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세대에 따른 직업 관련 사회정체성의 사회심리학적 의미
The Social Psychological Meaning of Occupation-related Identities among Generations 원문보기

한국인구학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v.34 no.3, 2011년, pp.55 - 84  

최유정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  최샛별 (이화여자대학교 사회학과) ,  이명진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초록

이 연구는 사회정체성 개념을 이론적 자원으로 활용하여 사회성원들이 직업 관련 정체성들을 인식하는 방식에서 나타나는 세대별 특성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사회적인 합의와 균열의 지점들을 살펴보았다. 사회정체성의 세 차원인 평가성, 권력성, 활동성을 살펴본 결과, 직업 관련 정체성에 있어서는 세대 차이보다는 합의가 우세하였다. 총 44개 정체성 중 세대차가 유의미한 것은 장관, 국회의원, 비행기 조종사, 농부의 평가성과, 대기업 사장, 교수, 의사, 간호사, 연예인, 무당, 실업자의 권력성뿐이다. 지도자 및 전문직에서는 평가성과 권력성 모두에서 50대가 다양한 정체성들을 일관되게 높이 평가한 반면, 30대는 부정적 태도를 견지했으며, 20대와 40대는 다분히 중간적인 입장을 보였다. 권력성에서는 2, 30대와 4, 50대로 나뉘어 젊은 세대가 이 범주 정체성들의 권력을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하는 경향이 관찰된다. 일반 직군의 경우에도 2, 30대의 평가 점수가 다소 낮은데 그 정도는 평가성에서 더욱 뚜렷하다. 종교와 관련해서는 2, 30대가 스님에 대해, 4, 50대가 목사에 대해 호의적이다. 지도자 및 전문직에 대한 세대별 태도를 분석해본 결과, 이 정체성들의 평가성과 권력성 모두를 높게 인정하는 50대에 비해 40대, 30대, 20대로 오면서 평균값의 하락과 분포의 집중 경향이 심화된다. 30대는 평가성 차원에서, 20대는 권력성 차원에서 이 범주에 대한 비판적인 태도를 보여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itiated with the intention to reveal the social consultations and fissures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n generational characteristics by indicating occupation-related identities with the concept of social identity supported by theoretical resources. According to the three dimension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회성원들이 직업 관련 정체성들을 인식하는 방식에서 나타나는 세대별 특성을 비교, 분석했을 때 그 결과는? 이 연구는 사회정체성 개념을 이론적 자원으로 활용하여 사회성원들이 직업 관련 정체성들을 인식하는 방식에서 나타나는 세대별 특성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사회적인 합의와 균열의 지점들을 살펴보았다. 사회정체성의 세 차원인 평가성, 권력성, 활동성을 살펴본 결과, 직업 관련 정체성에 있어서는 세대 차이보다는 합의가 우세하였다. 총 44개 정체성 중 세대차가 유의미한 것은 장관, 국회의원, 비행기 조종사, 농부의 평가성과, 대기업 사장, 교수, 의사, 간호사, 연예인, 무당, 실업자의 권력성뿐이다. 지도자 및 전문직에서는 평가성과 권력성 모두에서 50대가 다양한 정체성들을 일관되게 높이 평가한 반면, 30대는 부정적 태도를 견지했으며, 20대와 40대는 다분히 중간적인 입장을 보였다. 권력성에서는 2, 30대와 4, 50대로 나뉘어 젊은 세대가 이 범주 정체성들의 권력을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하는 경향이 관찰된다. 일반 직군의 경우에도 2, 30대의 평가 점수가 다소 낮은데 그 정도는 평가성에서 더욱 뚜렷하다. 종교와 관련해서는 2, 30대가 스님에 대해, 4, 50대가 목사에 대해 호의적이다. 지도자 및 전문직에 대한 세대별 태도를 분석해본 결과, 이 정체성들의 평가성과 권력성 모두를 높게 인정하는 50대에 비해 40대, 30대, 20대로 오면서 평균값의 하락과 분포의 집중 경향이 심화된다. 30대는 평가성 차원에서, 20대는 권력성 차원에서 이 범주에 대한 비판적인 태도를 보여준다.
사회정체성이란 무엇인가?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세대관계의 실재와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방법론적 선택으로 시도해볼 수 있는 방안이 바로 “사회정체성” 개념을 활용해 각 세대가 자신과 사회를 바라보는 시각의 복합적 실체를 조명하는 것이다. 사회정체성이란 사람들이 자신이나 상대방을 파악할 때 각기 개별적인 개체가 아닌 특정한 사회 집단에 소속된 하나의 구성원으로 보면서 집단적, 문화적 가치에 견주어 그 대상의 사회적 역할을 정형화해 이해한다는 것을 의미한다(MacKinnon and Langford, 1994). 내․외집단에 대한 이미지는 실제 개인이 자신과 타인, 사회에 대한 이해와 판단의 감정적 근거로서 사회적 역할 및 관계에 기반한 상호 역학이 구현되는 토대가 된다.
세대 연구가 본격화된 것은 무엇 때문인가? 세대 연구가 본격화된 것은 60, 70년대의 급속한 경제성장과 근대화 과정에서 발생한 사회구성원들의 갈등과 부적응 등의 혼란을 설명해내야 할 시대적 필요에 의해서였다. 격변기에 발생한 사회 문제들의 원인을 사회구조보다 규범의 붕괴, 아노미적 혼동 같은 사회심리적 요인에서 찾으려는 시도가 이어지면서 ‘한국인의 가치관 변화’는 세대 논의의 핵심적 화두로 자리 잡게 되었다(손인수, 197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5)

