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후 우울 성향 어머니와 6-8개월 영아의 상호작용 분석
An Analysis of Interactions Between Mothers with Postpartum Depression Tendencies and Their Infants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2 no.3, 2011년, pp.203 - 220  

이제영 (한신대학교 일반대학원 재활학과 놀이치료 및 상담) ,  이경숙 (한신대학교 재활학과) ,  정유경 (한신대학교 재활학과) ,  신의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정신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is aimed at examining the interaction between mothers with high postpartum depression tendencies and their 6 to 8 month old infants. Thirty pairs of infants and mothers with high depression tendencies and another 30 pairs of infants and mothers with low depression scores on the EPDS and K-...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는 영유아기의 발달과 정신건강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나 그동안 국내에서 많이 다루어지지 않았던 출산 후 나타날 수 있는 양육의 위험인자인 산후우울증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이와 관련되어 영아에게 제공되는 초기 양육환경에서 어머니의 산후우울성향이 영아와의 관계와 상호작용에서 어떤 특징을 나타내는지 알리고자 한다.
  • 그러므로 추후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산전 우울병력이나 산전 우울감 체크가 이루어지는 종단적 연구나 검사자와의 일대일 임상적 면접이 함께 병행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두 곳의 종합병원에 임신 26-36주 산전 진찰을 받기 위해 방문했던 어머니들의 자발적인 연구 참여로 인해 이루어졌다. 그러므로 실제 산후 우울증으로 진단된 임상군이 아닌 일반군 안에서 EPDS와 K-PSI의 우울척도 점수를 기준으로 산후우울 성향의 상하집단으로 구분되어 진행되었다.
  • 본 연구는 산후 우울 성향이 높거나 낮은 어머니들 간 나타나는 영아와의 관계와 상호작용차이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점은 최근 몇 년 사이 급속도로 늘어난 우울증 환자 중 임신과 출산으로 인하여 남성보다 우울증에 더욱 취약한 환경에 처해 있는 산후 여성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한 점에서 시대적인 의의가 있다.
  • 본 연구에 동의한 어머니에게 전화로 실험 장소와 소요시간에 대해 설명하고, 참여 일시를 정하였다. 약속된 날 영아와 함께 실험실에 방문한 어머니에게 상호작용 절차를 설명한 뒤, 바로 실험을 실시하여 비디오 녹화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6-8개월 된 영아 자녀를 둔 산후 우울 성향이 높은 어머니와 낮은 어머니의 집단 간 영아와의 상호작용에서 어떤 차이를 나타내는지를 알아보고, 전반적인 관계특성과 정도에 관해 살펴보았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이 점은 최근 몇 년 사이 급속도로 늘어난 우울증 환자 중 임신과 출산으로 인하여 남성보다 우울증에 더욱 취약한 환경에 처해 있는 산후 여성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한 점에서 시대적인 의의가 있다. 이에 어머니와 영아의 놀이감을 통한 상호작용을 실험실 비디오 녹화실시를 통해 연구하였고, 산후 우울 성향이 높거나 낮음에 따라 상호작용에서 나타나는 변인들의 점수 차이를 살펴보고자 했다.
  • 그러므로 본 연구는 영유아기의 발달과 정신건강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나 그동안 국내에서 많이 다루어지지 않았던 출산 후 나타날 수 있는 양육의 위험인자인 산후우울증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이와 관련되어 영아에게 제공되는 초기 양육환경에서 어머니의 산후우울성향이 영아와의 관계와 상호작용에서 어떤 특징을 나타내는지 알리고자 한다. 더 나아가 본 연구의 결과가 국내에서 비교적 드물게 연구되는 영아기의 양육자와의 상호작용의 중요성에 대해 알리는데 기여되고 초기 양육에 대한 주요 정보를 제공하고 영아부모교육과 프로그램의 기초자료가 되기를 바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외 산후우울증 유병률 비율은? 산후우울증은 산후 4주 이내에 발생하는 우울 삽화 ,우울한 기분, 극도의 불안, 불면증 등의 증상들로 특정 지어지는 질환으로 정의되어 있다. 외국의 경우 유병률이 10-15%로보고되고 있으며(Brist, 2002; Moses-Kolko & Feintuch, 2002), 소위 산후 우울감(postpartum blues)은 50-80%까지 보고되고 있다. 국내 연구에서는 출산 전 10.6%, 출산 이후에 22.4%가 산후우울 성향으로 나타났다(조현주 외, 2004).
산후우울증이란? 산후우울증(postpartum depression)은 출산 후에 나타나는 대표적인 정서장애로서 DSM-Ⅳ (1994)에서는 주요 우울증의 진단 개념과 달리 구분하고 있지 않으나 그 발생 시기를 특정화하여 설명하고 있다. 산후우울증은 산후 4주 이내에 발생하는 우울 삽화 ,우울한 기분, 극도의 불안, 불면증 등의 증상들로 특정 지어지는 질환으로 정의되어 있다. 외국의 경우 유병률이 10-15%로보고되고 있으며(Brist, 2002; Moses-Kolko & Feintuch, 2002), 소위 산후 우울감(postpartum blues)은 50-80%까지 보고되고 있다.
산후우울 성향을 지닌 양육자가 영아를 양육하면서 나타내는 대표적인 문제는? 산후우울 성향을 지닌 양육자가 영아를 양육하면서 나타내는 대표적인 문제들로서 Beck(1998) 과 Leiferman(2002)에 의하면 산후 우울 성향이 있는 엄마들이 아기를 양육해야 한다는 중압감에 시달리며 죄의식, 비합리적인 사고, 상실감이나 분노 등으로 가득 찬 상태라 했다. 이런 상태에서 아기와 상호작용 하므로 때론 마치 로봇 같이 비정서적으로 행동하며 아기들의 표현에 반응을 적절히 하지 못하고, 아기의 기질을 더 부정적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아기와의 관계에서 많은 갈등을 겪으며 기본적인 부모 역할 면에서도 소홀하다고 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건강보험심사평가원(2010). 여성우울증, 남성보다 2배많아. 

