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발효옻 추출물의 항산화 및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
Antioxidant and Anti-adipogenic Effects of Fermented Rhus verniciflua 원문보기

한국조리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v.20 no.3, 2014년, pp.137 - 147  

나영아 (을지대학교 식품산업외식학과) ,  최미숙 (을지대학교 식품산업외식학과) ,  박성진 (한림성심대학교 관광외식조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발효옻의 총 페놀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다양한 항산화 모델(DPPH radical scavenging, ABTS radical scavenging, FRAP activity, reducing power)을 통하여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3T3-L1 지방세포의 분화과정 중 발효옻에 의한 세포내 지방 축적 억제활성을 평가하여 항비만 활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발효옻 추출물의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29.2{\pm}0.12$ GAE mg/g 및 $20.4{\pm}1.52$ RE mg/g으로 나타났다. 다양한 항산화 평가 모델(DPPH, FRAP, 환원력, ABTS)을 통하여 발효옻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발효옻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능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T3-L1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지질을 붉은색으로 염색시키는 Oil red O 시약을 통해 3T3-L1 지방세포 내 생성된 중성지방의 양을 측정한 결과, 음성대조군에 비해 $300{\mu}g/mL$ 발효옻 추출물 처리군에서 세포 내 지질 축적량이 감소하였으나 큰 영향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발효에 따른 옻나무의 allergy성분을 제거하고 이를 식품소재화 하는 연구는 산업적으로 많은 잠재력을 지닌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안전성 및 기능성 구명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ntioxidant and anti-adipogeneic effects of fermented Rhus verniciflua., evaluating the total phenol, total flavonoids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he fermented Rhus verniciflua as well as assessing the lipid accumulation during adipogenesis of 3T3-L1 cells. Ou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발효옻을 건강기능식품 소재로 활용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발효옻의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다양한 항산화 모델(DPPH radical scavenging, ABTS radical scavenging, FRAP activity, reducing power)을 통하여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3T3-L1 지방세포의 분화과정 중 발효옻에 의한 세포내 지방 축적 억제활성을 평가하여 항비만 활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발효옻을 건강기능식품 소재로 활용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발효옻의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다양한 항산화 모델(DPPH radical scavenging, ABTS radical scavenging, FRAP activity, reducing power)을 통하여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3T3-L1 지방세포의 분화과정 중 발효옻에 의한 세포내 지방 축적 억제활성을 평가하여 항비만 활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발효옻을 건강기능식품 소재로 활용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발효옻의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다양한 항산화 모델(DPPH radical scavenging, ABTS radical scavenging, FRAP activity, reducing power)을 통하여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3T3-L1 지방세포의 분화과정 중 발효옻에 의한 세포내 지방 축적 억제활성을 평가하여 항비만 활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방세포의 ROS 생성 과정은? 최근 연구에 의하면 지방세포내 생성된 ROS는지방세포 분화 (adipogenesis)와 밀접한 연관을 갖는다고 한다(Lee OH et al 2009; Furukawa S et al 2004; Yamashita A et al 2008). 3T3-L1 전지방 세포는 지방세포로 분화하는 과정에서 세포내로 유입되는 포도당을 저장하기 위하여 지방 합성과 관련된 에너지대사 경로를 작동하게 된다. 특히, pentose phosphate pathway (PPP)는 지방 합성에 반드시 필요한 cofactor인 NADPH (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phosphate)를 제공해 주는 중요한 pathway이다. 이렇게 생성된 NADPH는 NADPH Oxidase (NOX)에 의하여 NADP+로 전환되며, 이때 세포내 superoxide를 생성하게 되어 세포 내 ROS가 발생한다. 지방세포에서 과도하게 생성된 ROS는 전지방 세포의 분화를 촉진시켜 주거나 지방세포 주변에 위치한 macrophage를 자극하여 또 다른 활성산소종을 생성하는 악순환의 연결고리로 비만의 주요 원인 중에 하나라고 보고 된 바 있다(Yamashita A et al 2008).
체내에서 발생하는 활성산소의 저해와 방어가 가능한 이유는? 체내에서 발생하는 활성산소는 일반적으로 체내에 존재하는 항산화 시스템으로 인해 저해와 방어가 가능하다. 그러나 최근 산업화로 인한 각종 매연, 환경호르몬, 알콜 및 흡연 등과 같은 환경적 요인은 활성산소의 양을 증가시켜서 체내의 항산화 시스템만으로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해 발생하는 손상을 적절히 방어하지 못할 수 있다 (Gutteridge JMC & Halliwell B 1994).
ROS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어 왔던 것은? 이와 같은 현상으로 인해 생성되는 활성산소종 (reactive oxygen species, ROS)은 불안정하고 반응성이 매우 높아서 고분자 단백질과 DNA의 변형 및 생체 막을 손상시키며, 조직이나 기관들을 손상시켜 암과 같은 질병을 야기한다(Fridovich I 1989; Lee OH et al 2009). ROS를 제거하기 위해서 과거에는 효과와 경제성이 뛰어난 합성 항산화제인 BHT (butylated hydroxytoluene) 및 BHA (butylated hydroxyanisole)가 많이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 이러한 합성물들의 인체에 대한 독성과 안정성의 문제가 많이 알려지면서 법적으로 규제되고 있으며 그 사용이 점점 감소하고 있다(Kim HK et al 2004; Kim TK et al 2003). 이와 함께 안전성이 확보된 천연물을 이용한 새로운 천연 항산화제 개발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Kalt W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Blumberg JM, Tzameli I, Astapova I, Lam FS, Flier JS, Hollenberg AN (2006). Complex role of the vitamin D receptor and its ligand in adipogenesis in 3T3-L1 cells. J Biol. Chem 281(16): 11205-11213. 

