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머니의 산후 우울감과 만 2세 영아의 의사소통능력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Post-natal Depression and Children's Communication Competence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1 no.5, 2015년, pp.113 - 134  

박찬화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  이윤선 (경인여자대학교 아동보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산후 1년 이내 어머니의 우울감 수준에 따라 어머니의 자아효능감이 차이 나는지와 산후 1년 이후와 2년 이후의 양육스타일, 만 2세 영아의 의사소통능력에서 차이가 나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어머니의 산후 우울감이 영아의 의사소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추적하였다. 분석 자료로 한국아동패널 2008년(산후 1년 이내), 2009년(산후 1년 이후)과 2010년(산후 2년 이후)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연구대상은 한국아동패널에 참여한 어머니들과 그 자녀들 1,438쌍이었다. 측정도구로 Kessler 등(2002)의 우울 척도(K6), Pearlin, Lieberman, Menaghan과 Mullan(1981)의 자아효능감 척도, Bornstein 등(1996)의 양육스타일 질문지, K-ASQ의 의사소통(communication) 영역 질문지를 사용하였고 자료분석을 위해 t 검증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산후 우울감 수준에 따라 어머니의 자아효능감, 양육스타일, 그리고 만 2세 영아의 의사소통능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산후 우울감은 양육스타일을 통해, 그리고 어머니의 자아효능감을 거쳐 양육스타일을 통해 영아의 의사소통능력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어머니의 산후 우울감은 어머니의 자아효능감, 양육스타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만 2세 영아의 의사소통능력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산후 1년 이내 나타난 어머니의 산후 우울감이 영아의 의사소통능력에 미칠 수 있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할 필요성을 시사하며 영아의 의사소통능력 증진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maternal post-natal depression on children's communication competence, maternal self-efficacy and parenting style. The data on 1,438 pairs of children and their mothers were provided by The Korean Children Panel Study (KCPS). Mothers we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산후 1년 이내 어머니의 산후 우울감의 정도를 살펴보고 우울감 수준에 따른 어머니의 자아효능감과 양육스타일, 만 2세 영아의 의사소통능력의 차이를 밝히며 산후 첫해 동안의 어머니 우울감이 만 2세 영아의 의사소통능력에 어떠한 경로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1. 어머니의 산후 우울감 수준에 따라 어머니의 자아효능감과 양육스타일, 영아의 의사소통능력은 차이가 있는가?
  • 2. 어머니의 산후 우울감은 어떠한 경로를 통해 영아의 의사소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후 우울감이란 무엇인가? 특히 산후에 경험하게 되는 우울감은 어머니의 자녀 양육을 더욱 어렵게 한다. 산후 우울감이란 출산 후 산모에게 나타나는 감정의 변화로 약간의 기분변화에서부터 병적인 상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증상을 말한다(조현주, 2005). 아기를 출산하면 산모의 50~80%가 일시적으로 산후 우울감을 경험하는데 일반적으로 2주를 넘기지 않는 반면 일반 산모의 10~15%는 출산 후 한 달이 넘어서도 우울감이 심각하게 지속되는 것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O’ Hara & Swain, 1996).
산후 우울감이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산후 우울감은 어머니와 자녀의 상호작용 방식에 영향을 미쳐 영유아의 정서, 행동, 인지, 의사소통과 사회성 발달에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Mehta & Sheth, 2006). 어머니의 지지적이고 민감한 양육행동은 유아의 언어 및 사회적 능력 발달과 긍정적으로 관련되어 있다(김현, 2010; Lengua, Honorado, & Bush, 2007; Pungello, Iruka, Dotterer, Mills-Koonce, & Reznick, 2009; Tamis-LeMonda, Bornstein, & Baumwell, 2001).
산후 1년 이내 어머니의 우울감 수준에 따라 어머니의 자아효능감이 차이나는지와 산후 1년 이후와 2년 이후의 양육스타일, 만 2세 영아의 의사소통능력에서 차이의 분석결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산후 우울감 수준에 따라 어머니의 자아효능감, 양육스타일, 그리고 만 2세 영아의 의사소통능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산후 우울감은 양육스타일을 통해, 그리고 어머니의 자아효능감을 거쳐 양육스타일을 통해 영아의 의사소통능력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어머니의 산후 우울감은 어머니의 자아효능감, 양육스타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만 2세 영아의 의사소통능력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산후 1년 이내 나타난 어머니의 산후 우울감이 영아의 의사소통능력에 미칠 수 있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할 필요성을 시사하며 영아의 의사소통능력 증진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8)