  2. 신의진?이경숙?이재명(2003). 진단분류:0-3 영유아기 정신 건강 및 발달 장애 진단 분류. 하나의학사. 

  3. 신의진?장형윤?홍수종(2010). 예비모의 산전 우울 성향과 산후 6개월 산후 우울증 과의 관련성.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발달분과 심포지움 발표 자료집. 

  4. 이경숙?염현경?신의진?남수용?양헤영?조성연?심희옥?성은현?서수정?김도연(2010). 영유아 정신병리 핸드북. 학지사. 

  5. 이경숙?정유경?이제영?지다예(2010). 산전-산후 우울성향 어머니의 6-8개월 영아 Still-Face 절차 반응 분석. 2010 한국심리학회 연차대회 발달분과 심포지움 발표 자료집. 

  6. 정경미?이경숙?박진아(2008). 한국판 부모양육 스트레스 검사 K-PSI 전문가 지침서. 학지사. 

  7. 조현주?최규연?이정재?이임순?박문일?나중열? 이근영?이종민?권정혜(2004). 산후 우울증에 대한 예측 및 임신중 우울증의 회복 요인에 대한 연구. 대한주산회지, 15(3), 245-254. 

  8. 한귀원?김명정?박제민(2004).한국어판 에딘버러 산후우울 척도:신뢰도와 타당도. 생물치료정신의학, 10(2). 

  9. Ainsworth, M. D. S., Blehar, M., Waters, E., & Wall, S. (1978). Patterns of attachment. Hillsdale, NJ:Lawrence Erlbaum. 

  10.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4th ed.). Washington, DC:Author. 

  11. Beck, C. T. (1998). The effects of postpartum depression on child development:A meta-analysis. Archives of Psychiatric Nursing, 12, 12-20. 

  12. Beck, C. T. (2006). Postpartum depression:It isn't just the blues. American Journal Nursing, 106, 40-50. 

  13. Belsky, J., Gilstrap, B., & Rovin M. (1984). The Pennsylvania infant and family development project I:Stability and change in mother-infant and father-infant interaction in a family setting at one, three, and nine months. Child Development, 55, 692-705. 

  14. Bowlby, J. (1958). The nature of the child's tie to his mother.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analysis, 39, 350-380. 

  15. Brennan, P. A., Andersen, M. J., Bor, W., Najman, J. M., & Willians, G. M. (2000). Chronicity, severity, and timing of maternal depressive symptoms:relationships with child outcomes at age 5. Developmental Psychology, 36, 759-766. 

