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모의 산후우울 여부에 따른 영아의 기질과 건강문제
Infants' Temperament and Health Problems according to Maternal Postpartum Depression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1 no.4, 2011년, pp.444 - 450  

방경숙 (서울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Mothers' postpartum depression is a worldwide health concern that produces compromising effects on their infan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infants' temperament and health problems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maternal postpartum depression.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후우울이 생후 1개월의 영아에게 미치는 영향을 파악해볼 뿐 아니라 이러한 산후우울이 결혼만족도, 가족기능, 사회적지지 등 산모의 주위 환경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도 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산모의 산후우울 여부에 따라 영아의 기질, 성장과 건강문제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고 산후우울과 결혼만족도, 가족기능, 사회적 지지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자 하는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 주관심사는 산후우울이 신생아에게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었다. 우선 본 연구에서 산후우울군은 일반산모군보다 모유수유를 적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산후우울은 모유수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Dennis&McQueen, 2009; Kim et al.
  • 본 연구의 목적은 산모의 산후우울과 영아의 기질, 영아의 신체적 건강과의 관계를 확인하고, 산모의 결혼만족도, 가족기능 및 사회적 지지와 산후우울과의 관계를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Barnard의 모아상호작용 모형은 어떤 영향들을 끼치나요? Barnard의 모아상호작용 모형에서는 어머니의 특성과 환경적 특성이 아동의 특성과 상호작용하면서 아동의 건강과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는데(Barnard, 1978), 산모가 산후우울을 경험하는 경우 산모의 건강을 위협할 뿐 아니라 영아에 대한 관심이 저하되고 모유수유율도 감소하며, 영아와의 상호작용이 결여되어 영아에게 유해한 영향을 준다. 외국의 여러 연구에서는 산모에게 산후우울이 있는 경우 자녀의 수면문제, 설사와 산통, 천식 등 여러 가지 신체적 건강문제의 발생률이 높아지며, 정서적, 인지적 발달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Beck, 2006).
기질이란 무엇인가요? 기질이란 개개인이 가지고 있는 일관된 성향으로, 환경적 요인뿐 아니라 기초적인 생리 과정들에 의해서 결정되는 전형적인 반응양식을 말한다(Carey & McDevitt, 1995). 본 연구에서 영아의 기질은 Pridham,Chang과 Chiu(1994)가 개발한What My Baby Is Like(WBL)를 Bang (2000)이 번역한 9점 척도의 18문항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EPDS 점수를 통해 우울로 분류하여 연구한 결과들에서 산후우울의 비율이 차이를 보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3%로 나타난 Yeo (2006)의 국내연구들보다는 높았는데 이러한 결과는 과거보다 산후우울의 비율이 증가했기 때문일 수 있으나 단정하기는 어렵다. 연구마다 산후우울의 비율이 차이를 보이는 것은 산후우울의 기준 및 측정도구와 측정시기에 차이가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dewuya, A. O., Ola, B. O., Aloba, O. O., Mapayi, B. M., & Okeniyi, J. A. (2008). Impact of postnatal depression on infants' growth in Nigeria.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108, 191-193. doi:10.1016/j.jad.2007.09.013? 

  2. Avan, B., Richter, L. M., Ramchandani, P. G., Norris, S. A., & Stein, A. (2010). Maternal postnatal depression and children's growth and behaviour during the early years of life: Exploring the interaction between physical and mental health. Archives of Disease in Childhood, 95, 690-695. doi:10.1136/adc.2009.164848 

  3. Bang, K. S. (2000). Effects of maternal role education program on the mother-infant interaction and infant develop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4. Barnard, K. E. (1978). The nursing child satellite training series, nursing child assessment satellite training, learning resource manual. Seattle: NCAST, University of Washington. 

  5. Beck, C. T. (1996). A meta-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partum depression and infant temperament. Nursing Research, 45, 225-230. 

  6. Beck, C. T. (2006). Postpartum depression: It isn't just the blues. American Journal of Nursing, 106, 40-50. 

  7. Carey, W. B., & McDevitt, S. C. (1995). Coping with children's temperament: A guide for professionals. NY: Basic Books. 

