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양육관련변인과 어머니-영아 상호작용행동간의 관계
Relations between Parenting-Related Variables and Mother-Infant Interactive Behaviors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49 no.3, 2011년, pp.99 - 111  

양하영 (울산대학교 아동가정복지학과) ,  박혜원 (울산대학교 아동가정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lations between mother-infant interactive behaviors and parenting-related variables were analyzed in a sample of 72 infants (35 boys and 37 girls, average age=31 mo.) and their mothers in Ulsan, Korea. Parents' views on children, parenting stress, fathers' participation in parenting and social su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양육에 대한 인지심리적 요소, 즉 자녀에 대한 가치관, 양육스트레스, 남편의 양육참여 및 사회적 지원과 같은 어머니 양육을 둘러싼 맥락적 요소 등과 어머니 양육특성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어머니의 양육특성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영아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관찰연구를 통하여 행동적 차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무엇보다도 그동안 어머니-자녀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는 주로 유아나 아동에 집중되어 있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언어의 제한이 있는 영아를 대상으로 놀이를 통한 관찰연구를 통하여 실제 어머니-영아 상호작용행동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또한 어머니의 양육특성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영아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관찰연구를 통하여 행동적 차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무엇보다도 그동안 어머니-자녀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는 주로 유아나 아동에 집중되어 있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언어의 제한이 있는 영아를 대상으로 놀이를 통한 관찰연구를 통하여 실제 어머니-영아 상호작용행동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언어가 잘 발달되어 있지 않은 영아기의 아이들에게 놀이를 통한 관찰방법은 놀이 자체가 흥미를 유발하기 때문에 관찰상황이 원만하며 유용한 연구방법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놀이상황은 평가자가 쉽게 정보를 얻을 수 있어서 관찰의 타당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송영혜, 김현희, 2002).
  •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특성을 구체적인 행동차원에서 분석하고 이것이 아동의 행동과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분석하고 이러한 양육특성과 관계가 있는 내외 변인(자녀관, 양육스트레스, 부양육참여, 사회적 지원)들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아동의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양육특성과 환경을 명확히 하고 어머니의 양육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 본 연구에서는 양육에 대한 인지심리적 요소, 즉 자녀에 대한 가치관, 양육스트레스, 남편의 양육참여 및 사회적 지원과 같은 어머니 양육을 둘러싼 맥락적 요소 등과 어머니 양육특성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어머니의 양육특성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영아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관찰연구를 통하여 행동적 차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 그러나 이러한 내적 특성외에 다양한 외부 요인도 양육특성에 영향을 미치는데 여성의 취업이 보편화되어 감에 따라 아버지의 양육참여나 지지 등의 양육지원도 중요하며 그 외에 사회적 지원 또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김혜진, 2003; 양진희, 2009; Luster & Okagaki, 1993).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양육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의 내적 특성중 모자신의 애착관계와 같은 비교적 변화가 어려운 측면이 아닌 자녀관 및 양육스트레스 요인 그리고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사회적 지원과 같은 외적 요인이 어머니와 아동의 상호작용행동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각 변인을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특히 세계 초유의 저출산 추세에서 반영되듯이 어머니들의 자녀관에 커다란 개인차가 나타나면서 자녀를 전혀 낳지 않으려는 기혼부부가 많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렇듯 중요한 자녀관이 어머니와 영아의 상호작용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그러나 양육스트레스는 취약가정에서뿐 아니라 일반 가정에서도 발생하며 높은 양육스트레스를 가진 주양육자는 아동과의 친밀성 및 관계의 질 저하를 야기할 수 있다(Sandler, Miller, Short, & Wolchik, 1989). 본 연구에서는 일반 가정을 대상으로 양육스트레스가 전반적인 양육특성뿐 아니라 구체적인 어머니-영아 행동수준에서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볼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녀관은 어떤 가치체계인가? 먼저 자녀관이란 자녀를 보는 부모의 관점 및 견해로서 추상적 개념체계이며, 부모와 자녀관계를 보는 태도 또는 거기에 부여하는 의미, 자녀교육과 양육에 대한 기대와 신념 등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이는 자녀를 양육하고 교육할 책임이 있는 부모가 자녀를 갖게 됨으로부터 자녀교육, 자녀양육, 등의 방향을 제시해 주는 일련의 가치체계이다(강소정, 김도희, 오경아, 이은숙, 정창희, 1991).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녀관이란 여성이 어머니로서 자녀에 대해 갖는 감정, 이성, 의지, 육체 등의 특성 또는 질을 의미한다(김영희 외, 2000).
아동의 발달에 중요한 요소는? 아동의 발달에 환경과 양육이 미치는 영향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어머니 양육이 아동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은 정신분석이론, 대상관계 이론에서 사회정서발달과 관련하여 연구되었을 뿐 아니라 행동주의나 인지발달이론에서도 행동 및 인지 수행과 관련하여 활발히 연구되어 왔다(Frankel & Bates, 1990; Rosengren, Behrend, & Perlmutter, 1993; Valdez-Menchaca & Whitehurst, 1992).
어머니 양육에 대한 연구 현황은? 아동의 발달에 환경과 양육이 미치는 영향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어머니 양육이 아동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은 정신분석이론, 대상관계 이론에서 사회정서발달과 관련하여 연구되었을 뿐 아니라 행동주의나 인지발달이론에서도 행동 및 인지 수행과 관련하여 활발히 연구되어 왔다(Frankel & Bates, 1990; Rosengren, Behrend, & Perlmutter, 1993; Valdez-Menchaca & Whitehurst, 1992). Ainsworth, Blehar, Waters와 Wall(1978)은 어머니와 영아간의 애착이 아동의 사회성 및 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고전적인 경험 연구들을 통해 밝히고 애착에 미치는 어머니의 양육특성을 애정과 민감성 등으로 세분화하여 설명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7)

