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교숲의 식재현황 및 인식 분석 -경상북도 지역을 대상으로-
An Analysis of Planting Status and Awareness on School Forest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14 no.3, 2011년, pp.33 - 45  

장정선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  정성관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  이우성 (텍사스 A&M대학교 조경 및 도시계획학과) ,  유주한 (동국대학교 조경학과) ,  김경태 (경북대학교 환경과학기술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strategic direction of school forest based on the analysis of planting species and status and environmental consciousness of students on 9 elementary schools in Gyeongsangbuk-Do.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of planting status, the green space 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학교숲이 조성된 경상북도의 9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학교숲의 실태를 파악하고, 학생들의 환경인식 및 학교숲에 대한 요구도를 조사하여 바람직한 학교숲 조성을 위한 방향을 설정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학교숲 조성사업이 진행되었거나, 진행 중인 경상북도의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학교숲의 현황 및 실태를 파악하고, 학생들의 학교숲에 대한 인식과 참여율, 조성방향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바람직한 학교숲 조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따라서 이러한 학교숲은 올바른 실태조사를 통해 정확한 환경파악이 이루어져야 하며, 학생들의 환경인식을 토대로 조성 방향이 결정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상의 학교숲 현황조사 및 환경인식 분석을 토대로 바람직한 학교숲 조성을 위한 몇 가지 방향을 제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교숲에 대한 올바른 실태조사를 통해 정확한 환경파악을 수행하고 학생들의 환경인식을 토대로 조성 방향을 결정하기 위해, 학교숲 현황조사 및 환경인식 분석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 제언한 학교숲 조성 방향은? 첫째, 학교숲에 대한 인식 및 중요성 등을 학생들에게 이론적으로 주입시키는 것보다 학교숲의 조성과 관리에 학생들을 참여시킴으로써 학교숲에 대한 중요성을 일깨워 줄 수 있으며, 환경교육의 필요성을 스스로 깨닫게 해야 할 것이다. 또한, 교사 및 학부모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학생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이를 통해 학교숲에 대한 인식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이슬기 등(2009)의 결과에 따르면, 학생들은 학교숲 조성 이후 수목의 수량, 그늘 제공, 새 및 곤충의 관찰 등의 항목에 대한 만족도가 높기 때문에 우선적인 학교숲의 조성방향은 수목의 양적인 증가와 녹음수 및 유실수의 증가를 통한 녹음과 조류의 도입이 필요할 것이다. 셋째, 학교의 소재 위치에 따라 학생들의 참여의지와 조성방향에 대한 인식에는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도시지역의 학교들은 학교숲을 조성할 때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해야 할 것이며, 비도시지역 학교에서는 단조로우며, 일률적인 식재패턴 보다는 특색 있고, 변화있는 공간의 조성이 필요할 것이다. 넷째, 학생들은 낙엽활엽교목, 상록활엽교목을 선호하고, 화목류, 유실수, 방향성의 수목을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식재계획 시 이를 고려하여 식물 종을 선택하고, 공간을 조성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다섯째, 학교숲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종류의 꽃과 나무가 식재되어야 하며, 학교숲을 활용할 수 있는 교재나 프로그램이 우선적으로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지자체나 교육청의 적극적인 지원을 토대로 더 넓은 공간의 학교숲 조성이 이루어져야 하며, 조성 이후에도 지속적인 관리를 통해 항상 아름다운 학교숲을 유지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장철규 등, 2009).
학교숲은 무엇인가? , 2007). 숲은 많은 유형을 가지고 있는데, 그 중 학교숲은 학교 부지 내에서 환경교육과 환경개선을 목적으로 조성되는 숲을 말한다. 이러한 학교숲은 도시 내에서 자연과 접할 기회가 극히 부족한 학생들에게 자연과 만날 수 있는 기회를 줄 뿐만 아니라 옥외환경교육을 위한 장소를 제공한다.
학교숲 가꾸기는 무엇의 일환으로 시작되었는가? 학교숲 가꾸기는 1990년대 영국, 미국, 일본 등의 선진국에서 지역의 환경개선과 학교옥외환경을 교육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사회운동의 일환으로 시작하였다(김인호, 1998). 우리나라에서도 1999년 사단법인 생명의숲 국민운동(이하 생명의숲)을 중심으로 한 ‘학교숲 가꾸기’ 운동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이외에도 ‘아름다운 학교 만들기’, ‘녹색학교 만들기’ 등 다양한 명칭 및 지원체계로 전개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김수봉, 정응호, 전은정. 2006. 학교공원 조성에 대한 학교구성원과 지역주민의 의식조사. 환경과학논집 11(1):219-230. 

  2. 김인호. 1998. 학교조경의 환경교육적 활용을 위한 국내.외 사회단체활동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식물.인간.환경학회지 1(2):1-16. 

  3. 김인호. 2002. 학교조경활동 참여에 따른 환경태도 변화에 관한 연구 : 초등학생 학교조경 참여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김인호. 2007. 친환경 학교를 위한 학교숲 운동 개선방안 : 행정주도의 학교숲 조성사업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시설학회지 14(1):121-129. 

  5. 김인호. 2007. 친환경 학교를 위한 학교숲 운동 개선방안 : 행정주도의 학교숲 조성사업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시설학회지 14(1):121- 129. 

  6. 이상호. 1997. 서울시 녹색네트워크 형성을 위한 녹지확충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연구보고서. 

  7. 이슬기?장정선?정성관?유주한. 2009. 삼각퍼지수를 활용한 학교숲 만족도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37(3):1-10. 

  8. 장철규?정성관?장정선?김경태?오정학. 2009. 초등학생들의 만족 유형을 고려한 학교숲 조성방향. 한국조경학회지 37(4):42- 51. 

  9. 전영우 등. 1999. 숲이 있는 학교 : 학교숲 가꾸기 매뉴얼. 서울 : 이채. 

  10. 정현모. 2001. 학교숲의 환경교육적 활용에 대한 연구. 지리.환경 교육 9(2):125-137. 

  11. 정현모. 2002. 학교숲의 환경교육적 활용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조병완?박봉우. 2006. 학교 구성원의 학교숲 인식과 바람직한 숲 조성방안 : (사)생명의숲 강원영서지역 시범학교를 중심으로. 한국식물.인간.환경학회지 9(2):96-104. 

  13. 조세환?김태현. 2004. 초등학교 환경교육을 위한 학교조경 실태분석 : 서울시 사례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2(1):127-135. 

  14. 차혜연. 1999. 학교공원 제도 도입에 관한 연구 : 서울시 강동구 강덕초등학교와 고덕중학교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Chawla, L. 1998. Significant life experiences revisited : A review of research on sources of environmental sensitivity. Th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29(3):11-21. 

  16. Dwyer, J. F., E. G. Mcpherson, J. W. Schoeder and R. A. Rowntree. 1992. Assessing the benefits and costs of the urban forest. Journal of Arboriculture 18(5):227-234. 

  17. Landsberg, H. E. 1981. The Urban Climate. New York : Academic Press. 

  18. O'Brien, L., and R. Murray. 2007. Forest school and its impacts on young children : Case studies in Britain. Urban Forestry & Urban Greening 6:249-265. 

  19. Wong, N. H., S. K. Jusuf, A. A. L. Win, H. K. Thu, T. S. Negara and W. Xuchao. 2007. Environmental study of the impact of greenery in an institutional campus in the tropics. Building and Environment 42:2949-29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