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방마사지가 산욕초기 어머니의 유방 통증, 유즙 소디움, 신생아 흡유 횟수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Breast Massage on Breast Pain, Breast-milk Sodium, and Newborn Suckling in Early Postpartum Mother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1 no.4, 2011년, pp.451 - 459  

안숙희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  김진희 (충남대학교 대학원 간호학) ,  조정숙 (충남대학교 대학원 간호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breast massage on breast pain, breast-milk sodium, and newborn suckling in early postpartum mothers were investigated. Methods: The design was a non-synchronized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Sixty postpartum mothers who were admitted to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즙분비를 촉진할 수 있는 시점인 산욕기 3-4일에 수유부를 대상으로 모유 소디움을 평가하고, 모유 소디움량이 상승된 수유부를 대상으로 유즙생성원리에 초점을 맞춘 유방마사지를 두 차례 제공하여 그 효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모유 소디움량이 상승된 수유부에게 적용한 유방마사지가 유방 통증, 모유 소디움 및 신생아의 흡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 실험설계를 이용한 유사실험연구이다. 독립변수는 유방마사지를 받은 실험군과 유방마사지를 받지 않은 대조군이다.
  • 본 연구는 산후 초기 수유부를 대상으로 모유 소디움량을 평가하고, 소디움량이 높은 수유부에게 유방마사지를 제공하여 마사지가 유방 통증과 모유 소디움량 감소와 신생아 흡유 횟수의 증가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였다. 모유 소디움량이 상승된 수유부의 경우 신생아의 모유섭취량이 낮게 나타난 보고에서(Manganaro et al.
  • 본 연구의 목적은 모유 소디움량이 상승된 수유부를 대상으로 2회의 유방마사지를 제공하여 유방 통증, 모유 소디움량 및 신생아 흡유횟수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함이다.
  • 따라서 교육과 지지보다는 적극적인 중재를 통한 수유문제 해결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모유 소디움량이 높은 산모를 대상으로 산욕기 초기에 유즙배출을 촉진하는 방법으로 유방마사지를 적용하여 기존연구의 제한점을 보완하고자 한다.
  • 유즙생성 원리에 따르면, 산후 첫 주 수유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때 유즙의 유관내 축적으로 유방 울혈과 함께 유방 통증이 발생하고, 모유 내 소디움 수치는 상승하고(Neville & Morton, 2001) 수유방법이 적절하지 않을 때에는 유두관련 문제가 발생한다(Kim, 2010).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방마사지를 통해 유즙 배출을 촉진하고 유즙 생성을 도모하여, 유방 통증 및 모유 소디움량의 감소와 신생아의 흡유 횟수 증가를 수유 문제가 개선된 단기지표로 평가하였다.

가설 설정

  • 1) 유방마사지를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사전 측정값 대비 유방통증 감소폭이 클 것이다.
  • 2-1. 1차 유방마사지를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모유 소디움량 감소폭이 클 것이다.
  • 3-1. 1차 유방마사지를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신생아 흡유횟수 증가폭이 클 것이다.
  • 1-1. 1차 유방마사지를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유방 통증 감소폭이 클 것이다.
  • 2-2. 2차 유방마사지를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모유 소디움량 감소폭이 클 것이다.
  • 3-2. 2차 유방마사지를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신생아 흡유횟수 증가폭이 클 것이다.
  • 1-2. 2차 유방마사지를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유방 통증 감소폭이 클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방마사지란 무엇인가? 유방마사지는 유방을 부드럽게 하고 유방 내 조직인 유관을 자극하여 남아 있는 유즙이 잘 배출되도록 돕는 방법이다(Lowdermilk & Perry, 2007). 이 중 오케타니식 유방마사지는 일본 조산사 Sotomi Oketani에 의해 개발된 유방관리법으로 통증 없이 유방의 결체조직을 마사지하는 것이다.
모유수유를 중단하는 주요 원인에는 무엇이 있는가? 대부분의 산모들은 출산 직후부터 모유수유를 시도하지만, 모유수유를 지속하는 산모는 많지 않다. 모유수유를 중단하게 되는 주요 원인에는 수유시간이 너무 길어서, 수유 후에도 아기가 보채므로, 아기가 젖을 자주 찾아서, 젖이 잘 안 나와서, 유방과 유두의 통증때문으로보고되었다(Chan, Nelson, Leung,&Li, 2000; Eum, Sohn, &Kim, 2007;Hill&Aldag, 2007; Lee,Chung,Ahn,Moon,&Park, 2003). 이러한 증상들은 일명 모유부족 증후군이라 불리운다.
오케타니식 유방마사지는 어떤 국가에 확산되어 적용되고 있는가? 이 마사지는 유방과 대흉근막 사이의 결합조직인 기저부를 움직이게 하여 유방 내 혈류를 증가시키고, 궁극적으로 유즙의 흐름을 증가시킨다(Oketani Lactation Management Association, 2004). 이 마사지 방법은 유즙생성을 도모할 뿐 아니라 수유중 산모가 경험하는 유방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돕는 방법으로(Kabir & Tasnim, 2009), 현재 일본뿐 아니라 한국과 방글라데시 등 아시아국가에 확산되어 적용되고 있다(Hossain, Haque, Siddiqui, & Bari, 2005). 그러나 유방마사지가 모유수유 문제를 해결하는 데 미치는 효과에 대한 과학적 근거는 매우 부족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oensch, M., Oberthuer, A., Eifinger, F., & Roth, B. (2011). Life-threatening hypernatremic dehydration in a 7-week-old exclusively breastfed infant as a cause of a decline in breastmilk volume and parental language barriers in a North African family. Klinische Padiatrie, 223, 40-42. doi:10.1055/s-0030-1267931 

  2. Chan, S. M., Nelson, E. A., Leung, S. S., & Li, C. Y. (2000). Breastfeeding failure in a longitudinal postpartum maternal nutrition study in Hong Kong. Journal of Paediatric Child Health, 36, 466-471. 

