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선편이 농산물 가공업체의 미생물학적 위해 요소 분석 및 중점 관리 지점(CCP)의 검증 -신선편이 엽채류 가공업체를 대상으로-
Microbiological Hazard Analysis and Verification of Critical Control Point (CCP) in a Fresh-Cut Produce Processing Plant -Case Study of a Fresh-Cut Leaf Processing Plant-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1 no.3, 2011년, pp.392 - 400  

김수진 (경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손시혜 (경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민경진 (경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윤기선 (경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선선편이 농산물 및 가공환경 중에 발생하는 미생물학적 위해 요소를 분석하여 공정 중 오염을 유발하는 지점을 재분석하고, 현재 사용되는 HACCP 계획서의 CCP 검증을 통하여 새로운 HACCP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인 A업체의 공장 내의 환경 오염도를 나타내는 공중 낙하균의 구획 분리 등의 관리로 인하여 $10^1$ log CFU/plate/15 min 이하의 대체적으로 낮은 오염도를 보였다. 기구 및 설비에 대한 표면 오염도를 검사 한 결과, E. coli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기구 및 설비의 총균수와 대장균군 오염도는 1~2 log CFU/100 $cm^2$ 수준을 보였다. 그러나 재료가 직접적으로 닿는 기구 중 원재료를 다듬는 도마($4.20{\pm}2.12$ log CFU/$cm^2$)와 세척 후 이용하는 탈수기 의 표면($4.57{\pm}0.92$ log CFU/$cm^2$)의 총균수의 오염도가 높게 나와 도마와 탈수기를 통해 교차 오염의 위험성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업체의 주요 생산 품목인 양상추와 양배추의 공정별 미생물 감소 효과를 본 결과, 양상추와 양배추 원재료의 총균수는 5~6 log CFU/g, 대장균군은 2.5 log CFU/g 정도의 오염도를 보였으며, 박피 및 절단, 1차 세척, 2차 세척, 건조의 과정을 거친 후의 최종 완제품에 대하여 양상추와 양배추의 총균수는 3~4 log CFU/g, 대장균군은 1~2 log CFU/g의 오염도를 보여 공정 과정을 거치는 동안 미생물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2차 세척과 탈수의 과정에서 미생물의 오염도가 유지 또는 증가하여 2차 세척과 탈수 공정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였다. 공정 환경과 공정 효과에 대한 미생물학적 위해 요소를 분석한 결과, 기존의 HACCP 계획서에서 지정한 CCP(1차 세척공정, 금속 검출 공정)외에 세 개의 CP(2차 세척 공정, 탈수공정, 완제품의 저장)를 추가 설정한 새로운 HACCP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environmental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s by sampling the surfaces of processing lines and equipment and to verify CCPs of the HACCP plan in a fresh-cut produce processing plant The level of airborne microorganisms in the processing plant was $10^...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세한 규모의 신선편이 가공업체를 대상으로 업체의 환경 및 엽채류(양상추, 양배추) 가공 공정에서의 미생물학적 위해 요소의 오염 실태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활용되고 있는 업체의 HACCP 계획서의 CCP의 타당성을 재검증하였다.
  • 본 연구는 신선편이 농산물 및 가공환경 중에 발생하는 미생물학적 위해 요소를 분석하여 공정 중 오염을 유발하는 지점을 재분석하고, 현재 사용되는 HACCP 계획서의 CCP 검증을 통하여 새로운 HACCP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인 A업체의 공장 내의 환경 오염도를 나타내는 공중 낙하균은 구획 분리 등의 관리로 인하여 101 log CFU/plate/15 min 이하의 대체적으로 낮은 오염도를 보였다.
  • 본 연구에서 수행한 미생물학적 위해 요소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영세한 규모의 신선편이 농산물 가공업체들이 사용하고 있는 HACCP 계획서에서 CCP를 검증하였다. 신선편이 농산물 가공업체 A의 주요 공정인 세척 공정은 1차 세척·소독(전해수 무격막식), 2차 세척(헹굼) 공정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선편이 농산물의 정의는? 특히 과실과 채소류의 경우, 박피, 세척 등과 같이 단순 처리를 한 신선편이 농산물에 대한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Kim et al 2005). 신선편이 농산물은 최소한의 가공(minimal processing)을 통해 신선한 품질 그대로의 제품을 제공할 수 있도록 신선 과채류를 수확 후 세척, 선별, 박피 및 절단 등의 가공을 통해 즉시 소비할 수 있는 ready-touse 형태의 식품으로 정의된다(King & Bolin 1989). 급식 및 외식 업체에서는 신선편이 농산물은 간편성과 효율성이라는 장점과 더불어 작업 시간 감소 효과와 교차 오염이라는 큰 위해 요소를 감소시키는 방안으로 점차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Lee MJ 2008).
영세한 규모의 신선편이 가공업체들의 HACCP 적용과 관련한 실정은? 또한 식품 회사의 제조 공정도에 맞춰 식품의 위해와 관계없이 일상적으로 관리해야 할 지점 및 공정을 Control Point(CP)로 설정하여 관리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신선편이 가공업체가 영세한 규모이므로 효과적으로 HACCP을 적용하지 못하고 있으며, 해당 작업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해 요소에 대한 분석이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대부분의 위해 요소가 외국 문헌이나 유사한 관련 자료 또는 단순 실험 결과에 의하여 설정됨으로써 국내의 영세한 제조 공정이나 환경 등에서 일어날 수 있는 미생물학적 위해 요소가 HACCP 계획서에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Park KJ 2001).
급식 및 외식 업체에서 신선편이 농산물의 사용이 증가하는 이유는? 신선편이 농산물은 최소한의 가공(minimal processing)을 통해 신선한 품질 그대로의 제품을 제공할 수 있도록 신선 과채류를 수확 후 세척, 선별, 박피 및 절단 등의 가공을 통해 즉시 소비할 수 있는 ready-touse 형태의 식품으로 정의된다(King & Bolin 1989). 급식 및 외식 업체에서는 신선편이 농산물은 간편성과 효율성이라는 장점과 더불어 작업 시간 감소 효과와 교차 오염이라는 큰 위해 요소를 감소시키는 방안으로 점차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Lee MJ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Cha HS, Youn AR, Kim SH, Kwon KH, Kim BS (2007) Evaluation of quality and analysis of hazard management at different seasons of lettu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932-937. 

