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성의 리더십역량이 직무 및 조직생활 만족, 경력경로 개발의지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Career Women's Leadership Competences on the Job and Organization Life Satisfaction and the Willing to the Career Path Development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1 no.8, 2011년, pp.289 - 299  

박민아 (나이스 R&C 주식회사)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취업여성의 리더십역량과 조직생활만족, 경력경로개발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선행 연구를 토대로 가설 및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취업중인 여성 250명을 표본으로 추출하여 그들의 리더십역량이 직무 및 조직생활만족과 경력경로 개발의지 및 그 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실증조사를 수행하였다. 더불어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구조방정식모형구축 및 검증 등의 통계적 처리를 위하여 Spss15.0과 Amos7.0을 이용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로서 여성의 리더십역량은 직무 및 조직생활만족과 경력경로 개발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여성의 경력경로개발의지를 촉진하는 데에는 직무 및 조직생활만족이 매개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on the (employment) women's leadership competencies was tested with career paths development and job and organizational life satisfaction. The hypotheses and research model were set based on previous studies. To the total 250 samples(;employed and married women) were on survey about lead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결혼 · 출산 · 육아로 인한 여성의 경력단절은 개인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 숙련된 인적자원의 활용을 어렵게 하여 많은 경제비용을 초래한다. 따라서 연구의 대상을 기혼의 여성취업자로 제한하여 경제활동기간을 지속하고 있는 여성의 경우 그들의 리더십역량이 직무 및 조직생활만족과 경력경로 개발의지에 긍정적 영향을 발휘하는 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특히 결과의 신뢰성을 위하여 조직생활을 충분히 경험하고, 여성 스스로 자신의 리더십역량에 대한 평가가 가능하며 그 필요성을 충분히 지각하는 경력 5년 이상의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 여성에게 필요하며 조직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여성의 리더십역량을 자기확신 역량, 커뮤니케이션 역량, 창조적 혁신역량, 임파워 먼트 역량으로 구성하였으며, 이러한 여성의 리더십역량 정도가 여성의 직무 및 조직생활만족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 볼 것이다. 또한 경력단절로 인한 기회비용의 생성을 막고 여성의 경력경로개발을 촉진할수 있는 요소로서 리더십역량과 직무 및 조직생활만족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여성 개인의 인적자원으로서의 발전과 조직내부자원으로서 공헌도를 높이기 위하여 개인과 조직사회가 나아가야 할 교육·훈련의 방향을 실증연구를 통하여 제시해 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4]에서 제시하고 있는 여성에게 필요하며 더욱 효과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여성의 리더십역량을 자기확신 역량, 커뮤니케이션 역량, 창조적 혁신역량, 임파워먼트 역량으로 구분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조직생활을 수행하는 여성에게 요구되는 리더십역량으로 우선, 자기확신역량의 필요성을 들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여성의 ‘리더십역량’과 ‘직무 및 조직 생활만족’, ‘경력경로 개발의지’ 와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 이처럼 경력개발이 적극적으로 진행되지 못하는 데에는 결혼, 출산, 육아 등 여성 개인 환경의 변화뿐만 아니라 이를 유연히 이끌어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조직 내·외적 환경의 영향도 무시할 수 없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여성의 직무 및 조직생활만족의 구성 요인을 크게 직무 및 역할의 만족 그리고 조직에 대한 몰입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직무만족이란 개인이 직무수행이나 직무평가를 통해 얻게 되는 유쾌함이나 좋은 정서 상태를 말한다[14].
