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북지역의 지역혁신체제 구축과 지역전략산업 육성방안
A Study of Developmental Alternatives of Regional Strategic Industries and the Construct ion of Regional Innovation Systems for Gyeongbuk Province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경북테크노파크
Gyeongbuk Techno Park
연구책임자 이성근
참여연구자 이철우 , 이관률 , 안성조 , 정병순 , 박상철 , 윤칠석 , 김상곤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03-11
주관부처 과학기술부
사업 관리 기관 경북테크노파크
Gyeongbuk Techno Park
등록번호 TRKO200400000980
DB 구축일자 2013-04-18
키워드 지역혁신체제.혁신클러스터.지역전략산업.지역혁신전략.지역혁신력.Regional Innovation System.Cluster of Innovation.Regional Strategy Industry.Regional Innovation Strategy.Regional Innovation Capacity.

초록

${\bigcirc}$ 본 연구는 산업집적도가 높을 뿐 아니라 다양한 혁신사업의 추진으로 지역혁신체제를 적극적으로 구축해 가고 있는 경북지역을 사례로 하여 지역혁신체제 구축과 지역전략산업 육성방안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을 둠.
${\bigcirc}$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지역혁신체제와 지역전략산업에 관한 이론적 고찰, 외국의 지역혁신체제 사례연구, 경북지역의 혁신수요와 지역혁신력 분석, 그리고 경북 지역혁신체제의 구축과 지역전략산업의 육성방안 등을 중심으로 연구함.
${\bi

Abstract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suggest developmental alternatives of regional strategic industries (RSI) and to construct regional innovation systems (RIS) for Gyeongbuk Province.
The study consists of a theoretical review of RIS and RSI, several case studies from foreign countries, analyses of in

목차 Contents

  • 제 1 장 서론...24
  • 제 1 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24
  • 1. 연구의 배경...24
  • 2. 연구의 목적...25
  • 제 2 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25
  • 제 2 장 지역혁신체제와 지역전략산업에 관한 이론적 고찰...28
  • 제 1 절 혁신과 지역혁신체제...28
  • 1. 지역혁신체제의 대두배경...28
  • 2. 유사개념과 지역혁신체제의 정의...29
  • 3. 지역혁신체제의 구성요소...34
  • 4. 지역혁신체제의 유형...37
  • 제 2 절 지역혁신체제 구축의 원리와 구조...38
  • 1. 지역혁신체제의 접근방법...38
  • 2. 지역혁신체제의 내용...40
  • 3. 지역혁신체제 구축의 절차...41
  • 4. 지역혁신의 거버넌스: 추진주체와 역할...43
  • 제 3 절 지역전략산업의 선정과 분석...46
  • 1. 지역전략산업의 개념...46
  • 2. 지역전략산업의 유형...48
  • 3. 지역전략산업의 선정원칙과 기준...51
  • 4. 지역전략산업의 선정방법...59
  • 5. 지역전략산업의 분석영역...62
  • 제 4 절 지역혁신체제와 지역전략산업의 관계...68
  • 1. 지역전략산업의 성장조건...68
  • 2. 지역혁신체제, 혁신클러스터, 그리고 지역전략산업의 관계...70
  • 제 3 장 외국의 지역혁신체제 사례연구...73
  • 제 1 절 외국의 지역혁신전략 사례연구...73
  • 1. 지역혁신전략의 대두배경...73
  • 2. 영국의 지역혁신전략...75
  • 3. 네덜란드의 지역혁신전략...78
  • 4. 이태리의 지역혁신전략...82
  • 제 2 절 외국의 지역혁신체제 사례연구...87
  • 1. 스웨덴의 지역혁신체제...87
  • 2. 핀란드의 지역혁신체제...98
  • 제 3 절 외국사례의 시사점...105
  • 1. 산업정책 패러다임의 전환...105
  • 2. 수요지향적 접근...106
  • 3. 혁신주체들의 참여와 합의 강조...106
  • 4. 산업클러스터의 활성화...107
  • 5. 산업거버넌스의 중요성 증대...107
  • 제 4 장 경북지역의 혁신수요와 지역혁신력 분석...109
  • 제 1 절 지역경제 및 산업구조...109
  • 1. 지역산업구조...109
  • 2. 지역경제의 규모...110
  • 3. 지역산업의 혁신성...111
  • 제 2 절 지역혁신자원의 분포...114
  • 1. 지역의 혁신주체...114
  • 2. 지역의 기술개발...115
  • 3. 혁신제도...118
  • 4. 지역정보화 기반...118
  • 5. 지방재정...120
  • 6. 혁신지원사업...121
  • 제 3 절 지역혁신활동과 혁신수요분석...123
  • 1. 조사개요 및 일반현황...123
  • 2. 입지환경...126
  • 3. 기술혁신 활동분석...128
  • 4. 혁신네트워크...135
  • 5. 지역혁신체제의 구축방향...141
  • 제 4 절 지역혁신력 분석...145
  • 1. 분석틀과 변수선정...145
  • 2. 지역혁신력 분석...148
  • 3. 지역혁신요소별 횡단면시계열회귀분석...154
  • 제 5 장 경북 지역혁신체제의 구축과 지역전략산업의 육성방안...157
  • 제 1 절 지역혁신비전과 기본모형의 설정...157
  • 1. 지역혁신비전과 기본이념...157
  • 2. 추진전략의 설정...158
  • 3. 지역혁신체제의 기본모형 설정...159
  • 4. 추진조직과 평가체제의 구성...161
  • 제 2 절 지역전략산업의 선정과 혁신클러스터의 구축방안...162
  • 1. 지역전략산업의 선정...162
  • 2. 지역전략산업과 혁신클러스터의 구축...170
  • 제 3 절 지역혁신체제의 구축방안...174
  • 1. 혁신하부구조의 형성...174
  • 2. 혁신상부구조의 형성...179
  • 제 4 절 지역혁신기반과 지역혁신네트워크의 구축방안...183
  • 1. 지역별 혁신기능의 설정과 지역혁신사업의 적정규모...183
  • 2. 지역혁신사업의 적정규모와 지? 구축방안...187
  • 제 6 장 결론...190
  • 제 1 절 연구의 요약...190
  • 제 2 절 정책제언 및 연구한계...192
  • 참고문헌...194
  • 위탁연구과제. 지방과학기술진흥사업 개발연구...202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