  1. 강란혜(2001).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취업모 가정과 비취업모 가정의 비교. 한국일본교육학연구, 5(1), 189-201. 

  2. 강소정, 김도희, 오경아, 이은숙, 정창희(1991). 한국 어머니의 전통적 자녀관 및 그 변화에 관한 연구. 가정관리연구, 10, 39-58. 

  3. 고선주(1996). 부모기 전이 후 취업부부의 자녀 양육 참여 및 관련변수.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1), 115-139. 

  4. 고성혜(1994). 어머니가 지각한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18, 21-37. 

  5. 김금주(1999). 영아-어머니의 상호작용 유형과 영아의 언어 발달에 관한 연구. 논문집, 1, 411-500. 

  6. 김기현, 강희경(1997). 양육스트레스 척도의 개발. 대한가정학회지, 35(5), 141-150. 

  7. 김문신(2003). 어머니의 정서표현과 정서표현 수용태도가 아동의 자기조절 능력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미숙(2005).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이 양육 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기와 학령기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민정(2006).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및 자아존중감과 남성화병간의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민화, 곽금주(2004). 장난감 중심 상호작용 상황에서 보이는 영아-어머니의 주도성과 반응성. 한국심리학회지, 17(2), 19-35. 

  11. 김수영, 허선자(1996). 유아기 아버지의 양육참여 영역과 아버지의 심리적 특성, 배경적 특성, 가정적 특성, 아동특성. 연구논문집, 52(1), 356-381. 

  12. 김영희, 이정희, 박숙희, 방미란, 박세영, 이지애(2000). 신혼초기 어머니 됨과 돌봄 자신감. 여성건강간호학회지, 6(2), 291-304. 

  13. 김유심(2008). 빈곤층 여성한부모의 생활사건 스트레스와 우울에 관한 대처자원 연구: 영적안녕감, 가족자원의 조절효과 검증.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김은경(2003). 저소득층 한부모 가정 가구주의 심리적 디스트레스와 사회적 관계망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김정(2005).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 참여도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의 관계. 아동학회지, 26(5), 245-261. 

  16. 김정미, 성옥련, 현명호(2000). 부모-아동 상호작용행동 평정척도(MBRS 및 CBRS)의 타당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19(4), 895-904. 

  17. 김혜진(2003).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사회적지원과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관한 연구.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김희순, 신영희, 오가실, 김태임, 심미경(2005). 초산모의 양육스트레스, 영아신호에 대한 민감성, 양육환경. 아동간호학회지, 11(4), 415-426. 

