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호텔기업 중간관리자의 조직몰입-직무가치-직무만족 경합모델
Competitive Model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Work Values and Job Satisfaction of the Middle Management in Hotel Enterprise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1 no.8, 2011년, pp.388 - 398  

박숙진 (한국관광평가연구원) ,  김태헌 (조선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호텔기업 중간관리자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조직몰입, 직무가치, 직무만족 그리고 충성도에 관한 실증분석을 시도하고 있다. 즉, 호텔 중간관리자들의 조직에 대한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수와 독립변수의 경합모형을 개발하여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분석 결과, 호텔중간관리자의 직무가치가 조직몰입과 직무만족간의 매개역할을 하지 않고 상호 독립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으며, 직무가치의 경로분석에서는 내재적 가치가 외재적 가치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호텔중 간관리자들은 근속몰입을 하고 있으며 직무에 높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음이 확인되었는바, 조직몰입과 충성도간의 직접적인 경로가 가장 높은 경로계수를 나타내어 깊은 상관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직무만족과 충성도간에는 정(+)의 인과관계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호텔기업 중간 관리자들은 경제적 안정성 때문에 직무몰입과 직무에 만족하기 보다는 전문성으로 대변되는 호텔리어의 내재적 가치에 직장의 의미를 두고 있으며, 조직몰입변수인 평생직장 소속감 자긍심이 인지될 때 충성도에 가장 민감한 영향을 준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s a correlation between organizational commitment, work values, job satisfaction and loyalty of the middle management in hotel enterprises. In other words, this research aims at drawing up theoretical and working-level implication through establishing the competition model of para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분석은 직무가치, 직무만족의 경합모형 평가과정으로 두 모형간의 경로 감소를 통하여 직무가치요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보고 매개변수와 독립변수로서의 역할을 파악하는 데에 의미가 있다. 두 경합모형의 경로분석 결과는 [그림3]과 [그림4]에 제시하였다.
  • 이에 본고에서는 호텔기업 중간관리자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조직몰입, 직무가치, 직무만족 그리고 충성도에 관한 실증분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즉 호텔 중간관리자들의 직무만족도 과정을 모델링하기 위해 직무가치를 매개변수와 독립변수의 경합모델로 구성하여 직무가치의 역할을 규명한 후, 호텔기업경영에 중요시되고 있는 직무가치에 관한 최종 모델을 수립하여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즉 호텔 중간관리자들의 직무만족도 과정을 모델링하기 위해 직무가치를 매개변수와 독립변수의 경합모델로 구성하여 직무가치의 역할을 규명한 후, 호텔기업경영에 중요시되고 있는 직무가치에 관한 최종 모델을 수립하여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본 연구모형은 직무만족에 관한 경쟁모델로 직무가치의 역할을 두 가지의 방법 즉 매개효과와 독립변수효과로 나누어 분석하는 연구모형이다. 모든 변수들간의 인과관계는 정(+)의 관계로 비교 가능한 조건[1][33]으로 가정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직무가치란 무엇인가? 직무가치란 한 개인이 자신의 직무를 통하여 바라는 궁극적인 목표를 의미한다. 즉 조직구성원의 개인적 사고인 직무가치는 직무에 대한 신념 및 선호의 정도라는 점에서 전통적으로 조직구성원의 행동을 예측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변수로 사용되어 왔다[20].
호텔 중간관리자를 대상으로 조직몰입, 직무가치, 직무만족 그리고 충성도에 관한 영향 관계에 대하여 실증 분석한 결과는 무엇인가? 첫째, 경합모형 테스트 결과 경합모형II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호텔중간관리자의 직무가치가 조직 몰입과 직무만족에 매개역할을 하기보다는 독립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둘째, 호텔중간관리자의 직무가치 경로분석에서 내재적 가치는 외재적 가치보다 높게 나타났는바, 이는 몇몇 선행연구의 결과[3][4]를 지지하고 있다. 셋째, 호텔중간관리자의 조직몰입과 직무만족 간의 정(+)의 인과관계는 상대적으로 높은 경로계수를 보임으로써 일부 연구[3]와는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호텔 중간관리자들이 호텔을 평생직장의 관점에서 근속몰입을 하고 있으며 직무에 높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음을 의미한다. 넷째, 호텔중간관리자의 직무만족과 충성도 간의 정 (+)의 인과관계는 지지되지 않았고, 일부 연구결과[8]와도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직무만족과 충성도간의 직접경로에서 직무만족이 충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이 기각된 것은 직무의 보상적 측면을 강조한 Locke[21]의 주장을 지지하고 있다. 다섯째, 분석과정의 수정지수를 통해 새롭게 발견한 조직몰입과 충성도간의 직접경로는 가장 높은 경로계수를 나타내며 상관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 결과는 조직체에 대한 애정과 집착인 조직몰입이 충성도로 연결된다고 주장한 Caruna와 Calleya[16]의 연구와 일치한다.
호텔기업들이 고객중심 마케팅전략을 구사한 결과는 어떠한가? 이와 같은 대내외적 환경 변화 속에서도 호텔기업들은 ‘고객은 왕(Customer is King), 고객의 시대(age of Customer)’라는 표어 하에 노사가 단합하여 고객중심 마케팅전략을 구사한 결과, 타 업종과는 다르게 기업퇴출과 적대적 M&A가 상대적으로 적었으며, 한편으로 가일층 세련된 고품질의 호텔서비스를 보증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호텔기업의 생존권을 담보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타 업종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호텔중간관리자들의 직무가치와 직무 충성도가 매우 긍정적으로 작용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김계수,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한나래, 2007. 