  1. 김명순 (2010). 영아의 의사소통. 연세대학교 어린이생활지도연구원 연구.훈련센터(편), 교사교육 워크샵 자료집, 영아에 대한 깊은 이해의 첫 걸음: 영아를 위한 의사소통(pp.1-13). 서울: 연세대학교 어린이생활지도연구원 연구.훈련센터. 

  2. 김현 (2010). 영아 기질, 어머니 양육행동, 교사 상호작용과 영아 언어능력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6(1), 67-93. 

  3. 박화윤, 마지순 (2013). 어머니의 영아에 대한 애착 및 양육효능감이 영아-어머니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4(6), 2727-2734. 

  4. 배정이 (2002). 산후 우울의 이론적 모형 구축. 정신간호학회지, 11(4), 572-587. 

  5. 신나리, 안재진, 이정림, 송신영, 김영원 (2008). 한국아동패널 2008.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6. 오정순 (2012). 영아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과 양육 관련 특성을 중심으로-. 생애학회지, 2(2), 51-65. 

  7. 오정윤, 심숙영 (2013). 유아의 사회정서 행동문제와 어머니 관련변인 구조모형분석. 아동과 권리, 17(1), 79-108. 

  8. 육아정책연구소 (2009). 한국아동패널 2009.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9. 육아정책연구소 (2010). 한국아동패널 3차년도 도구프로파일.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10. 조숙환, 주금정 (2010). 산전-산후 우울 성향 어머니의 6개월 영아와의 언어적 상호작용 특성과 영아의 언어발달.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308-309. 

  11. 조현주 (2005). 산후 우울증에 대한 종단적 연구. 경기도: 한국학술정보. 

  12. 조희원, 우주영(2013). 산후 우울 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 구조 모형.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5(3), 549-573. 

  13. Bandura, A. (1982). Self-efficacy: In human agency. American Psychologist, 37(2), 122-147. 

  14. Bandura, A. (1990). Perceived self-efficacy in the exercise of control over AIDS infection, Evaluation & Program Planning, 13(1), 9-17 

  15. Barnett, M. A., Gustafsson, H., Deng, M., Mills-Koonce, W. R., & Cox, M. (2012). Bidirectional associations among sensitive parenting, language development, and social competence. Infant and Child Development, 21(4), 374-393. 

  16. Baumwell, L., Tamis-LeMonda M, H., & Catherine, S. (1997). Maternal verbal sensitivity and child language comprehension. Infant Behavior and Development, 20(2), 247-258. 

  17. Bigatti, S. M., Cronan, T. A., & Anaya, A. (2001). The effects of maternal depression on the efficacy of a literacy intervention program. Child Psychiatry and Human Development, 32(2), 147-162. 

  18. Bornstein, M. H., Tamis-LeMonda, C. S., Hahn, C. S., & Haynes, O. M. (2008). Maternal responsiveness to young children at three ages: Longitudinal analysis of a multidimensional, modular and specific parenting construct. Developmental Psychology, 44(3), 867-874. 

  19. Bornstein, M. H., Tamis-LeMonda, C. S., Pascual, L., Haynes, M., O., Painter, K. M., Galperin, C. Z., & Pecheux, M. G. (1996). Ideas about parenting in Argentina, France, and the United States,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19(2), 347-367. 

  20. Brennan, P. A., Hammen, C., Andersen, M. J., Bor, W., Najman, J. M., & Williams, G. M. (2000). Chronicity, severity and timing of maternal depressive symptoms: relationship with child outcomes at age 5. Developmental Psychology, 36(6), 759-766. 