  8. Chung, H. S. (1996). Developmental pattern of marital satisfaction.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14, 51-60. 

  9. Cox, J. L., Holden, J. M., & Sagovsky, R. (1987). Detection of postnatal depression: Development of the 10-item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50, 782-786. 

  10. Dennis, C. L., & McQueen, K. (2009). The relationship between infant-feeding outcomes and postpartum depression: A qualitative systematic review. Pediatrics, 123, e736-e751. doi: 10.1542/peds.2008-1629 

  11. Faul, F., Erdfelder, E., Lang, A. G., & Buchner, A. (2007).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39, 175-191. 

  12. Goldbort, J. (2006). Transcultural analysis of postpartum depression. MCN American Journal of Maternal Child Nursing, 31, 121-126. 

  13. Hanington, L., Ramchandani, P., & Stein, A. (2010). Parental depression and child temperament: Assessing child to parent effects in a longitudinal population study. Infant Behavior & Development, 33, 88-95. doi:10.1016/j.infbeh.2009.11.004 

  14. Horwitz, S. M., Briggs-Gowan, M. J., Storfer-Isser, A., & Carter, A. S. (2007). Prevalence, correlates, and persistence of maternal depression. Journal of Women's Health, 16, 678-691. doi:10.1089/jwh.2006.0185 

  15. Kim, J., & Buist, A. (2005). Postnatal depression: A Korean perspective. Australas Psychiatry, 13, 68-71. 

  16. Kim, M. W., Yang, H. S., & Kim, J. R. (2009). A study on agreements among screening tests and related factors with postpartum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52, 1133-1143. 

  17. Klainin, P., & Arthur, D. G. (2009). Postpartum depression in Asian cultures: A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6, 1355-1373. doi:10.1016/j.ijnurstu.2009.02.012 

  18. Kwon, M. K., Kim, H. W., Kim, N. S., & Jang, J. A. (2006). Postpartum depression and maternal role confidence, parenting stress, and infant temperament in mothers of young infa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2, 314-321. 

  19. Lee, I. S., Park, Y. S., Song, M. S., Lee, E. O., Kim, H. S., Park, Y. H., et al. (2002).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family functioning scal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2, 395-405. 

  20. McGrath, J. M., Records, K., & Rice, M. (2008). Maternal depression and infant temperament characteristics. Infant Behavior and Development, 31, 71-80. doi:10.1016/j.infbeh.2007.07.001 

  21. Murray, L., & Carothers, A. D. (1990). The validation of the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on a community sampl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57, 288-290. 

  22. Orhon, F. S., Ulukol, B., & Soykan, A. (2007). Postpartum mood disorders and maternal perceptions of infant patterns in well-child follow-up visits. Acta Paediatrica, 96, 1777-1783. doi:10.1111/j.1651-2227.2007.00557.x 

  23. Park, J. W. (1985). A study of social support scale develop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24. Park, Y. J., Shin, H. J., Ryu, H. S., Cheon, S. H., & Moon, S. H. (2004). The predictors of postpartum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 722-728. 

  25. Pawlby, S., Sharp, D., Hay, D., & O'Keane, V. (2008). Postnatal depression and child outcome at 11 years: The importance of accurate diagnosis.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 107, 241-245. doi:10.1016/j.jad.2007.08.002 

  26. Pridham, K. F., Chang, A. S., & Chiu, Y. (1994). Mothers' parenting self-appraisals: The contribution of perceived infant temperament. Research in Nursing & Health, 17, 381-392. 

  27. Rahman, A., Bunn, J., Lovel, H., & Creed, F. (2007). Maternal depression increases infant risk of diarrhoeal illness: A cohort study. Archives of Disease in Childhood, 92, 24-28. doi:10.1136/adc.2005.086579 

  28. Song, J. E. (2009). Influencing factors of postpartum depression between 4 to 6 weeks after childbirth in the postpartum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5, 216-223. 

  29. Yeo, J. H. (2006). Postpartum depression and its predictors at six months postpartu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Womens Health Nursing, 12, 355-36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