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검색의도 파악을 위한 질의어 관계유형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Types of Queries' Relations for Recognizing User intention 원문보기

한국지능시스템학회 논문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v.21 no.4, 2011년, pp.414 - 422  

권순진 (세종대학교 디지털콘텐츠학과) ,  김원일 (세종대학교 디지털콘텐츠학과) ,  유성준 (세종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정보 검색(Information Retrieval)과정에 있어 검색 기술의 적합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질의어 사이의 유용한 관계를 드러내도록 사례를 분석하고, 질의자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게끔 구체화하도록 연구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질의어가 가지는 어휘 의미적 연구 분야와 존재론적 연구 분야의 관련 연구들을 분석하였으며, 국내.외의 어휘 의미론적 네트워크 사례와 정보 검색 기술이 적용된 사이트의 실제 데이터를 분석하여 관계 유형을 추출하고 분석하였다. 다음으로는 일반적으로 검색자가 직면하는 검색 상황에서 자주 발생하는 문제를 중심으로 문제점을 정의하여 해결 방안을 모색하였다. 현행 검색 기술에서 색인어와 질의어를 단순 비교하여 결과를 쏟아주는 검색은 사용자를 혼란하게 하기 때문에 개선이 필요하고, 질의자의 의도에 맞는 질의 결과를 줄 수 있도록 지능적 검색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 문제점 해결 방안에 있어서는, 두 질의어 사이의 관계를 드러냄으로써, 검색자의 의도를 인식하고 식별 및 처리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였다. 질의어들에 관한 실제 사례를 분석하고 관계 유형을 9가지로 분류함으로써, 관계 유형을 디자인하는 방법을 적시하였으며, 관계 유형의 명칭 부여와 관계 역할의 명칭을 부여할 수 있는 방법과 제한점도 예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R (Information Retrieval) systems have the methods that compare relationships between query and index to identify document that may be fit to the user's query keyword. However, the methods usually ignore the importance of relations that are not expressed in the query. Therefore, in this study, we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것의 디자인은 인간의 어휘의 메모리에 관한 심리-언어학적(psycho-linguistic) 이론에 근거한다. 그것의 구축은 어휘집이 어떻게 어휘-의미론적 관계로 구조화하는지 방법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해 준다. 예를 들어 명사들은 주로 ISA 및 부분-전체 관계로 구조화된다.
  • 주로 사용되는 곳은 사전이나 어휘 의미망들에 사용될 목적의 기초 연구들로 보인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의미 관계 집합들을 기초로 하여 의도 기반을 만들기 위한 관계 유형의 사례 연구에 목적이 있으므로, 관계의 유형 분류 또한 여기에 집중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맛집을 찾는 경우나 세미나를 찾는 경우 이다(그림2).
  • 두 질의어로 질의자의 의도를 유추할 수 있도록 ‘한정하는 관계’를 식별하고 추출하는 방안과 의도의 기준을 설정할 수 있는 요소를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주된 문제이다.
  • 본 연구에서는 정보 검색(Information Retrieval) 과정에 검색 기술의 적합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질의어 사이의 유용한 관계를 드러내는 사례를 분석하고 질의자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게 구체화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질의 의도 관련 연구를 살펴보고 주요기관의 정보 검색 질의어 데이터 사례를 분석해 봄으로써, 질의어 사이의 유용한 관계를 드러낼 수 있게 하고 구체화할 수 있는 요소를 제시하는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이는 검색자의 의도를 파악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질의어의 관계 유형을 정규화 하는 첫 단계라는 의미가 있다.
  • 이는 검색자의 의도를 파악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질의어의 관계 유형을 정규화 하는 첫 단계라는 의미가 있다. 아울러 관계 유형의 명칭과 역할 부여하는 방법을 예시함으로써 의도 기반 검색 기술이 발전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는 의의를 기대해보고자 한다.
  • 의미관계는 상위 문서와의 관계, 문서 간의 관계, 문서 내 문장 간의 관계, 문장 내의 절 또는 구 간의 관계, 단어와 단어 간의 관계, 2 개 질의어 간의 관계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관계의 간단한 경우가 단어 간의 관계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가장 기초적인 2 개 단어 간의 의미적 관계를 분석 대상으로 하여 의도의 중층적 구조와 접목할 수 있는 지점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보 검색 기술은 어떻게 발전해왔는가? 정보 검색 기술은 통계적 벡터 모델과 자연어 처리를 기반으로 질의어와 색인 문자열을 비교하여 그에 일치하는 문자열이 포함된 문서를 찾아 보여 줄 수 있도록 발전해왔다. 그러나 현행 검색 기술은 질의어를 색인어와 비교하여 그결과를 반환하므로, 질의자의 의도와 관계없는 문서를 대량 으로 보여 주면서 재검색하는 비효율성 문제가 있다.
정보 검색 과정에 있어서, 질의자에게 적절한 답변을 주기 위해서는 무엇을 파악할 수 있어야 하는가? 정보 검색(Information Retrieval) 과정에 있어서, 질의자 에게 적절한 답변을 주기 위해서는 질의자의 의도를 파악할수 있어야 한다. 이는 검색창의 질의어(쿼리:query)만으로 의도를 파악하기 위해 질의어들의 관계를 인식할 수 있어야 함을 뜻한다.
현행 정보 검색 기술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정보 검색 기술은 통계적 벡터 모델과 자연어 처리를 기반으로 질의어와 색인 문자열을 비교하여 그에 일치하는 문자열이 포함된 문서를 찾아 보여 줄 수 있도록 발전해왔다. 그러나 현행 검색 기술은 질의어를 색인어와 비교하여 그결과를 반환하므로, 질의자의 의도와 관계없는 문서를 대량 으로 보여 주면서 재검색하는 비효율성 문제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캐롤쿨싸우 저 김효정?이병기 공역, 정보탐색과정론, p145-,150-, 한국디지털도서관포럼, 2000 

  2. C-H.L. Lee and A. Liu, "Modeling the Query Intention with Goals," Proceedings of the 1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dvanced Information Networking and Applications (AINA'05), vol. 2, pp. 535-540, 2005 

  3. C.S.G. Khoo and J.C. Na, "Semantic Relations in Information Science," Annual Review of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vol. 40, pp. 157-228, 2007. 

