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R&D 혁신역량과 기업성과 간의 관계: 대구지역 전략산업과 비전략산업 간 비교분석
Th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on Capability of R&D and the Firm's Performance : Comparing Regional Strategy Industry with Non-Regional Strategy Industry in Daegu 원문보기

경영정보연구 =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Review, v.30 no.2, 2011년, pp.211 - 235  

신진교 (계명대학교 경영학부) ,  조정일 ((재)대구TP 정책기획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R&D 혁신역량의 구성요소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는데 있다. 그리고 지역산업에 있어서 전략산업의 비중을 감안하여 전략산업과 비전략산업 간에 비교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략산업과 비전략산업 간의 차이분석 결과를 보면 CEO 기술혁신의지를 제외한 모든 R&D 혁신역량 부문에 있어서 전략산업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기업성과에 있어서는 비유의적이지만 전략산업의 기업성과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전략산업 간 차이분석을 한 결과를 보면 기업성과에 있어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총자산순이익률의 경우 메카트로닉스와 전자정보기기산업이 가장높게 나타났고, 매출액성장률에서는 전자정보기기산업이 가장 높았다. R&D투입에 있어서 연구개발투자인력은 전자정보기기산업이 그리고 석 박사연구인력은 생물산업이 가장 높았고 모두 1% 유의수준에서 전략산업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R&D과정에 있어서는 기술혁신전략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서 전략산업 간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대부분에서 전기정보기기산업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R&D산출인 지적재산권 보유 정도에 있어서도 전자정보기기산업이 6.75건으로 가장 높았다. 셋째, 모든 산업에 있어서 R&D 혁신역량이 기업성과에 동일하게 영향을 미치지는 않고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R&D투입이 기업성과에 양(+)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과는 달리 석 박사연구인력과 같이 연구개발인력의 질이 더 유의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분적이지만 R&D성과 보다는 R&D과정이 더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R&D 혁신역량이라는 점을 함께 발견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on capability of R&D and the firm's performance by mainly comparing regional strategy industry with non-regional strategy industry. Also, this analysis involved comparing the relationship by regional strategy industry.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d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통해 기업의 성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핵심요인이 무엇인지를 알아내고자 한다. 다음으로 지역산업에 있어서 전략산업의 비중을 감안하여 전략산업과 비전략산업 간에 비교분석을 하고자 한다.1) 비교분석은 전략산업과 비전략산업 간에 R&D 혁신역량의 차이가 존재하는지 그리고 R&D 혁신역량의 구성요소의 기업성과에 대한 차별성이 존재하는지를 분석하게 된다.
  • 따라서 기업의 혁신활동을 강화하기 위해 내부자원의 보유와 함께 자원을 효율적으로 결합 · 용할 수 있는 혁신역량이 중요하고 외부요인보다 내부요인이 더 중요하다는 결과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혁신역량의 개념을 자원기반이론의 관점에서 정의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R&D 혁신역량을 투입, 과정 및 산출부문으로 구분하여 이러한 요소들이 기업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게 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R&D 혁신역량과 기업성과 간의 관계 분석을 통해 기업성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R&D 혁신역량이 무엇인지를 알아내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혁신역량을 R&D 혁신역량에 국한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R&D 혁신역량의 구성요소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는데, 여기서 R&D 혁신역량은 투입(input)-과정(process)-산출(output)로 구분하게 된다.
  •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R&D 혁신역량의 구성요소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는데, 여기서 R&D 혁신역량은 투입(input)-과정(process)-산출(output)로 구분하게 된다. 이를 통해 기업의 성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핵심요인이 무엇인지를 알아내고자 한다. 다음으로 지역산업에 있어서 전략산업의 비중을 감안하여 전략산업과 비전략산업 간에 비교분석을 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불황 속에서도 R&D투자가 유지되거나 빠른 속도로 회복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R&D 혁신역량과 기업성과 간에는 상관관계가 높고 기업성과의 증대가 새로운 혁신역량의 강화를 가져오는 선순환 관계를 창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글로벌 경제위기에도 불구하고 2009년 세계 R&D투자는 전년도와 거의 유사한 수준이고 향후 확대될 전망인데 이처럼 불황 속에서도 R&D투자가 유지되거나 빠른 속도로 회복되는 이유는 R&D를 미래 경쟁력의 원천으로 생각하기 때문이다(박찬수, 2010). 하지만 이러한 선순환 구조로 충실히 연결되고 있는지 의문이 제기되어 왔고 이에 따라 R&D 투자와 관련한 역량을 비롯하여 R&D활동까지 일련의 과정 전체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는 주장들도 제기되어 왔다(Lieberman & Montgomery, 1988; 박찬수, 2008; 송하율, 2009 등).
R&D 혁신역량의 구성요소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지역산업에 있어서 전략산업의 비중을 고려하여 전략산업과 비 전략산업 간에 비교분석 한 결과는?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략산업과 비전략산업 간의 차이분석 결과를 보면 CEO 기술혁신의지를 제외한 모든 R&D 혁신역량 부문에 있어서 전략산업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기업성과에 있어서는 비유의적이지만 전략산업의 기업성과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전략산업 간 차이분석을 한 결과를 보면 기업성과에 있어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총자산순이익률의 경우 메카트로닉스와 전자정보기기산업이 가장높게 나타났고, 매출액성장률에서는 전자정보기기산업이 가장 높았다. R&D투입에 있어서 연구개발투자인력은 전자정보기기산업이 그리고 석 박사연구인력은 생물산업이 가장 높았고 모두 1% 유의수준에서 전략산업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R&D과정에 있어서는 기술혁신전략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서 전략산업 간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대부분에서 전기정보기기산업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R&D산출인 지적재산권 보유 정도에 있어서도 전자정보기기산업이 6.75건으로 가장 높았다. 셋째, 모든 산업에 있어서 R&D 혁신역량이 기업성과에 동일하게 영향을 미치지는 않고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R&D투입이 기업성과에 양(+)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과는 달리 석 박사연구인력과 같이 연구개발인력의 질이 더 유의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분적이지만 R&D성과 보다는 R&D과정이 더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R&D 혁신역량이라는 점을 함께 발견할 수 있었다.
기업의 혁신역량이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기업의 혁신역량(innovative capability)은 혁신을 가능케 하는 특별한 유 · 무형 자산으로 정의할 수 있고, 기업의 혁신역량은 비단 기술개발역량뿐 아니라 생산역량, 마케팅역량, 조직역량, 전략 및 자원조달역량 등 여러 부문의 경영자원의 종합적인 집합으로 보기도 한다(조덕희, 2005). 하지만 지식기반 경제시대에서의 지식의 생성은 바로 R&D투자를 통해 촉진되고 기업의 경쟁력이 결정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