  2. Cho YJ, Ju IS, Kim BC, Lee WS, Kim MJ, Lee BG, An BJ, Kim JH, Kwon OJ (2007). Biological activity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extract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0(3): 198-203. 

  3. Choi HS, Yeo SH, Jeong ST, Choi JH, Park HS, Kim MK (2012).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urushiol free fermented Rhus verniciflua stem bark(FRVSB)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4(2): 173-178. 

  4. Choi WS, Kim DK, Lee YH, Kim JE, Lee SE (2002). Antioxidative and cytotoxicity activities of cpompounds isolated from Korean Rhus verniciflua S.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5(3): 168-172. 

  5. Epstein WL (1974). Poison oak and poison ivy dermatitis as an occupational problem. Cuits 13(4): 544-548. 

  6. Fernald, ML (1950). Gray's Manual of Botany 8th ed., American Book Company, New York, USA. pp. 976-979. 

  7. Fridovich I (1989). Superoxide dismutase. An adaption to a paramagnetic gas. J Biol Chem 264(14): 7761-7764. 

  8. Furukawa S, Fujita T, Shimabukuro M, Iwaki M, Yamada Y, Nakajima Y, Nakayama O, Makishima M, Matsuda M, Shimomura I (2004). Increased oxidative stress in obesity and its impact on metabolic syndrome. J Clin Invest 114(12): 1752-1761. 

  9. Moreno MIN, Isla MI, Sampietro AR, Vattuone MA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s of Argentina. J Ethnopharmacol 71(1-2): 109-114 

  10. Gutteridge JMC, Halliwell B (1994) Antioxidants In nutrition, Health, and Disease. Oxford University Press. London, UK. pp. 1-62. 

  11. Jeon WK, Lee JH, Kim HK, Lee AY, Lee SO, Kim YS., Ryu SY, Kim SY, Lee YJ, Ko BS (2006). Anti-platelet effects of bioactive compounds isolated from the bark of Rhus verniciflua Stokes. J Ethnopharm 106(1): 62-69. 

  12. Jeong JW, Lee YC, Jung SW, Lee KM (1994). Flavor components of citron juice as affected by the extraction method. Korean J Food Sci Technol 26(6): 709-712. 

  13. Jeong SH, Kim SI, Sim KH, Jin SY, Kim NH (2012). Antioxidant and antidiabetic Activity of Jehotang according to Different Cooking Methods. Korean J Culinary Research 18(5): 233-242 

  14. Jung NC (1998) Biological activity of urushiol and flavonoids from Lac tree(Rhus verniciflua Stokes). Ph.D.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Kwang-ju, Korea 

  15. Kalt W (2006). Effects of production and processing factors on major fruit and vegetable antioxidant. J Food Sci 70(1): 11-19. 

  16. Kim HK, Kwon YJ, Kim YE, Nahmgang B (2004). Changes of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ster scaber thunb extracts with different microwave assisted extraction conditions. Korean J Food Preserv 11(1): 88-95. 

  17. Kim IT, Park YM, Shin KM, Ha J, Choi J, Jung H J, Park HJ, Lee KT (2004). Anti-inflammatory and anti-nociceptive effects of the extract from Kalopanaxictus, Pueraria thunbergiana and Rhus verniciflua. J Ethnopharm 94(1):165-173. 

