조하였다. 제조된 용액은 부추 생즙과 마늘 생즙, 부추가루와 마늘가루를 각각 10:0, 8:2, 5:5, 2:8, 0:10(v/v) 혼합비율에 따라 혼합용액을 조제하였다.

대상 데이터

  • 본 실험에 사용된 미생물은 대표적인 식중독 균주로 알려진 Escherichia coli KCTC 1467, Salmonella enteritidis KCCM 1202, Staphylococcus aureus KCTC 1916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KCTC, Daejeon, Korea)와 한국미생물보존센터(KCCM, Seoul, Korea)에서 각각 분양 받아 2회 계대 배양 후 사용하였다. 균의 배양에는 액체배지로 nutrient broth(Difco, Detroit, MI, USA)를 사용하였고, 배양용고체배지는 nutrient agar(Difco), mannitol salt agar(MSA; BBL, Franklin Lakes, NJ, USA), Salmonella Shigella agar(SS agar; BBL, Franklin Lakes, NJ, USA)를 사용하였다.
  • 본 연구에 사용한 부추(재래종)와 마늘은 2009년도에 각각 창녕과 하남에서 생산된 것을 사용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미생물은 대표적인 식중독 균주로 알려진 Escherichia coli KCTC 1467, Salmonella enteritidis KCCM 1202, Staphylococcus aureus KCTC 1916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KCTC, Daejeon, Korea)와 한국미생물보존센터(KCCM, Seoul, Korea)에서 각각 분양 받아 2회 계대 배양 후 사용하였다. 균의 배양에는 액체배지로 nutrient broth(Difco, Detroit, MI, USA)를 사용하였고, 배양용고체배지는 nutrient agar(Difco), mannitol salt agar(MSA; BBL, Franklin Lakes, NJ, USA), Salmonella Shigella agar(SS agar; BBL, Franklin Lakes, NJ, USA)를 사용하였다.
  • 본 연구에 사용한 부추(재래종)와 마늘은 2009년도에 각각 창녕과 하남에서 생산된 것을 사용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미생물은 대표적인 식중독 균주로 알려진 Escherichia coli KCTC 1467, Salmonella enteritidis KCCM 1202, Staphylococcus aureus KCTC 1916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KCTC, Daejeon, Korea)와 한국미생물보존센터(KCCM, Seoul, Korea)에서 각각 분양 받아 2회 계대 배양 후 사용하였다.
  • 부추 생즙은 2배, 마늘 생즙은 10배 희석액을 사용하였고, 부추가루, 마늘가루는 0.1 g/mL 농도로 제조하였다. 제조된 용액은 부추 생즙과 마늘 생즙, 부추가루와 마늘가루를 각각 10:0, 8:2, 5:5, 2:8, 0:10(v/v) 혼합비율에 따라 혼합용액을 조제하였다.

데이터처리

  • 모든 실험은 3회 반복실험을 실시하여 평균값을 구하였으며, 실험결과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17.0, SPSS Inc., Chicago, IL, USA)를 이용하여 분산분석 하였고, 각 측정 평균값간의 유의성은 p<0.05 수준에서 던컨의 다중범위 시험법(Duncan’s multiple range test)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이론/모형