  4. B.J. Jansen, D.L. Booth and A. Spink, "Determining the informational, navigational, and transactional intent of Web queries," Information Processing and Management, vol. 44. no. 3, pp. 1251-1266, 2008 

  5. E. Adar, J. Teevan, and S.T. Dumais, "Large Scale Analysis of Web Revisitation Patterns," Proceeding of the twenty-sixth annual SIGCHI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pp. 1197-1206, 2008, Available: dl.acm.org, 2011.3.1 

  6. M.L. Murphy, Semantic relations and the lexicon: Antonym, synonymy, and other paradigm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7. M.L. Murphy 저, 임지룡 윤희수 옮김, 의미관계와 어휘사전 : 반의관계, 동의관계, 기타 계열들, 박이정, 2008. 

  8. J.F. Sowa, Conceptual structures: Information processing in mind and machine, Reading, MA:Addison-Wesley, 1984. 

  9. A. Cruse, Meaning in language: An introduction to semantics and pragmatic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10. J.W. Alba and L. Hasher, "Is memory schematic?" Psychological Bulletin, vol. 93, no. 2, pp. 203-231, 1983, Available: www.psych.utoronto.ca, 2011.3.1. 

  11. M. Minsky, "A framework for representing knowledge," AI Memo, no. 306, MIT A.I.Lab., 1974 

  12. D.E. Rumelhart and A. Ortony, "The representation of knowledge in memory," pp. 99-135, 1976, Available: www.cs.northwestern.edu, 2011.3.1. 

  13. R.C. Schank and R.P. Abelson, Scripts, plans, goals, and understanding,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77. 

  14. R.C. Schank, Dynamic memory: A theory of reminding and learning in computers and peop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2. 

  15. K.R. Butcher and W. Kintsch, "Text comprehension and discourse processing," In I.B. Weiner (Ed.) Handbook of psychology, vol. 4, pp. 575-595, 2003, Available: books.google.co.kr, 2011.3.1 

  16. P. Whitney, D. Budd, R.S. Bramucci and R.S. Crane, "On babies, bathwater, and schemata: A reconsideration of top-down processes in comprehension," Discourse Processes, vol. 20, no. 2, pp. 135-166, 1995 

  17. M.W. Evens, Relational models of the lexicon: Representing knowledge in semantic network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18. J.F. Sowa, Knowledge representation: Logical, philosophical, and computational foundations, Pacific Grove, CA: Brooks/Cole, c2000 

  19. O. Werner, "How to teach a network: Minimal design features for a cultural acquisition device or C-KAD," In M.W. Evens (Ed.), Relational models of the lexicon: Representing knowledge in semantic networks (chap. 6, pp. 141-166).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20. R.E. Asher, (Ed.), The encyclopedia of language and linguistics, Oxford: Pergamon Press, 1994 

  21. F.W. Lancaster, Vocabulary control for information retrieval, Arlington, VA: Information Resources Press, 1986 

  22. 이희자 우재숙, "국어사전의 '관련어' 연구," pp. 171-172 '관련어 정의의 포함관계', 한국사전학 제7호 ,2006.4. 

  23. 장기성, "성구소의 형식과 의미 관계" 언어과학연구, 제22권, 2002 

  24. 김선희, "데이빋슨의 의도(Intention)이론", 철학, 제31권, 1989 ( 및 D.O. Case의 정보추구행태론(2004)의 pp. 59-60의 의도와 행위 참조) 

  25. S. Carberry, "Modelling the User's Plans and Goals," Computational Linguistics, vol. 14, no. 3, 1988. 

  26. 미국 Berkeley 대학교, "FrameNet project", Available: framenet.icsi.berkeley.edu, 2011.3.1 

  27. 일본 게이오 대학교, "Japanese FrameNet", Available: jfn.st.hc.keio.ac.jp , 2011.3.1 

  28. C. Fellbaum, (Ed.)., WordNet: An electronic lexical database, Cambridge, MA: MIT Press, 1998 

  29. G.A. Miller and C. Fellbaum, "Semantic networks of English," Cognition, vol. 41, no. 1-3, pp. 197-229, 1991 

  30. G.A. Miller, "WordNet: A lexical database," Communication of the ACM, vol. 38, no. 11, pp. 39-41, 1995 

  31. A. Alonge, N. Calzolari, P. Vossen, L. Bloksma, I. Castellon, M.A. Marti, and W. Peters, "The linguistic design of the EuroWordNet Database," Computers and the Humanities, vol. 32, no. 2-3, pp. 91-115, 1998 

  32. 김태석, "병렬 코퍼스를 기반으로 하는 한국어 프레임넷 구현에 관한 연구," 동의대 석사학위 논문, 2006 

  33. 방성원 호정은 김종인, "세종 의존명사/대명사/수사 전자사전의 정보표상 구조," 2001년도 제13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2001.10),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 학술발표 논문집, pp. 341-347 

  34. 국립국어원, "21세기 세종계획, 전자사전 개발," Available: www.sejong.or.kr/, 2011.3.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