  18. Kim JH, Park JH, Park SD, Choi SY, Seong JH, Hoon KD (2002). Prepara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health drink with extract powders from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seed. Korean J Food Sci Technol 34(4): 617-624. 

  19. Kim TK, Shin HD, Lee YH (2003) Stabilization of polyphenolic antioxidants using inclusion complexation with cyclodextrin and their utilization as the fresh-food preservative. Korean J Food Sci Technol 35(2): 266-272. 

  20. Kim TH, Lee KM, Kwon KR. Choi SM (2002). A literature study on lacquer poison. J Korean pharmacopuncture institute 5(1): 159-169. 

  21. Kitts DD, Lim KT (2001). Antitumorigenic and cytotoxic properties of an ethanol extract derived from Rhus verniciflua Stokes(RVS). J Toxicol Environ Health 64(4): 357-371. 

  22. Lee JC, Kim J, Lim KT, Yang MS, Jang YS (2001). Ethanol eluted extract of Rhus verniciflua Stokes showed both antioxidant and cytotoxic effects on mouse thymocytes depending on the dose and time of the treatment. Biochem Mol Biol 34(3): 250-258. 

  23. Lee OH, Lee BY, Lee J, Lee HB, Son JY, Park CS, Shetty K, Kim YC (2009). Assessment of phenolics-enriched extract and fractions of olive leaves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ies. Bioresour Technol 100(23): 6107-6113. 

  24. Lee OH, Kwon YI, Hong HD, Park CS, Lee BY, Kim YC (2009). Produ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and changes in antioxidant enzyme activites during differentiation of 3T3-L1 adipocyte.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2(1): 70-75. 

  25. Lee SH, Jeong HS, Kang TS (2013). Antimicrob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s from Heat-Air Drid Rhus verniciflua Stokes. Food Engineering Progress 17(1): 1-7. 

  26. Lim KT, Chun H, Kitts DD (2001). Antioxidant activity of a Rhus verniciflua Stokes ethanol extract. Food Chem Toxicol 39(3): 229-237. 

  27. Moreno MIN, Isla MIN, Sampietro AR, Vattuone MA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 of Argentina. J Ethnopharmacol 71(1-2): 109-114. 

  28. Namba, T (1980). Coloured illustrations of Wakan-Yaku. Hoikusha Publishing Co., Ltd., Osaka, Japan. p. 215. 

  29. Oyaizu M (1986). Studies on products of the browning reaction. Antioxidative activities of browning reaction products prepared from glucosamine. Jpn J Nutr 44(6): 307-315. 

  30. Park KY, Jung GO, Lee KT, Choi JW, Choi MY, Kim GT, Jung JJ, Park HJ (2004). Antimu-tagenic activity of flavonoids from the heartwood of Rhus verniciflua. J Ethnopharm 90(1): 73-79. 

  31. Roberta R, Nicoletta P, Anna P, Anath P, Min Y, Catherine RE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al Bio Med 26(9-10): 1231-1237. 

  32. Sato M, Ramarathnam N, Suzuki Y, Ohkubo T, Takeuchi M, Ochi H (1996). Varietal differences in the phenolic content and superoxide radical scavenging potential of wines from different sources. J Agr Food Chem 44(1): 37-41. 

  33. Shin DB, Lee DW, Yang R, Kim JA (2006). Antioxidative propertiesand flavonoids contents of matured Citrus peel extracts. Food Sci Biotechnol 15(3): 357-362. 

  34. Shin SS, Yoon HH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nsapyun with various amounts of Crataegi fructus concentrate. Korean J Culinary Research 17(3): 181-190. 

  35. Szabo MR, Idioiu C, Chambre D (2007). Lupea AX. Improved DPPH determination for antioxidant activity spectrophotometric assay. Chem Pap 61(3): 214-216. 

  36. Van den Berg R, Haenen GR, Van den Berg H, Bast A (1999). Applicability of an improved 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TEAC) assay for evaluation of antioxidant capacity measurements of mixtures. Food Chem 66(4): 511-517. 

  37. Yamashita A, Soga Y, Iwamoto Y, Asano T, Li Y, Abiko Y, Nishimura F (2008). DNA microarray analyses of genes expressed differentially in 3T3-L1 adipocytes co-cultured with murine macrophage cell line RAW264.7 in the presence of the toll-like receptor 4 ligand bacterial endotoxin. Int J Obesity 32(11): 1725-1729. 

  38. Yang J, Du, Y, Huang R, Sun L, Liu H, Gao X, Kennedy JF (2005). Chemical modification and antitumor activity of Chinese lacquer polysaccharide from lac tree Rhus vernicifera. Carbohydr Polym 59(3): 101-1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