  2. 김대권, "호텔종사원 직무만족에 관한 이론적 고찰", 관광정책학연구, 제6권, 제3호, pp.43-58, 2000. 

  3. 김영훈, "가맹점주의 직무가치가 직무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관광학연구, 제30권, 제2호, pp.279-297, 2006. 

  4. 김영훈, "호텔식음료종사자의 직무가치가 직무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관광연구, 제22권, 제2호, pp.249-264, 2007. 

  5. 김용순, 안대희, "호텔기업에 있어 구조조정상의 공정성 지각이 경영진의 신뢰-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마케팅과학연구, 제18권, 제1호, pp.115-139, 2008. 

  6. 김형섭, "호텔종사원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관광연구, 제19권, 제3호, pp.417-427, 2005. 

  7. 박대환, "호텔기업 종업원의 서비스지향성이 서비스 성과,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마케팅사이언스저널, 제17권, 제4호, pp.1-22, 2007. 

  8. 서영구, 이동한, 김지완, "패밀리 레스토랑 브랜드의 성적 개성이 고객의 브랜드 자아동일시와 관계만족 및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학연구, 제32권, 제5호, pp.143-166, 2008. 

  9. 오동근, "일 가치감이 직무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제17권, 제3호, pp.375-399, 2004. 

  10. 이용기, 유동근, 이대흥, "호텔기업의 시장지향성과 성과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매개적 역할", 관광학연구, 제21권, 제1호, pp.49-65, 1997. 

  11. 이용기, 이대홍, "호텔 텔레마케팅 관리자의 리더쉽과 조직몰입", 호텔경영학연구, 제5권, 제2호, pp.178-194, 1997. 

  12. 이용탁, "인적자원개발을 통한 직무능력향상이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인적자원관리연구, 제14권, 제2호, pp.143-160, 2007. 

  13. 이유재, 라선아, "브랜드 퍼스낼리티-브랜드 동일시-브래드 자산모형 -이용자와 비이용자간 차이에 대한 탐색적 연구", 마케팅연구, 제17권, 제3호, pp.1-33, 2002. 