  • 부추, 마늘 생즙과 가루의 항균 활성 측정은 paper disc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먼저 nutrient broth에서 E.
  • pH에 대한 시료의 안정성 검사는 동일농도의 추출액을 1 N HCl을 이용하여 pH 2, 3, 5, 7로 각각 조정하고 10, 20, 30분간 보관한 후 1N NaOH로 중화시킨 다음 안정성을 비교하였다. 부추와 마늘의 가열과 pH 변화에 대한 항균활성의 안정성은 가열 및 pH 변화를 유도한 시료에 대해 paper disc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 또한 추출하여 얻은 상등액을 동결 건조한 것을 각각의 가루성분으로 사용하였다. 이 때, 마늘 추출 시에는 추출물의 점성이 높고 수율이 매우 낮아 Jung 등(25,26)의 방법을 이용하여 동량의 멸균된 증류수를 첨가하여 추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향균효과가 가장 높은 부추는 어떤 품종인가? porum J. Gay)는 대립종, 재래종, 소립종 등 품종별로 다양한 항균효과를 보이는데, 특히 재래종인 일반부추의 항균효과가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1). 최근에는 부추의 항균효과 및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 항산화(2-5), 항암효과(6) 등이 보고되면서, 가루형태로 제품화되어 다양한 기능성 식품소재로 이용되고 있다(7).
마늘의 효능은? 한편, 파, 골파, 양파, 부추, 달래 등과 함께 Allium속 식물로 분류되는 마늘(Allium sativum)은 향신료로서의 역할뿐만 아니라 생체기능을 조절하는 유용한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서 건강유지에 유익한 식품으로 알려져 있다(8). 마늘은 항산화효과, 항균효과, 항바이러스효과, 항암효과, 항피로효과 뿐만 아니라 혈압강하 및 지질저하작용 등 심혈관계질환 예방 및 면역체계 강화에 효능을 보인다(9-12). 그 중, 마늘의 항균작용은 세균, 효모 및 곰팡이 등 다양한 종류의 미생물에 대해 광범위한 발육 억제력을 나타낸다(13).
식품 내에 존재하는 미생물 중 대표적인 그람양성 식중독균은 무엇인가? 본 연구를 통해서 부추와 마늘의 생즙과 가루의 항균활성은 농도의존적으로 증가되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고, 그람음성균인 Escherichia coli, Salmonella enteritidis 보다 그람양성균인 Staphylococcus aureus 에 대한 항균력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부추는 생즙에 비해 가루의 항균활성이 떨어졌고, 마늘은 생즙과 가루의 활성이 유사하게 분석됨으로써, 냉동건조 후에도 항균활성이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Ahn MS, Kim HJ, Seo MS. The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three species of leeks (Allium tuberosun R.) ethanol extracts. Korean J. Food Culture 20: 186-193 (2005) 

  2. Lalancette GK, Pichette A, Legault J. Sensitive cell-based assay using DCFH oxidation for the determination of pro-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compounds and mixtures: Analysis of fruit and vegetable juices. Food Chem. 115: 720-726 (2009) 

  3. Boivin D, Lamy S, Dufour SL, Jackson J, Beaulieu E, Cote M, Moghrabi A, Barrette S, Gingras D, Beliveau R. Antiproliferative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common vegetables: A comparative study. Food Chem. 112: 374-380 (2009) 

  4. Murcia MA, Jimenez AM, Tome MM. Vegetables antioxidant losses during industrial processing and refrigerated storage. Food Res. Int. 42: 1046-1052 (2009) 

  5. Yin MC, Cheng WS. Antioxidant activity of several Allium members. J. Agr. Food Chem. 46: 4097-4101 (1998) 

  6. Park YJ, Kim MH, Bae SJ. Anticarcinogenic effects of allium tuberosum on human cancer cell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688-693 (2002) 

  7. Kim CB, Lee SH, Kim MY, Yoon JT, Cho RK. Effects of the addition of leek and dropwort powder on the quality of noodles. Korean J. Food Preserv. 9: 36-41 (2002) 

  8. Byun PH, Kim WJ, Woon SK. Effects of extraction conditions on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garlic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507-513 (2001) 

  9. Sallam KI, Ishioroshi M, Samejima K.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garlic in chicken saus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849-855 (2004) 

  10. Seydim AC, Sarikus G. Antimicrobial activity of whey protein based edible films incorporated with oregano, rosemary and garlic essential oils. Food Res. Int. 39: 639-644 (2006) 

  11. Yin MC, Tsao SM. Inhibitory effect of seven Allium plants upon three Aspergillus species. Int. J. Food Microbiol. 49: 49-56 (1999) 

  12. Lopez FJ, Zhi N, Carbonell AL, Alvarez PJA, Kuri V.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natural extracts: Application in beef meatballs. Meat Sci. 69: 371-380 (2005) 

  13. Oh CY, Hong EB, Yoon KR, Lee YC, Kim KS. Comparison of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garlic extracts prepared with various organic solvents. Food Eng. Prog. 6: 248-255 (2002) 

  14. Kim HK, Jo KS, Hawer WS, Shin DH. Browning and sorption characteristics of garlic powder with relative humidity and storage temperature. Korean J. Food Sci. Technol. 20: 399-404 (1988) 

  15. Jung CH, Shim KH, Bae YI, Choi JS. Quality characteristics of wet noodle added with freeze dried garlic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369-1374 (2008) 

  16. Shin JH, Oh NS, In MJ. Development of formulation of tea-bag type garlic tea. J. Korean Acad. Ind. Soc. 4: 279-283 (2003) 

  17. Kim MS, Lee DC, Hong JE, Chang IS, Cho HY, Kwon YK, Kim HY. Antimicrobial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Korean and Indonesian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949-958 (2000) 