  19. 김희화(2005). 아버지의 양육참여 실태 및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대한 아버지 양육참여의 영향. 아동학회지, 26(5), 311-330. 

  20. 박미노(2007). 조손가정 손자녀들의 학교 적응에 관한 연구: 손자녀들이 인지하는 가족기능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박성연(2005). 어머니-영아간의 상호작용방식이 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6(5), 15-30. 

  22. 박성연, 고은주(2003). 영아보육 및 가족변인이 어머니의 양육 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1(7), 91-106. 

  23. 박지은(2009). 조손가정 조부모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박혜원(2010). 저출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심리학회: 사회문제. 2010년 추계 학술대회 자료집, 117-119. 

  25. 백혜리(2005). 아동관 연구를 위한 개념적 구조. 교수논총, 17, 232-250. 

  26. 설영숙(1977). 한국 부모들의 자녀관. 이화여대심리연구논집, 18, 41-53. 

  27. 성지현(2000). 1세 영아-어머니의 언어와 놀이.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송길연, 김수정, 이지현, 양돈규(2006). 발달심리학. 서울: 시그마프레스. 

  29. 송영혜, 김현희(2002). 부모-아동 자유놀이 상호작용 평가 모형. 놀이치료연구, 6(1), 29-44. 

  30. 신은주(1993). 가정과 보육시설에서의 유아-양육자간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양진희(2009). 유치원의 아버지 참여 프로그램이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도와 역할수행 및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0(6), 417-442. 

  32. 원명선(2006).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도 및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또래놀이상호작용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이미란(1999). 사회적 게임에서의 영아-어머니 상호작용.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이삼식, 정윤선, 김희경, 최은영, 박세경, 조남훈(2005). 2005년도 전국 결혼 및 출산 동향조사.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5. 이수미, 민하영(2007). 유아의 기질 및 아버지 양육 참여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한국생활과학회지, 16(2), 219-225. 

  36. 이숙현(1990). 부모기로의 전화에 따른 부부관계의 변화. 가족학논집, 2, 1-27. 

  37. 이영, 신은주, 나종혜(1994). 영유아 양육환경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1). 아동학회지, 15(2), 37-54. 

  38. 이영은, 강양희, 박혜선, 황은주, 문미영(2003). 어머니가 지각한 영아기질과 어머니 역할수행에 대한 자신감 및 만족도의 관계. 아동간호학회지, 9(2), 206-220. 

  39. 이재림, 옥선화(2001). 저소득층 여성가장의 가족생활사건, 사회적 지원, 자녀의 지원과 생활만족도. 대한가정학회지, 39(5), 49-63. 

  40. 이정순(2002).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사회.정서적 발달과의 관계. 세종대학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이지희, 문혁준(2005). 아버지의 양육 참여도 및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생활과학연구논집, 25(1), 75-95. 

  42. 이혜경(2007).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역할지각과 양육 참여 행동에 관한 연구: 이천시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전춘애, 박성연(1996). 자녀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4(5), 115-129. 

  44. 정순희(1990). 어머니-유아간 언어적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정지나(1998). 어머니-유아간 상호작용과 유아의 장독립성 인지양식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6. 조윤정(2002). 놀이감과 성별에 따른 영아-어머니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7. 하은옥(2007). 교육실습 전.후에 따른 예비유아교사의 교사 이미지 변화. 열린유아교육연구, 12(3), 19-42. 

  48. 한지현, 이영환(2005). 모-영아 상호작용행동 평가 척도 개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41, 291-312. 

  49. 허은주(1988). 부모의 성 및 교육수준에 따른 자녀에 대한 가치관과 양육행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0. 호유연(2008). 한부모가정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 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1. 홍성례, 유영주(1997). 남편의 가족역할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연구. 생활과학논집, 1(1), 63-76. 

  52. Abidin, R. R.(1990). Parenting Stress Index Short Form(PSI/SF): Charlottessville. VA: Pediatric Psychology Press. 

  53. Abidin, R. R.(1992).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behavior. The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1, 401-412. 