  1. 강원택 (2002) "세대, 이념과 노무현 현상" 사상 가을호: 80-102. 

  2. 고민희.김창남 (2008) "386세대의 정치적 태도 연구" 주관성 연구 17: 23-44. 

  3. 김두섭.이명진 (2007) "국제결혼 부부의 사회인구학적 상이성과 결혼 안정성." 한국인구학 30(3): 33-57. 

  4. 김의철.박영신 (2005) "Trust, relationship, and civil society in Scandinavia and East Asia"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1(특집호): 133-161. 

  5. 김재은 (1987) "한국인의 의식과 행동양식"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6. 김정훈 (2003) "세대와 정치의식" 한국산업사회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1-20. 

  7. 김주엽 (1993) "기업내 세대간 가치관의 차이" 산업과 경영 9(2): 43-62. 

  8. 나은영.민경환 (1998) "한국문화의 이중성에 관한 소고" 사회과학연구 24: 3-16. 

  9. 박길성 (2002) "왜 세대인가" 사상 가을호: 8-27. 

  10. 박명진 (1995) "정보격차와 세대차이" 정보사회와 사회윤리 아산사회복지재단. 

  11. 박명호 (2009) "2008 총선에서 나타난 세대 효과와 연령 효과에 관한 분석" 한국정당학회보 8(1): 65-86. 

  12. 박병영 (2006) "세대와 정치적 정체성" 한국사회학회 전기사회학대회 논문집 197-198. 

  13. 박병영(2008) "1980년대 민주화운동 세대의 정치적 정체성" 현상과 인식 101: 81-101. 

  14. 박재홍 (1995) "신세대의 일상적 의식과 하위문화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사회학29(가을): 651-683. 

  15. 박재홍(2005) 한국의 세대 문제: 차이와 갈등을 넘어서 나남. 

  16. 박재홍(2010) "한국사회의 세대갈등: 권력.이념.문화갈등을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33(3): 75-99. 

  17. 배규한.이창호 (2009) "청소년의 세대특성 및 세대간 소통방식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개발원 연구보고서 요약집. 

  18. 손인수 (1978) 한국인의 가치관 문음사. 

  19. 송호근 (2003) "한국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나: 세대, 그 갈등과 조화의 미학" 삼성경제연구소 

  20. 신광영 (2009) "세대, 계급과 불평등" 경제와 사회 통권 81: 35-60. 

  21. 신인수 (1985) "학교 조직 내의 인간관계 개선에 대한 일 연구"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2. 안영노 (1994) "신세대: 그들의 정치경제" 신세대론: 혼돈과 질서 현실문화연구. 

  23. 안청시.최일섭 (1987) 전후세대의 가치관과 이념 집문당. 

  24. 윤상철 (2009) "세대정치와 정치균열" 경제와 사회 81: 61-88. 

  25. 이경의 (1982) 한국경제와 중소기업 까치. 

  26. 이기형 (2007) "1990년대의 청년문화 신세대 현상 그리고 문화연구 작업을 돌아 보기" 커뮤니케이션학연구 15(4): 47-79. 

  27. 이동후 (2009) "사이버 대중으로서의 청년세대에 대한 고찰" 한국방송학보 23(2): 409-448. 

  28. 이명진?심수진?최샛별 (2006) "가족 관련 정체성에 대한 감정적 의미 비교 연구: 한국, 중국, 미국의 대학생 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14:(1): 110-147. 

  29. 이동원 (1989) "현대사회와 가족" 대한가정학회지 27(2): 201-207. 

  30. 이상림 (2009) "연령이 인구이동에 미치는 영향 : 최초이동, 계속이동, 귀환 이동" 한국인구학 3(3): 43-73. 

  31. 이인규 (1999) "무너지는 학교, 흔들리는 교단" 창작과 비평 27(3) 가을호: 2-199. 

  32. 임희섭 (1984) "사회변동과 세대차의 문제" 한국의 사회변동과 문화변동 현암사. 

  33. 전상진 (2009) "2008년 촛불 현상에 대한 세대사회학적 고찰" 현대정치연구 2(1): 5-31. 

  34. 정성호 (2003) "N세대의 사회문화적 특성과 의의" 인문과학연구 11: 389-413. 