  18. Rauha JP, Remes S, Heinonen M, Hopia A, Kahkonen M, Kujala T, Pihlaja K, Vuorela H, Vuorela P. Antimicrobial effects of Finnish plant extracts containing flavonoids and other phenolic compounds. Int. J. Food Microbiol. 56: 3-12 (2000) 

  19. Bae SK, Kim MR. Storage stability of the concentrated garlic juices with various concentration meth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615-623 (1998) 

  20. Jung JH, Cho SH. Preservative effect of garlic stalk or pork cooked in soy sauce by the addition of botanical antimicrobial agent-citrus and red ginseng mixture. Korean J. Food Preserv. 11: 1-6 (2004) 

  21. Pilyugin SS, Reeves GT, Narang A. Predicting stability of mixed microbial cultures from single species experiments: 2. Physiological model. Math. Biosci. 192: 111-136 (2004) 

  22. Kedia G, Wang R, Patel H, Pandiella SS. Use of mixed cultures for the fermentation of cereal-based substrates with potential probiotic properties. Process Biochem. 42: 65-70 (2007) 

  23. Lee MK, Lee JA, Park IS. Growth retardation of Escherichia coli and Staphylococcus aureus by leek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196-198 (2001) 

  24. Hong JH, Lee MH, Kang MC, Hur SH. Separ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compounds from Korean leek (allium tuberosum). J. Fd. Hyg. Safety 15: 235-240 (2000) 

  25. Chung KS, Kim JY, Kim YM. Comparison of antibacterial activities of garlic juice and heat-treated garlic juice. Korean J. Feed Sci. Technol. 35: 540-543 (2003) 

  26. Chung KS, Kang SY, Kim JY.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garlic juice against pathogenic bacteria and lactic acid bacteria.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1: 32-35 (2003) 

  27. Stearne ETL, Kooi C, Goessens HFW, Woudenberg BAJMI, Gyssens CI. In vitro activity of trovafloxacin against bacteroides flagilis in mixed culture with either Escherichia coli or a vancomycin-resistant strain of Enterococcus faecium determined by an anaerobic time-kill technique. Antimicrob. Agents Ch. 45: 243-251 (2001) 

  28. Stearne ETL, Boxtel DV, Lemmens N, Gossens HFW, Mouton WJ, Gyssens CI. Comparative study of the effects of ceftizoxime, piperacillin, and piperacillin-tazovactam concentration on antibacterial activity and selection of antibiotic-resistant mutans of Enterobacter cloacae and Bacteroides fragilis in vitro and in vivo in mixed-infection abscesses. Antimicrob. Agents Ch. 48: 1688- 1698 (2004) 

  29. Shin DS, Lee YC. Antimicrobial activities of alliin-alliinase reaction compounds extracted from garlic. Food Eng. Prog. 6: 67-72 (2002) 

  30. Lee YL, Cesario T. Wang Y, Shanbrom E, Thrupp L. Antibacterial activity of vegetables and juices. Nutrition 19: 994-996 (2003) 

  31. Bakri IM, Douglas CWI. Inhibitory effect of garlic extract on oral bacteria. Arch. Oral Biol. 50: 645-651 (2005) 

  32. Kim SJ, Park KH.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extracts of vegetable kimchi stuff.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216-220 (1995) 

  33. Lee CF, Han CK, Tsau JL. In vitro inhibitory activity of Chinese leek extract against Campylobacter species. Int. J. Food Microbiol. 94: 169-174 (2004) 

  34. Hong JH, Lee MH, Chun CS, Hur SH. Antimicrobial activity of Korean leek and its application to food system. J. Fd. Hyg. Safety 14: 422-427 (1999) 

  35. Siripongvutikorn S, Thummaratwasik P, Huang YW. Antimicrobial and antioxidation effects of Thai seasoning, Tom-Yum. LWT. -Food Sci. Technol. 38: 347-352 (2005) 

  36. Kim JY, Lee YC, Kim KS. Effect of heat treatments on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garlic (Allium sativum). J. Microbiol. Biotechn. 12: 331-335 (2002) 

  37. Kim YD, Kim KM, Hur CK, Kim ES, Cho IK, Kim KJ. Antimicrobial activity of garlic extracts according to different cooking methods. Korean J. Food Preserv. 11: 400-404 (2004) 

  38. Kim YS, Park KS, Kyung KH, Shim ST, Kim HK. Antibacterial activity of garlic extract against Escherichia coli.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730-735 (1996) 

  39. Garbutt J. Essentials of Food Microbiology. Arnold, London, Great Britain. pp. 139-140 (19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