  54. Ainsworth, M., Blehar, M. C., Waters, E., & Wall, S.(1978). Patterns of attachment. Hillsdale, NJ: Erlbaum. 

  55. Becker, P. T., Engelhardt, K. F., Steinmann, M. F., & Kane, J.(1997). Infant age, context, and family system influences on the interactive behaviors of infants with mental delay.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20, 39-50. 

  56. Baumrind, D.(1971). Current patterns of parental authority. Developmental Psychology Monograph, 4(1), Pt. 2. 

  57. Belsky, J.(1981). Early human experience: A family perspective. Developmental Psychology, 17, 3-23. 

  58. Belsky, J.(1984).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A process model. Child Development, 55, 83-90. 

  59. Belsky, J., & Rovine, M.(1984). Social-network contact, family support, and the transition to parenthood.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6, 455-462. 

  60. Coleman, P., & Karraker, K.(1997). Self-efficacy and parenting quality: Findings and future applications. Developmental Review, 18(1), 47-85. 

  61. Crnic, K. A., Greenberg, M. T., Rogozin, A. S., Robinson, N. M., & Basham, R. B.(1983). Effects of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mothers and premature and full-time infants. Child Development, 54, 209-217. 

  62. Frankel, K. A., & Bates, J. E.(1990). Mother-toddler problem-solving. Antecedents in attachment, home behavior, and temperament. Child Development, 61, 810-819. 

  63. Goldberg, W. M., & Morgan, S. P.(1991). Father sons, and daughters: differential involvement in parenting. Marriage and the Family, 53, 531-544. 

  64. Goodnow, J. J.(1988). Parents' ideas, actions, and feelings: Models and methods from developmental and social psychology. Child Development, 53, 87-97. 

  65. House, J.(1981). Social structure and personality. In M. Rosenberg & R. Tumer (Eds), Social psychology; Sociological perspectives (pp. 525-561). NY: Basic Books. 

  66. Kahn, R., & Antonucci, T.(1981). Convoys of social support: A life-course approach. In S. B. Kiesler, J. N. Morgan, & V. K. Oppenheimer (Eds.), Aging: Social change (pp. 383-405). San Diego, CA: Academic Press. 

  67. Luster, T., & Okagaki, L.(1993). Multiple influence on parenting: Ecological & life-course perspectives. In T. Luster, & L. Okagaki (Eds.), Parenting: An ecological perspective (pp. 227-250). Hillsdale, NJ: Erlbaum. 

  68. McGillicudy-DeLisi, A.(1985).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beliefs and children's cognitive level. In I. E. Siegel (Ed.), Parental belief systems (pp. 7-24). Hillsdale, NJ: Erlbaum. 

  69. Miller, S. A.(1988). Parents' beliefs about children's cognitive development. Child Development, 59, 259-285. 

  70. NICHD(Early Child Care Research Network)(1999). Child Care and Mother-Child interaction in the First 3 Years of Life. Developmental Psychology, 35(6), 1399-1413. 

  71. Olweus, D.(1980). Familial and temperamental determinants of aggressive behavior in adolescent boys: A causal analysis. Developmental Psychology, 16, 644-660. 

  72. Rosengren, K. S., Behrend, D. A., & Perlmutter, M.(1993). Parental influences on children's cognition. In R. Pasnak, R., & M. Howe, (1993). Emerging themes in cognitive development: Volume II: Competencies (pp. 103-121). New York: Springer-Verlag. 

  73. Sandler, I. G., Miller, P., Short, J., & Wolchik, S. A.(1989). Social support as a protective factor for children in stress. In D. Belle (Ed.), Children social networks and social supports (pp. 277-307). New York: Willey. 

  74. Siegel, I., & McGillicudy-DeLisi, A.(2010). Parental belief sytems: The psychological consequences for children. Hillsdale, NJ: Erlbaum. 

  75. Thoits, P. A.(1982). Conceptual, methodological and theoretical problems in studying social support as a buffer against life stres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3, 145-159. 

  76. Valdez-Menchaca, M. C., & Whitehurst, G. J.(1992). Accelerating language development through picture book reading: A systematic extension to Mexican day care. Developmental Psychology, 28, 1106-1114. 

  77. Vandell, D. L.(1979). The effects of a playgroup experience on mother-son and father-son interaction. Developmental Psychology, 15, 379-38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