  35. 조대엽 (2002) "한국의 사회운동세대, 386" 사상 가을호: 125-147. 

  36. 조동성 (1995) 21세기 경영 패러다임 민음사. 

  37. 주은우 (1994) "90년대 한국의 신세대와 소비문화" 경제와 사회 21(봄): 70-91. 

  38. 차현희 (2007) "뉴미디어를 통한 가상 공동체를 중심으로 일어나는 신세대들의 집단행동" 정보디자인학연구 10: 205-216. 

  39. 최선희 (1999) 정보사회의 소외에 관한연구 정보통신학술과제 

  40. 한규석.신수진 (1999) "한국인의 선호가치 변화-수직적 집단주의에서 수평적 개 인주의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3(2): 293-310. 

  41. 한남제 (1989) "가구행태와 세대관계의 변화" 크리스챤 아카데미 편 가족: 가족의 변화와 전망 우석출판사, 158-169. 

  42. 한덕웅.이경성 (2003) "한국인의 인생관으로 본 가치관 변화: 30년간 비" 한국 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17(1): 49-67. 

  43. 함인희 (1996) 정보화 사회가 가족관계에 미친 영향 연구 정보통신학술과제. 

  44. 황상민.김도환 (2004) "한국인의 라이프스타일과 세대의 심리적 정체성: 세대 차이 연구를 위한 심리학적 모델"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8(2): 31-47. 

  45. 황상민.양진영.강영주 (2003) "세대집단의 가치로 구분된 라이프스타일 유형과 그에 따른 권위주의 성향의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7(2): 17-33. 

  46. Acock A. C (1984) "Parents and Their Children : The Study of Inter-Generational Influence" Sociology and Social Research 68(2). 

  47. Bengtson V. L (1975) "Generation and Family Effects in Values Socialization"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0: 358-371. 

  48. Clore G L. and J. Pappas (2007) "The Affective Regulation of Social Interaction" Social Psychology Quarterly 70(4): 333-339. 

  49. Heise D R (2001) "Project Magellan: Collection Cross-cultural Affective Meaning Via The Internet" Electric Journal of Sociology 5(3). http://www.sociology.org/content/vol1005.003/mag.html. 

  50. Heise D R (2002) "Understanding Social Interaction with Affect Control Theory" New Directions in Contemporary Sociological Theory in (eds) Berger, Joseph and Zelditch, Morris, Jr. Lanham, MD: Rowman & Littlefield. 

  51. Heise D R. and S. J. Lerner (2006) "Affect Control in International interactions" Social Forces 85(2): 993-1010. 

  52. Inglehart (1997) "Modernization and Postmodernization: Cultural, Economic, and Political Change in 43 Societies"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53. Jun, Kwang-Hee Jun and Seulki Choi (2010) "Current Status and Future Challenges of the National Population Projection in South Korea Concerning Super-Low Fertility Patterns." 한국인구학 33(2): 85-111. 

  54. Kim, Seokho, Sang-Wook Kim and Ji-Eun Han (2009) "Social Distance between Foreign Workers and Koreans- From Foreign Workers' Viewpoint." 한국인구학 32(2): 115-142. 

  55. Kashima Y., Kashima E., Farsides T., Kim U., Strack F., Werth. L and M. Yuki (2004) "Culture and Context-Ssensitivity of Phenomenal Self Differ Across Culture" Self and Identity 3: 125-141. 

  56. MacKinnon N. J. and T. Langford (1994) "The Meaning of Occupational Prestige Scores: A Social Psychological Analysis and Interpretation" The Sociological Quarterly 35(2): 215-245. 

  57. Mannheim K (1952) "The Problem of Generations" Essays on the Sociology of Knowledge, Oxford University Press, 276-320. 

  58. Na E. Y. and Duckitt J (2003) "Value Consensus and Diversity between Generations and Genders" Social Indicators Research 62-63; 411-435. 

  59. Nelson S. M (2006) "Redefining a Bizzarre Situation: Relational Concept Stability in Affect Control Theory" Social Psychology Quarterly 69(3): 215-234. 

  60. Nelson S. M(2008) "Offender crime perspectives: A Study in Affect control theory"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A: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30(1), Ann Arbor, Mich.: University Microfilms International. 

  61. Osgood C. E., W. H. May and M. S. Miron (1975) "Cross-Cultural Universals of Affective Meaning" Urbana: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62. Ryder N. B (1965) "The Cohort as a Concept in the Study of Social Change"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30(6): 843-861. 

  63. Schroder T and W. School S (2009) "Affective Dynamics of Leadership: An Experimental Test of Affect" Social Psychology Quarterly 72(2): 180-197. 

  64. Smith H. W., M. Takanori and U. Michio (1994) "How Similar are Impression-formation Processes among Japanese and Americans?" Social Psychology Quarterly 57: 124-139. 

  65. Swell A. A. and D. R. Heise (2010) "Racial differences in sentiments: Exploring Variant Cultures"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cultural Relations 34(4): 400-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