  2. Cho SD, Youn SJ, Kim DM, Kim GH (2008) Quality evaluation of fresh-cut lettuce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 Nutr 21: 28-34. 

  3. 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1997) 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HACCP) system and guidelines for its application. Annex to CAC/RCP 1-1969, Revision 3, Rome. 

  4.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7) Guide to minimize microbial food safety Hazards of fresh-cut fruits and vegetables. U.S.A. 

  5. Gilbert RJ, De Louvois J, Donovan T, Hooper WL, Nichols G, Peel RN (2000) Microbiological guidelines for some ready-to-eat foods sampled at the point of sale. Communicable Disease and Public Health 3: 163-167. 

  6. Harrigan WF (1998) Laboratory method in food microbiology. 3rd ed. Academic press, San Diego, CA, U.S.A. p 307- 309. 

  7. Harrigan WF, McCance ME (1976) Laboartory methods in food and dairy microbiology. Academic Press, New York. U.S.A. p 231-236. 

  8. Hong SI, Jo MN, Kim DN (2000) Quality attributes of freshcut green onion as affected by rinsing and packag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659-667. 

  9. Huxsoll CC, Bolin HR (1989) Processing and distribution alternatives for minimally processed fruits and vegetables. Food Technol 43: 124-128. 

  10. Kang YJ (1990) The properties and measurement of airbone microorganisms as a microbial food contamination. Korean Dairy Technol 8: 7-14. 