  • 본 연구에서는 측정문항에 대한 응답결과의 신뢰성에 기여하고자 표본선정에 있어 연령, 업종, 직위의 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였다[표 1]. [표 2]는 측정 개념별 문항 수와 설문항목, 신뢰도 검증의 결과이다.
  • 본 연구의 의의는 그간의 연구들이 조직 내 리더십역량의 성별차이에 초점을 두거나, 취업여성에 대한 사회·경제적 차원의 실태조사에 불과하였던 것과는 다르게 성공적인 조직(생활)을 유지하기 위한 방안을 여성 개인과 조직 차원에서 살펴보고자 한 점이다.
  • 본 연구에서는 여성의 ‘리더십역량’과 ‘직무 및 조직 생활만족’, ‘경력경로 개발의지’ 와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여성에게 필요하며 조직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여성의 리더십역량을 자기확신 역량, 커뮤니케이션 역량, 창조적 혁신역량, 임파워 먼트 역량으로 구성하였으며, 이러한 여성의 리더십역량 정도가 여성의 직무 및 조직생활만족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 볼 것이다. 또한 경력단절로 인한 기회비용의 생성을 막고 여성의 경력경로개발을 촉진할수 있는 요소로서 리더십역량과 직무 및 조직생활만족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 이것을 제4가설에서 제시한 ‘직무 및 조직생활만족’의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 즉, 인적자원으로서 여성이 갖추어야 할 리더십역량을 구성하고 직무 및 조직생활만족과 경력경로개발의 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서 여성 스스로가 개인의 성장을 위해 노력해야 할 부분과 조직차원에서 내부 인적자원의 성공적 개발·활용을 위한 지원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가설 2. 여성의 리더십역량은 경력경로 개발의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직무 및 조직생활만족은 직무수행능력,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조직생활만족(동료, 상하관계 등) 등의 내용이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여성의 리더십역량이 조직을 이해하고 성공적인 조직생활을 가능하도록 하는데 영향을 발휘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가설1]을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패턴이 M자 형태를 보이는 이유는? 우리나라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패턴은 선진국의 거꾸로 된 U자 형태가 아닌 M자 형태를 띠고 있다. 노동시장으로의 진입이 상대적으로 쉬운 20대에 상승했다가 30대 이후 결혼, 육아 등의 이유로 퇴장, 다시 40대에 진입하면서 기존의 경력이 단절되거나 오히려 경력하락을 경험하면서 종종 경력과 무관한 직종으로 선회하게 된다. 이처럼 경력개발이 적극적으로 진행되지 못하는 데에는 결혼, 출산, 육아 등 여성 개인 환경의 변화뿐만 아니라 이를 유연히 이끌어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조직 내·외적 환경의 영향도 무시할 수 없을 것이다.
우리나라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패턴은? 우리나라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패턴은 선진국의 거꾸로 된 U자 형태가 아닌 M자 형태를 띠고 있다. 노동시장으로의 진입이 상대적으로 쉬운 20대에 상승했다가 30대 이후 결혼, 육아 등의 이유로 퇴장, 다시 40대에 진입하면서 기존의 경력이 단절되거나 오히려 경력하락을 경험하면서 종종 경력과 무관한 직종으로 선회하게 된다.
직무만족이란? 본 연구에서는 여성의 직무 및 조직생활만족의 구성 요인을 크게 직무 및 역할의 만족 그리고 조직에 대한 몰입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직무만족이란 개인이 직무수행이나 직무평가를 통해 얻게 되는 유쾌함이나 좋은 정서 상태를 말한다[14]. 선행연구에서는 직무만족을 발전(승진에 대한 기회), 부가급부(휴가, 연금, 보험, 질병수당), 회사에 대한 자부심, 동료(유쾌하고 마음에 맞는 동료), 근무시간, 임금, 직무안전, 감독, 작업유형, 작업조건 등 10개 요소로 구성하여 남성과 여성의 차이를 제시하면서 각자에게 그 우선순위가 달라지며, 시간·연령·교육수준·이전 직업 등에 의해서도 변한다[15]고 지적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L. Thompson, "Family work: Women's sense of fairness", Journal of Family, Issues.12, pp.181-196, 1991. 

