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생물을 이용한 후발효차의 발효기간별 항산화 성분 및 활성의 변화
Changes of Antioxidative Components and Activity of Fermented Tea during Fermentation Period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0 no.8, 2011년, pp.1073 - 1078  

김용식 (충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조철훈 (충남대학교 동물자원생명과학과) ,  최구희 (충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경행 (충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위생적으로 안전성이 확보된 후발효차를 제조하기 위해 Bacillus subtilis, Saccharomyces cerevisiae 및 Lactobacillus bulgaricus를 이용하여 후발효차를 제조한 후 발효시간에 따른 항산화 성분 및 활성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후발효차의 ascorbic acid의 함량은 발효기간 내내 균종에 관계없이 녹차(66.74 mg%)에 비하여 비교적 낮은 함량(43.62~62.84 mg%)을 보였고 산소와의 접촉을 최소화한 L. bulgaricus 균에 의한 발효가 비교적 적은 변화를 보였다. Polyphenol 화합물의 함량은 녹차의 경우 14.88%였으며 후발효차는 11.54~14.12%로 세 균주 모두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함량이 다소 감소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녹차의 flavonoid 함량은 7.78 mg%였으며 미생물을 이용한 후발효차의 경우에는 4.33~7.88 mg%로 대부분 녹차에서의 함량보다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항산화 활성의 경우, 녹차의 DPPH 전자공여능ABTS 항산화 활성은 각각 87.47% 및 203.22 AEAC mg%였으나 발효기간에 따른 후발효차에서는 녹차에 비하여는 낮은 활성을 보여 후발효차 제조 시 어느 정도 항산화 성분의 함량 및 활성이 다소 감소하게 되지만 미생물을 이용하여 후발효차를 제조 시 위생적이고 기호도가 우수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anges of antioxidative components and activity of fermented tea manufactured by Bacillus subtilis,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Lactobacillus bulgaricus were evaluated during the fermentation period. The ascorbic acid content in the fermented tea was relatively lower (43.62~62.84 mg%) than that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호성을 갖는 후발효차를 제조하는 과정 중 녹차가 가지는 기능성 중의 하나인 항산화 활성이 변화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항산화 성분 및 활성을 측정하였다.

가설 설정

  • 2)Values with different superscripts within the same column (a,b) and row (A-D)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 2)Values with different superscripts within the same column (a-c) and row (A-D)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 2)Values with different superscripts within the same column (a-c) and row (A-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 2)Values with different superscripts within the same column (a-c) and row (A-F)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 2)Values with different superscripts within the same column (a-c) and row (A-G)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차는 제조 방법에 따라 어떻게 분류하는가? 차는 크게 제조 방법에 따라 불발효차(녹차 등), 반발효차 (10~65% 발효, 백차, 황차, 우롱차 등), 발효차(85% 이상 발효, 홍차 등) 및 후발효차(보이차 등)로 분류한다. 그중 후 발효차는 녹차의 제조방법과 같이 효소를 파괴시킨 뒤, 찻잎을 퇴적하여 공기 중에 있는 미생물의 번식을 유도해 미생물에 의한 발효가 진행되도록 하여 만든 차(미생물 발효차)를 말한다(3,4).
대표적인 후발효차 중의 하나인 보이차의 제조과정은 어떤 특징이 있는가? Kuntze)의 찻잎으로 제조되며, 일부는 사천 지방의 중엽종으로도 제조된다. 제조과정은 독특하게 Aspergillus 속과 Penicillium 속 등의 미생물을 번식시켜 이 미생물이 분비하는 효소에 의해 발효가 진행된다(3). 녹차는 저장시간이 지남에 따라 가용성분이 감소하고 이에 따라 녹차 특유의 떫은맛과 단 뒷맛이 없어지게 되는 반면, 후발효차는 보존 중에 가용성분이 증가함에 따라 감칠맛이 증가하게 되는데(5) 이것이 저장기간이 긴 후발효차가 가지는 인기의 이유라 생각된다.
발효차란 무엇인가? 차는 크게 제조 방법에 따라 불발효차(녹차 등), 반발효차 (10~65% 발효, 백차, 황차, 우롱차 등), 발효차(85% 이상 발효, 홍차 등) 및 후발효차(보이차 등)로 분류한다. 그중 후 발효차는 녹차의 제조방법과 같이 효소를 파괴시킨 뒤, 찻잎을 퇴적하여 공기 중에 있는 미생물의 번식을 유도해 미생물에 의한 발효가 진행되도록 하여 만든 차(미생물 발효차)를 말한다(3,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Park SH, Lee HJ, Ma SJ, Park KH, Moon JH. 2009. An investigation on establishment of index for estimation of quality and preservation period of Pu-erh tea. J Kor Tea Soc 15: 59-67. 

