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후발효차의 발효기간별 영양성분 및 항산화 활성의 변화
Changes of Nutrient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Fermented Tea during Fermentation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6 no.3, 2013년, pp.398 - 403  

이경행 (한국교통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용식 (한국교통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종열 (한국교통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위생적인 후발효차를 제조하기 위하여 B. subtilis, S. cerevisiae 및 L. bulgaricus를 녹차에 각각 접종하고, 발효기간별로 발효시키면서 제조한 후발효차의 영양성분 및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후발효차에서 검출된 무기질로는 Ca, Fe, Zn, Mg, Mn으로 5종의 무기질이 검출되었으며, 그 중 Ca와 Mg는 비교적 다른 무기질에 비하여 많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총 아미노산 함량은 대조군은 3.57%이었으며, 발효 20일차에서는 모든 발효차에서 대조군보다는 높은 총 아미노산 함량(3.68~3.85%)을 보였다. 금속이온 제거능에서는 대조군은 55.11%였으며, 세 균주간 금속이온 제거능의 차이는 전반적으로 B. subtilis > L. bulgaricus > S. cerevisiae의 순으로 B. subtilis를 이용한 후발효차 제조시 금속이온 제거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환원력은 대조군의 경우 O.D.값이 2.27이었으며, 후발효차에서는 세가지 후발효차 모두 대조군보다는 낮은 환원력을 나타내었다. 후발효차의 지질과산화 억제능은 세 균주로 제조한 후발효차 모두 blank test 결과와 비교할 때 높은 지질 과산화 억제능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manufacture the fermented tea with hygienic quality, green tea was fermented using Bacillus subtilis,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Lactobacillus bulgaricus and mineral composition, total amino acid content and antioxidative activity changes were evaluated during the fermentation period. Mineral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기호성을 갖는 후발효차를 제조하는 과정중 후발효차의 영양성분 및 항산화 활성의 변화를 측정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차는 제조 방법에 따라 어떻게 분류하는가? 차는 제조 방법에 따라 발효시키지 않은 녹차, 10~65% 발효시킨 반발효차, 85% 이상 발효시킨 발효차, 찐 차엽을 오랫동안 적채시켜 공기 중에 존재하는 미생물에 의해 발효되는 후발효차로 분류할 수 있다(Jung & Kim 2003). 후발효차 중의 하나인 보이차는 발효과정 중 가용성분이 증가함에 따라 감칠맛이 증가하게 되는데, 이 가용성분들이 후발효차가 가지는 인기의 이유라 생각된다(Choi & Choi 2003).
차나무는 어느 지역에서 자생하는가? 동백나무과에 속하는 다년생의 상록관목인 차나무(Camellia sinensis)는 중국 운남, 귀주 및 히말라야 기슭의 아샘지역에서 자생하고, 중국, 인도를 비롯한 케냐, 러시아 등 온대, 아열대에 걸쳐 광범위하게 재배되고 있다(Kim JT 1996). 차는 건강증진과 마음의 풍요를 동시에 즐길 수 있어 최근 국내 차 시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Park 등 2009), 소비자의 관심 또한 높아지고, 다양한 종류의 차류들이 시장에 선보이고 있다.
후발효차의 무기질 함량은 차류와 비교하면 어떠한가? 후발효차의 화학 성분을 살펴보면, 원료가 되는 차엽은 잘 성숙한 것이기 때문에, 유기화합물인 카테킨, 카페인 등의 함량이 적고, 당류 등의 함량이 비발효차에 비하여 비교적 많다. 그리고 무기질의 K, P 등의 함량이 차류보다 적고, Ca, Mn, F, Fe 등의 함량 또한 비교적 많이 존재한다(Son 등 2005; Chung & Shin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Choi J, Chun JU, Park JH, Shin GH, Lim KC, Cho KC. 2001. A simple analysis method for chemical components of tea leaves using near-infrared spectroscopy. J Kor Tea Soc 7: 77-89 

  2. Choi OJ, Choi KH. 2003.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wild teas (green tea, semi-fermented tea, and black tea according to degree of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356-362 

  3. Chung YH, Shin MK. 2005. A study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teas according to degree of fermentation. Korean J Food & Nutr 18:94-101 

  4. Jeong CH, Kang ST, Joo OS, Lee SC, Shin YH, Shim KH, Cho SH, Choi SG, Heo HJ. 2009. Phenolic content, antioxidant effect and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y activity of Korean commercial green, puer, oolong, and black teas. Korean J Food Preserv 16:230-237 

  5. Jung DH, Kim JT. 2003. Science of Tea. pp. 51-53. Daekwang Publisher 

  6. Kang OJ. 2008.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yeast strain from fermented tea. Korean J Food Cookery Sci 24:11-15 

  7. KFDA. 2007. Study of the safety evaluation for fermentation tea.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 

  8. Kikuzak H, Nakatani N. 1993. Antioxidant effect of some ginger constituents. J Food Sci 58:1407-1410 

  9. Kim YS, Choi GH, Lee KH. 2010. Changes of chemical components of fermented tea during fermentation period.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1807-1813 

  10. Kim YS, Jo C, Choi GH, Lee KH. 2011. Changes of antioxidative components and activity of fermented tea during fermentation period.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1073-1078 

  11. Korean Food Standards Codex. 2007.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Chungwon, Korea 

  12. Lee YJ, Ahn MS, Hong KH. 1998. A study on the content of general compounds, amino acid, vitamins, catechins, alkaloids in green, oolong and black tea. J Fd Hyg Safety 13:377-382 

  13. Mau JL, Lin HC, Song SF. 2002. Antioxidant properties of several specialty mushrooms. Food Research International 35:519-526 

  14. Park SH, Lee HJ, Ma SJ, Park KH, Moon JH. 2009. An investigation on establishment of index for estimation of quality and preservation period of Pu-erh tea. J Kor Tea Soc 15:59-67 

  15. Shin MK. 1994. Science of green tea. Korean J Dietary Culture 9:433-445 

  16. Son KM, Bae SM, Chung JY, Shin DJ, Sung TS. 2005. Antioxidative effect on the green and puer tea extracts. Korean J Food & Nutr 18:219-224 

  17. Yena GC, Duhb PD, Tsaia L. 2002. Antioxidant and prooxidant properties of ascorbic acid and gallic acid. Food Chem 79: 307-3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