  11. Kim BS, Chang MS, Park SY, Cha HS, Kwon KH (2008) Effect of temperature and packing type on quality of freshcut sesame leaf.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231-238. 

  12. Kim BS, Lee HO, Kim JY, Yoon DH, Cha HS, Kwon KH (2009) Microbial contamination in a facility for processing of fresh-cut leafy vegetables. Korean J Food Preserv 16:573-578. 

  13. Kim GH, Luo Y, Tao Y, Saftner RA, Gross KC (2005) Effect of initial oxygen concentration and film oxygen transmission rate on the quality of fresh-cut romaine lettuce. J Sci Food Aric 85: 1622-1630. 

  14. Kim HY, Lee YH (2009) A study on the microbiological quality of vegetables in relation to the sanitization method used and vegetable types. Korean J Food Cookery Sci 25:632-642. 

  15. Kim JK (2007) Fresh(fresh-cut) agri-food industry and quality management. Semyoung, Korea. p 79-82. 

  16. King jr AD, Bolin HR (1989) Physiological and microbiological storage stability of minimally processed fruits and vegetables. Food Technol 43: 132-135. 

  17.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KFDA) (2008) Pilot project report: Application of HACCP system in pre-processing plant of food. p 122-136. 

  18.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KFDA) (2009) Easy HACCP management. p 135-138. 

  19.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KFDA) (2010) Code of food. Available from: http://foodnara.go.kr 

  20. Lee HO, Kim JY, Yoon DH, Cha HS, Kim GH, Kim BS (2009a) Microbial contamination in a fresh-cut onion processing facility. Korean J Food Preserv 16: 567-572. 

  21. Lee JH (2005) Verification of the HACCP system in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and efficacy of personal hygiene management practices and sanitization of fresh vegetables. M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p 82. 

  22. Lee MJ (2008) A feasibility study of using preprocessed and fresh-cut vegetables for school foodservices in GyeongGi province. MS Thesis Dankook University. Seoul. p 5-6. 

  23. Lee YS, Kim SH, Kim DH (2009b) Current status of fresh-cut produce market in Korea and stimulus measures.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Korea. p 16-19. 

  24.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MEST) (2009) Guideline hygiene management of school food service. Available from: http://mest.go.kr 

  25. Park KJ (2001) Application of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in sanitation management model for ice cream processing. Ph 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p 14-43. 

  26. Park YS (2000) Evaluation of hygienic status of university foodservice operation using ATP bioluminescence assay. Korean J Food Cookery Sci 16: 195-201. 

  27. Paulson DS (1992) Evaluation of three handwash modalities commonly employed in the food processing industry. Dairy Food & Envir Sanit 12: 165-173. 

  28. Seo JE, Lee JK, Oh SW, Koo MS, Kim YH, Kim YJ (2007) Changes of microorganisms during fresh-cut cabbage processing: Focusing on the changes of air-born microorganisms. J Food Hyg Safety 22: 288-293. 

  29. Seol HR, Park HS, Park KH, Park AK, Ryu K (2009) Microbiological evaluation of foods and kitchen environments in childcare center and kindergarten foodservice opera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252-260. 

  30. Stringer MF (1994) Safety and quality management through HACCP and ISO 9000. Dairy Food & Envir Sanit 14:428-481. 

  31. Varzakas TH, Arvanitoyannis IS (2008) Application of ISO 22000 and comparison to HACCP for processing of ready to eat vegetables: Part I. Int J Food Sci Technol 43:1729-1741. 

  32. Willocx F (1995) Evolution of microbial and visual quality of minimally processed foods: A case study on the product life cycle of cut endive. Ph D Dissertation. Katholic University of Leuven, Belgium. p 226-228. 

  33. Yoon AR, Kim BS, Kim SH, Kwon KH, Cha HS (2007) Quality evaluation and residual pesticides of lettuce during growth after transplanting. Korean J Food Preserv 14:124-13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