  2. Kim SH, Park J, Lee LS, Han DS. 1999. Effect of pH on the green tea extrac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024-1028. 

  3. Kim JT. 1996. Science and culture of green tea. Borim publisher, Paju, Korea. p 8-261. 

  4. Jung DH, Kim JT. 2003. Science of tea. Daekwang publisher, Jeonju, Korea. p 51-53. 

  5. Choi OJ, Choi KH. 2003.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wild teas (green tea, semi-fermented tea, and black tea) according to degree of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356-362. 

  6. Wickremasinghe RL. 1978. Tea. In Advances in Food Research. Chichester CO, ed. Academic Press, New York. NY, USA. Vol 24, p 229-286. 

  7. Byun JO, Han JS. 2004. A study on perception and actual status of utilization for green tea. Korean J Food Culture 19: 184-192. 

  8. Lee EH, Lee JK, Hong JT, Jung KM, Kim YK, Lee SH, Chung SY, Lee YW. 2001. Protective effect of green tea extract, catechin on UVB-induced skin damage. J Fd Hyg Safety 16: 117-124. 

  9. KFDA. 2007. Study of the safety evaluation for fermentation tea.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p 15-102 

  10. Kim YS, Choi GH, Lee KH. 2010. Changes of chemical components of fermented tea during fermentation period.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807-1813. 

  11. Park YK, Kim SH, Choi SH, Han JG, Chung HG. 2008. Changes of antioxidant capacity, total phenolics and vitamin C contents during Rubus coreanus fruit ripening. Food Sci Biotechnol 17: 251-256. 

  12. AOAC International. 1995. AOAC official method 952.03 tannin in distilled liquors.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OAC International, Gaithersburg, MD, USA. p 16-17. 

  13. Moreno MN, Isla MIN, Sampietro AR, Vattuone MA.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 of Argentina. J Enthnopharmacol 71: 109-114. 

  14. Blois MS. 1958. Antioxidant activity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5. Robert R, Nicoletta P, Anna P, Ananth P, Ananth P, Min Y, Catherine RE.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16. Kim BS, Yang WM, Choi J. 2002. Comparison of caffeine, free amino acid, vitamin C and catechins content of commercial green tea in Bosung, Sunchon, Kwangyang, Hadong. J Kor Tea Soc 8: 55-62. 

  17. Kim K. 1977. Studies on the chemical constituents of the tea leaf. Korean J Food Sci Technol 9: 10-12. 

  18. Woo HS, Choi HJ, Han HS, Park JH, Son JH, Ahn BJ, Son GM, Choi C. 2003. Isolation of polyphenol from green tea by HPLC and its physiological activiti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1199-1203. 

  19. Liu TL. 2003. Mechanism and clinical studies on the anticaries effect of green tea polyphenols. Korean J Food Sci Technol 7: 83-100. 

  20. Jeong CH, Kang ST, Joo OS, Lee SC, Shin YH, Shim KH, Cho SH, Choi SG, Heo HJ. 2009. Phenolic content, antioxidant effect and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y activity of Korean commercial green, puer, oolong, and black teas. Korean J Food Preserv 16: 230-237. 

  21. Jang MJ, Ha HJ, Yoon SR, Noh JE, Kwon JH. 2006. Prediction of optimal leaching conditions for green t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747-753. 

  22. Son MY, Kim SH, Nam SH, Park SK, Sung NJ. 2004.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green and fermented tea extracts. J Life Sci 14: 920-92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