  16. Bronfman, E., Parsons, E., & Lyons-Ruth, K. (1999). Atypical Maternal Behavior Instrument for Assessment and Classification. Unpublished manual. Havard Unioversity Medical School. 

  17. Cox, J, Holden, J., & Sagovsky, R. (1987). Detection of postnatal depression:Development of the 10-item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50, 782-786 

  18. Emde, R. (1984). Infant Psychiatry in changing world:Optimism and paradox.. In J. D. Call, E. Galenson, & R. L. Tyson(eds.). Frontiers of infant psychiatry, Vol. II. New York:Basic Books. 

  19. Galler, J. R., Harrison, R. H., Ramsey, F., Forde, V., & Butler, S. C. (2000). Maternal depressive symptoms affect infant cognitive development in Barbados. The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1, 747-757. 

  20. Harris B, Huckle P, Thomas R, Johns S., & Fung H. (1989). The use of rating scales to identify postnatal depression. BrJ Psychiatry, 154, 813-817. 

  21. Hay, D. F., & Kumar, R. (1995). Interpreting the effects of mother's postnatal depression on children's intelligence:A critique and re-analysis. Child Psychiatry and Human Development, 24, 165-181. 

  22. Kaplan, P. S., Bachorowski, J., & Zarlengo-Strouse, P. (1999). Child directed speech produced by mothers with symptoms of depression fails to promote associative learning in 4-month-old infants. Child Development, 70, 560-570. 

  23. Kaplan, P. S., Bachorowski, J., Smoski, M., & Zinser M. (2001). Role of clinical diagnosis and medication use in effects of maternal depression on infant-directed speech. Infancy, 2(4), 537-548. 

  24. Leiferman, J. (2002). The effect of maternal depressive symptomatology on maternal behaviors associated with child health. Health Education & Behavior, 29, 596-607. 

  25. Lieberman, A. F., & Pawl, J. H. (1993). Infant-parent psychotherapy. in C. H. Zeanah, Jr. (Ed.), Handbook of infant mental health (pp. 427-442). New York:Guilford Press. 

  26. Mash, E., & Terdal, L. (1990). Play assessment of noncompliant children with the response class matrix In C. Scaheffer, K. Giltlin, A. Sandgrund (Eds.. Play diagnosis and assessment. new York:Wiley. 

  27. Matins, C., & Gaffan, E. (2000). Effects of early maternal depression on patterns of infant-mother attachment:A meta-analytic investigation.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6), 737-746. 

  28. Matas, L., Arend, R. A., & Sroufe, L. A. (1978). Continuity of adaptation in the second year:The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attachment and later competence. Child Development, 49, 547-556. 

  29. McMahon, C. A., Barnett, B., Kowalenko, N. M., & Tennant, C. C. (2006). Maternal attachment state of mind moderates the impact of postnatal depression on infant attachment. The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7, 660-669. 

  30. Rosenblum, K. L., McDonough, S. C., Sameroff, A. J., & Muzik, M. (2008). Reflection in thought and action:Maternal parenting reflectivity predicts mind-minded comments and interactive behavior. Infant Mental Hearth Journal, 29(4), 362-276. 

  31. Rudoph, M., Rosanowski, F., Eysholdt, U., & Kummer, P. (2003). Anxiety and depression in mothers of speech impaired children. International Journal Pediatric Otorhinolaryngology, 67, 137-141. 

  32. Sander, L. W. (1962). Issues in early mother-child interaction. Journal of American Academy of Child Psychiatry, 1(1), 141-166. 

  33. Sohr-Preston, S. L., & Scaramella, L. V. (2006). Implications of timing of maternal depressive symptoms for early cognitive and language development. Clinical Child and Family Psychology Review, 9, 65-83. 

  34. Stern, D. N. (1985). The interpersonal world of the infant:A view from psychoanalysis and developmental psychology. New York:basic Books. 

  35. Thompson, R. A. (1994). Emotion regulation:A theme in search of definition. Monographs for the Society of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59 (2-2, Serial No. 240), 250-283. 

  36. van den Boom, D. C. (1994). The influence of temperament and mothering on attachment and exploration:An experimental manipulation of sensitivity responsiveness among lower-class mothers with irritable infants. Child Development, 65, 1457-1477. 

  37. Zero to Three (2005). Diagnostic classification of mental health and developmental disorders of infancy and early childhood (DC; 0-3R). Washington, DC:Zero to Three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