  2.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경제위기와 기업의 인력활용", e-HRD Review 12-14호. p.16. 2009. 

  3. L. Mainiero, "Getting anointed for advancement : The case of executive women," Academy of Management Executive Vol.8, No.2, pp.53-67, 1994. 

  4. 조병남, 박민아, "리더십핵심역량의 개발과 시행;, 2006 리더십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 리더십학회, pp.21-56, 2006. 

  5. G. Brown and B. I. Irby, Career Advancement: Projecting Confidence, in: G. Brown & B. I. Irby, Wonmen and Leadership, p.103, 1997. 

  6. 강형철 외 6인, 21세기 여성 리더십 모델, 숙명여대 출판국, 2006. 

  7. I. Sue. Shepard, Communication: Balancing the gender difference, Women and Leadership, p.45, 1998. 

  8. B. Ragins, B. Townsend, and M. Mattis, "Gender gap in the executive suite : CEOs and female executives report on breaking the glass ceiling," Academy of Management Executive Vol.12, No.1, pp.28-42, 1998. 

  9. B. Morris, "The trailblazers :Women of Harvard's MBA Class of '73," Fortune, Vol.12, pp.106-125, 1998(10). 

  10. M. D. Mumford, S. J. Zaccaro, M. S. Connelly, M. A. Marks, and J. A. Gilbert, "Assessment of leader problem-solving capabilities," Leadership Quarterly Vol.11, No.1, pp.37-64, 2000. 

  11. R. Eisler, The Chalice and the Blade. San Francisco: Harper San Francisco, 1987. 

  12. V. O'Brien, The Fast Forward MBA in Business, New York:John Wiley & Sons., Inc. 1996. 

  13. A. Eagly, and B. Johnson, "Gender and emergency of leaders : A meta analysis," Psychological Bulletein 108, pp.233-256, 1990. 

  14. E. A. Locke, The nature and causes of job satisfaction. In M.D. Dunnette(Ed.),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 Chicago: Rand McNally. pp.1297-1349, 1976. 

  15. 강용수. "고객보상프로그램과 판매원 직무만족이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부산대 박사학위논문, 2005. 

  16. R. T. Mowday, L. W. Porter, and R. M. Steers, Employee-organizational linkages : The psychology of commitment, absenteeism, and turnover, New York: Academic Press, p.27, 1982. 

  17. A. Morrison, The new leaders, San Francisco: Jossey-Bess, 1992. 

  18. J. E. Russell, "Career development interventions in organizations," Journal of Voc ational Behavior, Vol.38, pp.237-287, 1991. 

  19. D. T. Hall, Introduction: long live the career - a relational approach. In D. Hall (Eds.), The career is dead: long live the career, San Francisco, CA: Jossey-Bass Publisher, pp.1-12, 1996. 

  20. 이지연, 정윤경, 정창원, 경력개발 프로그램개발 및 시범적용 I: 중소기업근로자의 경력개발 요구 조사중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0 

  21. 고혜원, 김상호, 박천수, "고학력 경력단절 여성의 직업능력개발과 재취업 촉진",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p.134-138, 2007. 

  22. 배을규, 박미숙, 김대영, "교육행정직의 목표지향성, 학습조직준비도, 직무만족도의 관계", 인력관리연구, 제11권, 제3호, pp.277-298, 2009. 

  23. 이주희, 기업내 여성 인적자원관리현황 및 활성화 방안 연구, 여성부, 2002. 

  24. 박수미, "한국여성들의 두 번째 노동시장 이행에 대한 종단적 연구", 한국여성학, 제19권, 제1호, pp.43-80, 2003. 

  25. 민무숙, 허현란, 김형만, 여대생의 직업세계로의 이행을 위한 대학의 지원현황과 정책과제, 한국여성개발원, 2002. 

  26. 윤형숙, "여성의 직업생활 경험과 삶의 질: 전문직 여성과 비공식부문 여성의 생활 만족도의 분석", 여성연구, 제7권, pp.49-93, 1999. 

  27. T. G. Gutteridge, Z. B. Leibowitz, and J. E. Shore, Organizational career development: Benchmarks for building a world-class workforce, San Francisco: Jossey-Bass, 1993. 

  28. J. R. Hackman and E. E Lawler III, "Employee Reactions to Job Characteristic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Monograph, Vol.55, pp.259-286, 1971. 

  29. C. Fornell and D. F. Larcker,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o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19, No,4, pp.440-452 1981.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