  21. Cogill, S. R., Caplan, H. L., Alexandra, H., Robson, K. M., & Kumar, R. (1986). Impact of postnatal depression on cognitive development in young children. British Medical Journal, 292(6529), 1165-1167. 

  22. Coleman, P. K., & Karraker, K. H. (1997). Self-efficacy and parenting quality: Findings and future applications. Developmental Review, 18(1), 47-85. 

  23. Coleman, P. K., & Karraker, K. H. (2003). Maternal self-efficacy beliefs, competence in parenting, and toddlers' behavior and developmental status. Infant Mental Health Journal, 24(2), 126-148. 

  24. Cooper, P. J., & Murray, L. (1998). Postnatal depression. British Medical Journal, 316(7148), 1884-1886. 

  25. Cornish, A. M., McMahon, C. A., Ungerer, J. A., Barnett, B., Kowalenko, N., & Tennant, C. (2005). Postnatal depression and infant cognitive and motor development in the second postnatal year: The impact of depression chronicity and infant gender. Infant Behavior and Development, 28(4), 407- 417. 

  26. Feltz, D. L., & Riessinger, C. A. (1990). Effects of in vivo emotional imagery and performance feedback. Journal of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12, 132-143. 

  27. Fenson, L., Dale, P. S., Reznick, J. S., Bates, L., Thal, D. J., & Pethick, S. J. (1994). Variability in early communicative development.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59(5), 1-185. 

  28. Field, T. (1995). Infants of depressed mothers. Infant Behavior and Development, 18(1), 1-13. 

  29. Field, T. (2010). Postpartum depression effects on early interactions, parenting, and safety practices: A review. Infant Behavior and Development, 33(1), 1-6. 

  30. Giallo, R., Treyvaud, K., Cooklin, A., & Wade, C. (2013). Mothers' and fathers' involvement in home activities with their children: Psychosocial factors and the role of parental self-efficacy.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183(3-4), 343-359. 

  31. Hay, D. F., Pawlby, S., Sharp, D., Asten, P., Mills, A., & Kumar, R. (2001). Intellectual problems shown by 11-year-old children whose mothers had postal depression.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2(7), 871-889. 

  32. Henderson, E. N., & Jennings, K. D. (2003). Maternal depression and the ability to facilitate joint attention with 18-month-olds. Infancy, 4(1), 27-46. 

  33. Johnston, C., & Mash, E. J. (1989). A measure of parenting satisfaction and efficacy.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18(2), 167-175. 

  34. Jones, T., & Prinz, R. (2005). Potential roles of parental self-efficacy in parent and child adjustment: A review. Clinical Psychology Review, 25(3), 341-363. 

  35. Kessler, R. C., Andrew, G., Cople, L. J., Hiripi, E., Mroczek, D. K., Nprmand, S.-L. T., Walters, E. E., & Zaslavsky, A. M. (2002). Short screening scales to monitor population prevalences and trends in nonspecific psychological distress. Psychological Medicine, 32(6), 959-976. 

  36. Kurstjens, S., & Wolke, D. (2001). Effects of maternal depression on cognitive development of children over the first 7 years of life.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2(5), 623-636. 

  37. Lengua, L. J., Honorado, E., & Bush, N. R. (2007). Contextual risk and parenting as predictors of effortful control and social competence in preschool children.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28(1), 40-55. 

  38. Lovejoy, M. C., Graczyk, P. A., O'Hare, E., & Neuman. G. (2000). Maternal depression and parenting behavior : A meta-analytic review. Clinical Psychology Review, 20(5), 561-592 

  39. Mainieri, T. (2006). The panel study of income dynamics: Child development(user guide for CDS-II). Retrieved February 11, 2007 from http://psidonline.isr.umich.edu/CDS/cdsii_userGd.pdf 

  40. Mehta, A., & Sheth, S. (2006). Postpartum depression: How to recognize and treat this common condition. Medscape Psychiatry and Mental Health, 11(1), 1-8. 