  14. 이지우, "근로가치관에 대한 탐험적 연구", 인사관리연구, 제18권, pp.413-438, 1994. 

  15. 함성필, 손선익, "호텔 주방 작업환경이 주방 종사원의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관광학연구, 제32권, 제5호, pp.275-296, 2008. 

  16. A. Caruana and P. Calleya, "The effect of internal marketing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retail bank managers," International Journal of Bank Marketing, Vol.16, pp.108-116, 1988. 

  17. A. C. Bluedorn, "A unified model of turnover from organizations," Human Relations, Vol.35, pp.135-153, 1982. 

  18. A. J. Cellucci and D. L. DeVries, "Measuring managerial satisfaction," A manual for then MJSQ, Technical Report II. 

  19. C. Gllisson and M. Durick, "Predictors of h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human services organizations," Administrative Service Quarterly, Vol.33, pp.61-81, 1988. 

  20. D. Elizur and M. Koslowsky, "Value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Manpower, Vol.22, No.7, pp.593-599, 2000. 

  21. E. A. Locke, The Nature and Causes of Job Satisfation, in M. D. Dunnett,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Rand McNally: Chicago, pp.231-235, 1976. 

  22. J. C. Anderson and D. W. Gerb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 Bull, Vol.103, pp.411-423, 1998. 

  23. J. C. Nunnally, Psychometric theory, New York: McGraw-Hill; 1978. 

  24. J. E. Bigne and L. Andreu, "Modelo cognitivo de Ja satisfaccion en servicios de ocio y turismo," Cuad Econ Dir Empresa, Vol.21, pp.89-120, 2004. 

  25. J. F. Hair and R. E. Anderson and R. L. Tatham & W.C. Black, Analisis multivariante, Madrid: Prentice Hall; 1999. 

  26. J. H. Steiger, "Structural model evaluation and modification: an interval estimation approach," Multivariate Behav Res, Vol.25, pp.173-180, 1990. 

  27. J. P. Meyer and N. S. Allen, "A three-component conceptualization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Vol.1, p.1, 1991. 

  28. J. R. Hackman and G. R. Oldham and K. Ruedu, "A new strategy for job enrichment,"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Summer. 

  29. K. A. Bollen., "A new incremental fit index for general structural equation models," Sociol Methods Res, Vol.17, pp.303-316, 1989. 

  30. K. F. Widaman and J. S. Thompson, "On specifying the null model for incremental fit indice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Psychol Methods, Vol.8, pp.16-37, 2003. 

  31. K. L. Keller, Building, Measuring and Managing Brand Equity(2nd Ed.), New Jersey: Prentice Hall, 2003. 

  32. L. T. Hu and P. M. Bentler,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 Equ Modeling, Vol.6, pp.1-55, 1999. 

  33. L. M. Caro and A. M. Garcia, "Cognitive-affective model of consumer satisfaction: An exploratory study within the framework of a sporting event",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60, pp.108-114, 2007. 

  34. L. M. Shore and S. J. Wayne, "Commitment and Employee behavior, Comparison of Effective Commitment and Continuance Commitment with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78, pp.774-780, 1993. 

  35. M. J. Nurosis, SPSS. Chicago, IL: Statistical Data Analysis SPSS Inc; 1993. 

  36. M. Whitehead, "Employee happiness levels impact on the bottom line," People Management, Vol.4, p.14, 1998. 

  37. R. B. Kline,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Jew York: The Guiford Press, 1998. 

  38. R. Knoop, "Work values and job satisfaction," The Journal of Psychology, Vol.128 No.6, pp.683-690, 1993. 

  39. R. P. Tett and J. P. Meyer,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urnover Intention and turnover : path analysis based on meta-analytic findings," Personnel Psychology, Vol.46, pp.259-293, 1993. 

  40. R. T. Mowday and L. W. Porter and R. M. Steers, Employee-organization links: the psychology commitment absenteeism and turnover, New York Academic Press, 198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