  3. Chiu, J. Y., Gau, M. L., Kuo, S. Y., Chang, Y. H., Kuo, S. C., & Tu, H. C. (2010). Effects of Gua-Sha therapy on breast engorgement: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Nursing Research, 18, 1-10. doi:10.1097/JNR.0b013e3181ce4f8e 

  4. Cho, J. S. (2006). Eects of Oketani's breast massage on the breast discomfort, breast milk pH of mothers and the sucking speed of neonat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ulji University, Daejeon. 

  5. Eum, G. R., Sohn, H. S., & Kim, H. Y. (2007). Breastfeeding rate and related factors in Busa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11, 78-85. 

  6. Hill, P. D., & Aldag, J. C. (2007). Predictors of term infant feeding at week 12 postpartum. Journal of Perinatal Neonatal Nursing, 21, 250-255. doi: 10.1097/01.JPN.0000285816.44022.a3 

  7. Hossain, M., Haque, N. I., Siddiqui, A. B., & Bari, M. I. (2005). Activities of lactation management centre of Rajshahi. Journal of Teachers Association, 18, 189-192. 

  8. Humenick, S. S., Hill, P. D., Thompson, J., & Hart, A. M. (1998). Breast-milk sodium as a predictor of breastfeeding patterns. Canadia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30(3), 67-81. 

  9. Jang, G. J., Kim, S. H., & Jeong, K. S. (2008). Effect of postpartum breast-feeding support by nurse on the breast-feeding prevale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 172-179. 

  10. Jeong, I. H., Kang, J. M., Min, D. Y., Son, S. K., & Eun, H. C. (2010). Medical dictionary. Seoul: Hyunmoon. 

  11. Kabir, N., & Tasnim, S. (2009). Oketani lactation management: A new method to augment breast milk. Journal of Bangladesh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27, 155-159. 

  12. Kim, E. K. (2010). Physiology of lactation. Hanyang Medical Reviews, 30(1), 1-7. 

  13. Kim, Y. (2009). Effects of a breastfeeding empowerment program on exclusive breastfeed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9, 279-287. doi:10.4040/jkan.2009.39.2.279 

  14. Lawrence, R. A., & Lawrence, R. M. (2005). Breastfeeding: A guide for the medical profession (6th ed.). St Louis, MO: Mosby. 

  15. Lee, S. O., Chung, E. S., Ahn, S. H., Moon, K. N., & Park, N. H. (2003). A study of predictors of breastfeed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9, 368-375. 

  16. Lowdermilk, D., & Perry, S. (2007). Maternity & women's health care (9th ed.). Philadelphia, PA: Mosby Elsevier. 

  17. Manganaro, R., Marseglia, L., Mami, C., Palmara, A., Paolata, A., Loddo, S., et al. (2007). Breast milk sodium concentration, sodium intake and weight loss in breast-feeding newborn infants. British Journal of Nutrition, 97, 344-348. doi:10.1017/S0007114507280572 

  18. Mass, S. (2004). Breast pain: Engorgement, nipple pain and mastitis. Clinical Obstetrics and Gynecology, 47, 676-682. 

  19. Morton, J. A. (1994). The clinical usefulness of breast milk sodium in the assessment of lactogenesis. Pediatrics, 93, 802-806. 

  20. Morton, J. A. (1995). Salty milk-when to worry. Western Journal of Medicine, 163, 488-489. 

  21. Neville, M. C. (2009). Introduction: Tight junctions and secretory activation in the mammary gland. Journal of Mammary Gland Biology & Neoplasia, 14, 269-270. doi:10.1007/s10911-009-9150-8 

  22. Neville, M. C., & Morton, J. (2001). Physiology and endocrine changes underlying human lactogenesis II. Journal of Nutrition, 131, 3005S-3008S. 

  23. Neville, M. C., Morton, J., & Umemura, S. (2001). Lactogenesis. The transition from pregnancy to lactation. Pediatric Clinics of North America, 48, 35-52. 

  24. Newton, E. R. (2004). Breastmilk: The gold standard. Clinical Obstetrics and Gynecology, 47, 632-642. 

  25. Oketani Lactation Management Association. (2004). Oketani lactation management: Japanese breast massage manual. Tokyo: Author. 

  26. Ozbek, A., Kumral, A., Guvenir, T., Tas, F. V., Gencer, O., Duman, N., et al. (2008). Maternal psychosocial aspects in hypernatremic dehydration with high sodium concentrations in breast milk: A case-control study. Journal of Paediatrics and Child Health, 44, 38-43. doi:10.1111/j.1440-1754.2007.01208.x 

  27. Park, S. O. (2004). The effects of a breastfeeding support program on the attitude and knowledge of breastfeeding, level of $Na^+$ within milk, and continued breastfeed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28. Storr, G. B. (1988). Prevention of nipple tenderness and breast engorgement in the postpartal period.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17, 203-209. 

  29. Walker, M. (2008). Conquering common breastfeeding problems. Journal of Perinatal Neonatal Nursing, 22, 267-274. doi:10.1097/01.JPN.0000341356.45446.2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