  41. Nicely, P., Tamis-LeMonda, C. S., & Bornstein, M. H. (1999). Mothers' attuned responses to infant affect expressivity promote earlier achievement of language milestones. Infant Behavior and Development, 22(4), 557-568. 

  42. NICHD Early Child Care Research Network. (1999). Chronicity of maternal depressive symptoms, maternal sensitivity, and child functioning at 36 months. Developmental Psychology, 35(5), 1297-1310. 

  43. O'Hara, M. W., & Swain A. M. (1996). Rates and risk of postpartum depression-a meta-analysis. International Review of Psychiatry, 8(1), 37-54. 

  44. Paulson, J. F., Keefe, H. A., & Leiferman, J. A. (2009). Early parental depression and child language development.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50(3). 254-262. 

  45. Pearlin, L. I., Lieberman, M. A., Menaghan, E. G., & Mullan, J. T. (1981). The stress proces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2(4), 337-356. 

  46. Pungello, E. P., Iruka, I. U., Dotterer, A. M., Mills-Koonce, W. R., & Reznick, J. S. (2009). The effects of socioeconomic status, race, and parenting on language development in early childhood. Developmental Psychology, 45(2), 544-557 

  47. Quevdedo, L., SilverA., R. A., Godoy, R., K., Matos, M. B., Tavares, Pinheiro, K. A., & Pinheiro R. T. (2011). The impact of maternal post-partum depression on the language development of children at 12 months. Child Care, Health and Development, 38(3), 420-424. 

  48. Righetti-Veltema, M., Bousquet, A., & Manzano, J. (2003). Impact of postpartum depressive symptoms on mother and her 18-month-old infant. European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12(2), 75-83. 

  49. Rollins, P. R. (2003). Caregivers' contingent comments to 9-month-old infants: Relationships with later language. Applied Psycholinguistics, 24(2), 221-234. 

  50. Sevigny, P. R., & Loutzenhiser, L. (2009). Predictors of parenting self-efficacy in mothers and fathers of toddlers. Child: care, Health and development. 36(2), 179-189. 

  51. Stein, A., Malmberg, L. E., Sylva, K., Barnes, J., Leach, P., & FCCC team. (2008). The influence of maternal depression, caregiving, and socioeconomic status in the post-natal year on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Child Care Health Development, 34(5), 603-612 

  52. Sutter-Dallay, A., Murray, L., Dequae-Merchadou, L., Glatigny-Dallay, E., Bourgeois, M., & Verdoux, H. (2011). A prospective longitudinal study of the impact of early postnatal vs. chronic maternal depressive symptoms on child development. European Psychiatry, 26(8), 484-489. 

  53. Tamis-LeMonda, C. S., Bornstein, M. H., & Baumwell, L. (2001). Maternal responsiveness and children's achievement of language milestones. Child Development, 72(3), 748-767. 

  54. Teti, D. M., & Gelfand, D. M. (1991). Behavioral competence among mothers of infants in the first year: The mediational role of maternal self-efficacy. Child Development, 62(5), 918-929. 

  55. Unger, D. G., & Wandersman, L. P. (1985). Social support and adolescent mothers: Action research contributions to theory and application. Journal of Social Issues, 41(1), 29-45. 

  56. Vondra, J., & Belsky, J. (1993). Developmental origins of parenting: Personality and relationship factors. In T. Luster & L. Okagaki (Eds.), Parenting: An ecological perspective (pp. 1-33). Hillsdale, NJ: Erlbaum. 

  57. Zajicek-Farber, M. L. (2010). The contribution of parenting and postnatal depression on emergent language of children in low-income families. Journal of Child Family Study,19(3), 257-269. 

  58. Zlochower, A. J., & Cohn, J. F. (1996). Vocal timing in face-to-face interaction of clinically depressed and nondepressed mothers and their 4-month-old infants. Infant Behavior and Development, 19(3), 371-37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