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논문에서 용어와 풀이말을 자동 추출한 결과로,
시범 서비스 중입니다.
정보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정보교육은 정보과학의 원리와 개념을 효과적으로 가르치기 위한 교육과정으로 개정되었다. 개정된 교육과정에 따라, 프로그래밍 언어를 활용한 알고리즘 사고 학습 및 문제해결능력 향상의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학습자의 수준과 능력을 고려한 프로그래밍 교육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학습자의 문제해결과정 각 단계가 프로젝트 완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문제해결 수준에 따른 프로젝트 완성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문제해결 수준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프로젝트 완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해결과정 각 단계가 프로젝트 완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문제발견 요인이 프로젝트 완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습자의 프로젝트 완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해결과정 단계를 탐색하여, 문제를 발견하는 활동과 반성적 성찰을 통한 문제해결 검토 과정이 중요함을 제안하였다.
Informatics curriculum has been revised for informatics principles and concepts to effectively teach. According to the revised curriculum, researches are verifying the educational effects of algorithmic thinking and problem-solving abilities using programming language by applying it to various area. However, researches in programming education considering the level of student are yet incomplete. This research has analyzed the impact of the perceived level of problem solving on the performance of project completeness. As results of difference of project completeness, a high perceived level of problem solving group's performance of project completeness was higher than a low perceived level of problem solving group's one. Analysis of the impact of the perceived level of problem solving on the performance of project completeness, 'problem finding' factor had a significant impact. This research suggested the importance of 'problem finding' and self-reflecting introspective 'reviewing' stages in problem solving process using programming language.abstract of your study in English. This space is for the abstract of your study in English. This space is for the abstract of your study in English.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변화된 교육과정에 따라 정보교육은 정보과학개념과 정보윤리 관점을 기반으로 정보사회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 상황을 해결하는데 목표를 두었다. 이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교육용 로봇이나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이하 EPL)를 활용하고 있다[5][6].
본 연구는 EPL을 활용한 프로그래밍 교육에서 학습자의 문제해결과정 각 단계가 프로젝트 완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학습자의 문제해결과정 단계별 수준을 측정하고 중학교 정보 교과서에서 활용되고 있는 EPL인 스크래치를 사용하여 교육용 콘텐츠를 제작하는 일련의 과정을 수행한 뒤 프로젝트 완성도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는 문제해결과정의 각 단계가 학습자의 프로그래밍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가설은 다음과 같다.
정보교과에서 프로그래밍 교육의 목적은 알고리즘 사고를 통해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연구는 학습자의 문제해결과정 단계별 수준이 EPL을 활용한 프로젝트 완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봄으로써, 효과적인 프로그래밍교육 방향에 대해 제시하였다.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체계적인 프로그래밍 교육을 제안한 것에서 본 연구의 시사점을 찾을 수 있다.
본 연구는 학습자의 문제해결과정 하위요인이 프로그래밍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연구 절차는 <표 3>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래밍 교육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학습자의 문제해결과정 수준이 프로그래밍 능력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해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둘째, 문제해결과정의 각 단계는 프로젝트 완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첫째, 문제해결 수준에 따라 프로젝트 완성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문제해결과정 | 문제해결과정이란? |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초기 상태에서 문제를 해결한 목표 상태에 도달하는 일련의 과정
문제해결과정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초기 상태에서 문제를 해결한 목표 상태에 도달하는 일련의 과정을 나타낸다[23]. 학자들은 자신들의 철학을 반영하여 문제해결과정을 4∼6단계로 구분하고 있다. |
문제해결력 | 문제해결력에 해당하는 것은 무엇이 있는가? |
비판적 사고 능력, 분석적 추론 능력, 창의적 능력과 같은 고등 사고 능력
일반적으로 문제해결은 문제 속에 있는 조건과 이전에 배운 규칙을 조합하여 문제에 대해 새로운 해결책을 만드는 것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16]. 그리고 문제해결력은 비판적 사고 능력, 분석적 추론 능력, 창의적 능력과 같은 고등 사고 능력에 해당한다[17]. |
학문적 관점에서 문제해결에 대한 정의 | 학문적 관점에서 문제해결에 대한 정의는 어떻게 구분되는가? |
형태심리학적 관점에서는 문제 상황의 다양한 요소들을 조건에 맞게 새로운 방식으로 재구성하는 것을 문제해결이라고 하며, 행동주의 관점에서는 기존 문제 상황에서 보이는 반응을 새로운 상황에 맞게 시행착오를 겪어가며 적용하는 것으로 문제해결을 정의한다. 또한 인지주의적 관점에서는 문제해결을 인지구조의 불균형 상황을 재구조화 하여 새로운 인지구조로 만드는 과정을 문제해결이라고 한다.
학문적 관점에서 문제해결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다. 형태심리학적 관점에서는 문제 상황의 다양한 요소들을 조건에 맞게 새로운 방식으로 재구성하는 것을 문제해결이라고 하며, 행동주의 관점에서는 기존 문제 상황에서 보이는 반응을 새로운 상황에 맞게 시행착오를 겪어가며 적용하는 것으로 문제해결을 정의한다. 또한 인지주의적 관점에서는 문제해결을 인지구조의 불균형 상황을 재구조화 하여 새로운 인지구조로 만드는 과정을 문제해결이라고 한다.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